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때
시각
타임
시점
세월
시
타이밍
d라이브러리
"
시간
"(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3.5밀리초만에 물체 피하는 드론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바로 전송해요. 컴퓨터는 이 이미지를 분석한 뒤 반응하지요. 그 결과 물체를 피하는
시간
을 줄일 수 있는 거예요.연구를 이끈 취리히대학교 다비드 스카라무짜 교수는 “장애물을 빨리 인식하고 피할 수 있다면 드론의 속도도 더 빨라질 것”이라며 “지진과 같은 재난 상황에서 제한된 배터리로 ... ...
2020년대 작은 위성들이 지구를 뒤덮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우주에 쏘아 올린 위성은 1957년에 발사한 스푸트니크 1호예요. 이후 60년이 조금 넘는
시간
동안 무려 9000개에 가까운 위성이 우주로 발사됐죠. 그런데 앞으로 10년 안에 2만 개의 통신 위성이 더 발사될 예정이라면? 믿을 수 없겠지만 사실입니다!지난 2015년, 미국 민간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 ...
[통합과학교과서] 집에 또 불이 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많이 일어나요. 대기가 건조하고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이 많아서 조그마한 불씨라도 삽
시간
에 큰불이 되기 쉽지요. 만약 우리 주변에서 불이 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효과적으로 불을 끄기 위해선 먼저 불이 타는 원리를 이해해야 해요. 초에 불을 붙이고 관찰해 보세요. 양초는 불의 열에 녹아 ... ...
[특집] 한 장, 10년 묵은 변기에서 태어난 귀신과 화장실 휴지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뭉쳐야지” 등 팽팽한 대립 반응을 보였죠. 그러다 2020년 4월, 사무엘 노바리오 미국 미
시간
대학교 물리학과 연구원이 수학 모형을 세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하면서 다시 화제가 됐답니다. 노바리오 연구원은 사용하는 휴지를 찢어지지 않게 하면서 오물을 처리하는 데에 쓰는 휴지의 총량을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여자친구라는 헤어날 수 없는 미궁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추천 부탁드립니다’라는 글이 올라오면 어김없이 이들의 이름이 줄지어 달린다. ‘
시간
을 달려서’, ‘밤’, ‘너 그리고 나’ 등 제목만 봐도 심장이 두근거리고, 듣다 보면 괜히 어디론가 달려가야 할 것만 같은 노래를 잔뜩 보유한 자타공인 ‘청량 갑’ 아이돌 여자친구! 그런데 ‘파워 ... ...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공부하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사진으로 ‘어디까지 꽃이라고 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전시를 열기도 하죠. 또
시간
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를 분석해 그 특징을 찾는 순환 신경망(RNN)을 이용해 새로운 형태의 음악을 만들기도 합니다.알고리듬뿐 아니라 수학, 공학 분야의 최신 기술들은 뉴미디어아트와 서로 함께 ... ...
UAE┃‘희망’을 쐈다! 달 건너뛰고 화성으로 직행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분석 장비를 설계하고 개발했다.아말은 화성
시간
으로 1년(약 687일)간 다양한 계절과
시간
대별로 화성의 대기층을 관측해 화성의 1년을 담은 기후도를 제작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완성된 기후도는 전 세계 200개 이상의 대학과 연구기관에 제공될 예정이다.최근 UAE는 우주 탐사에 부쩍 속도를 내왔다. ... ...
USA┃Mars 2020 ‘인내’와 ‘끈기’로 흙 가지러 떠납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두 분자를 전기분해 해 일산화탄소 두 분자와 산소 한 분자를 만들어낸다(2CO2→2CO+O2).
시간
당 약 10g의 산소를 만들어낸다. 사람이 하루에 약 1만1500L의 공기를 사용하는 만큼 목시가 만들어내는 산소는 미량에 불과하다. 마스 2020 임무에서는 인류 최초로 지구를 제외한 다른 행성에서 비행체를 ... ...
[과학동아 X 긱블] 케첩으로 주스 만드는 마법의 기계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DC 모터로 충분할 것 같습니다.여기에 전원 스위치를 연결할 건데요. 민바크 님의 납땜
시간
이 꽤 오래 걸립니다. 완성된 아두이노 기판을 보니 생각보다 많은 부품이 붙어 있네요. 모두 ‘플로팅(floating)’ 현상을 해결할 저항 부품들입니다. 플로팅 현상은 아두이노가 신호를 잘못 인식하는 현상 중 ... ...
[과동키즈] 내가 남극으로 향한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머로니 교수와 남극을 오가며 함께 연구한 6년은 인생에서 결코 잊을 수 없는 귀중한
시간
이다. 나도 누군가에게 그처럼 좋은 스승이 될 수 있을지 지금도 스스로 묻곤 한다. 과학동아를 읽는 독자들도 먼 미래를 걱정하기보다는 자신을 행복하게 만드는 일에 최선을 다했으면 한다. 그리고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