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윤곽
실루엣
d라이브러리
"
전체모양
"(으)로 총 2,397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말 뚱보가 되는 지름길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국내에서만 연 4천억원어치가 팔리는 아이스크림. 그 내력과 제품화과정, 우량품의 판별법을 알아보자.어린이 시간대의 TV를 보고 있으면 아이스크림 광고가 그야말로 홍수를 이룬다. 아마도 아이스크림을 가장 많이 먹는 층이 어린이라고 생각해서일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어디를 가나 형형색 ... ...
(3) 창조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아기 매머드 디마는 왜 해성층이 아닌 육성층에서 발견됐을까?" - 진화론자가 창조론자에게 던지는 10문과 그 10답1 동물의 배(胚)발생과정을 비교해 보면 매우 비슷한 점에 놀라게 된다. 원시적인 동물이 필요로 하는 것이 고등동물의 발생과정에서도 나타나는데 이것은 발생 후기에는 사라지거나 ... ...
타임머신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나 혼자만 과거로 여행한다는 것은 기존 물리법칙에서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지구의 과거조건과 비슷한 별로의 여행은 가능할 수도 있다.얼마전 시중에서 상영된 영화에서 주인공이 친구 과학자가 발명한 타임머신을 타고 그의 부모들이 아직 어린 소년 소녀 시절이던 과거로 돌아가서 부모들이 ... ...
초여름 구상성단을 산책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6월 뱀주인자리는 구상성단 밀집지역. 망원경을 이용해 우리 은하 바깥쪽에 널려있는 별 집단을 관측해보자.여름은 구상성단들을 관측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기회다. 어둠속으로 황혼이 사라질 때의 6월 밤하늘에는 처녀자리 은하들이 서쪽 하늘에 걸려있고 은하수가 동쪽에서 떠오른다. 남동쪽 하 ... ...
슈퍼컴퓨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인간의 손으로는 불가능한 과학기술계산을 식은 죽 먹듯 순식간에 해치우는 슈퍼컴퓨터의 탄생에 얽힌 뒷얘기들을 엮어본다.비행기를 새로 개발하려는 회사가 있다. 먼저 유체역학에 의해서 날개모양을 만들고 몸통도 대충 어떤 모양이 될 것인가 구상해본다. 생각나는 대로 설계도를 만들고 이에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20세기 물질문명의 눈부신 변화는 과학과 기술의 유기적 결합으로 이룩됐다. 그러나 과학의 목적은 물질세계의 원리탐구, 공학의 동기는 경제성과 유용성이라는 구별은 여전히 주목해야할 차이다.20세기 최고의 발명품이라고 일컬어지는 트랜지스터(transister). 방 하나를 가득메웠던 초기의 진공관 ... ...
수천개의 고리로 둘러싸인 토성 Saturn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마치 화려한 색동옷을 입고 있는 듯한 토성은 가장 가볍고 가장 많은 위성을 거느린 행성으로 관심을 끈다.토성●질량 5.69×${10}^{6}$㎏●적도지름 12만㎞●밀도 0.7g/㎤●공전주기 29.41년●태양으로부터 평균거리 14억2천5백60만㎞●자전주기 10시간14분~10시간39분망원경으로 토성을 관측한 사람치고 그 ... ...
첨단장비로 범죄와 싸운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범죄수사의 '감초'라 일컬어지는 국립과학수사연구소는 일선수사관의 활동을 가능케하는 수사의 핵심부다.살인 강도 강간 유괴 사기…. 하루가 멀다하고 우리를 놀라게 하는 강력사건이 터지고 범인은 체포된다. 고전적인 '육감수사'로는 미궁에 빠질지도 모르는 이들 사건의 해결 뒤에는 현대수 ... ...
호랑이와 악어의 사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손에 땀을 쥐게 하는 동물간의 대결. 그 중에서도 호랑이대 악어, 몽구스대 코브라의 한판은 빅이벤트다.문제1. 어항속의 미꾸라지를 관찰하면 물위에 얼굴을 내밀고 공기를 들이 마신 후 물속으로 들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왜 이런 행동을 할까?①몸이 무거워 자꾸 밑으로 가라앉으므로 부레에 ... ...
2. 바다는 지구 생물의 80%가 사는 거대한 수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첨단 유전공학기술을 해양생물에 적용하는 연구가 70년대 이후 활발해지고 있다.해양생물공학은 지구표면의 7할을 차지하면서도 아직 인류의 미답지역인 해양에 서식하는 생물을 대상으로 한다. 생물이 지닌 각종 물질변환 정보변환 에너지변환의 기능을 직접 간접으로 이용하여 식량 의약품 화학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