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교수는 “중증 치매 환자는 줄기세포 이식해도 완치는 어렵다”고 말한다. 지금도
뇌
좁은 부위에서 신경세포가 손상된 파킨슨병을 줄기세포로 치료하려는 연구가 더 많이 이뤄지고 있다. 그럼 줄기세포로 가장 먼저 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질병은 뭘까. 오 교수는 “심장과 혈관 질환일 것”으로 ... ...
세상을 지배하는 붉은 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과거에는 공감각이 학습 효과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뇌
변연계의 한 부위, 예컨대 여러 감각기의 통로들이 모이는 해마 같은 곳에서 한 감각기의 정보 일부가 다른 감각기로 흘러 들어가 공감각이 생긴다는 의견이 우세해지고 있다.붉은 색은 다른 색보다 많은 ... ...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약물을 복용하지 않고 완쾌됐다면 정신분열병이 아니었다고 말할 정도. 이들 약물은
뇌
에서 분비되는 도파민을 억제해 각종 증상을 억제한다. 문제는 치료에 가장 효과가 있는 이들 약물이 다른 신경전달물질에도 작용해 신체에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킨다는데 있다.치료 효과를 부인하는 일부 ... ...
의사가 안내하는 몸속 미시세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벚꽃. 꽃잎과 줄기 사이로 파란 하늘이 살짝살짝 보인다. 줄기에 해당하는 부분은 사실
뇌
에 있는 별아교세포의 돌기. 이 세포가 갖고 있는 세포골격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만들어 항원과 항체가 결합하는 면역반응을 이용해 염색한 다음 광학현미경 200배로 찍은 작품이다. 파란 점은 염색되지 않은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개발 201364 원격업무시스템 보급 201065 사회간접자본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개발 201566
뇌
혈관 질환 원인 규명 201867 거부반응 없는 인공장기 실용화 201968 장기생산용 동물 개발과 사육기술 실용화 201769 질병예측시스템 실용화 201770 재활용율 100% 건설재료 개발 201571 위성이용 한반도 연속감시기술 개발 . ...
귀는 왜 두 개일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직접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내이에서 소리 정보의 차이를
뇌
간에 위치한 상올리브핵과
뇌
간 위에 있는 하구로 전달하면 이곳에서 분석해 소리의 방향을 파악한다. 첩보원들이 여러 가지 정보를 갖고 오면 그 정보를 분석하는 일은 분석실에서 따로 맡는 것처럼 말이다.양쪽으로 듣는다는 것은 여러 ... ...
물리학이 밝힌 신경세포 경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좀더 단순한 법칙에 따라 결정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물리학 이론을 이용한 방법은
뇌
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자세히 설명하고 학습이나 인지능력을 연구하는데 계속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다체론 (Many-body theory) 상호작용하는 수많은 입자들이 모인 시스템을 다루는 물리학 이론. 입자가 많으면 ... ...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꾸준히 발견돼 돼지고기에 대한 공포감을 증폭시킨다. 어떻게 그럴 수가 있을까?사람의
뇌
속에 들어간 갈고리촌충의 유충은 오랜 기간, 길게는 20년까지 살아 있다가 수명이 다해 죽으면서 각종 증상을 일으킨다. 다시 말해 지금 누군가가 유구낭미충증 환자로 판명된다면 그건 20년 전에 남보다 ... ...
나는 기억한다, 고로 존재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최근에는 영화나 드라마 속 주인공들마저도 기억상실증에 시달리고 있다. 보다 못해
뇌
를 연구하는 심리학자, 교육학자, 신경과학자들이 기억의 베일을 벗기는데 발벗고 나섰다. 그들이 안내하는 기억의 세계에 빠져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나는 기억한다, 고로 존재한다 1 기억도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뇌
에 스트레스만 주는 결과밖에 안된다”고 충고한다. 성급한 조기교육보다 자녀의
뇌
발달을 이해하는 게 먼저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나는 기억한다, 고로 존재한다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4 TV, 기억을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