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d라이브러리
"
팀
"(으)로 총 2,719건 검색되었습니다.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태반에서 무언가 신비스런 물질을 찾아내고자 했다.카를로스 미야레스 캬오 박사
팀
이 주축이 된 쿠바의 국립생명과학연구소 태반요법센터에서 20여년 간 사람 태반 연구를 통해 개발된 화장품은 주름 개선과 뛰어난 피부재생, 미백 효과로 세계각국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고 한다. 태반화장품은 최근 ... ...
3 득점의 꽃 프리킥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더 많이 소모되니, 수중경기는 이래저래 힘든 경기가 될 수밖에 없다.또 아사히 교수
팀
의 연구 결과는 공의 무게중심부터 발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공의 회전수가 많아진다는 사실을 보여줬다. 그렇다고 마냥 무게중심에서 먼 곳을 차면 안된다. 발이 공에 닿는 시간이 짧아지고 닿는 영역도 작아지기 ... ...
상부상조하는 지혜의 동물 말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백년 전에는 말을 탄 1천명의 선수가 한
팀
을 이뤄 실시됐다. 지금은 4명이 한
팀
을 이뤄 두
팀
간에 긴 막대를 갖고 공을 골에 넣는 스포츠로 정착됐다. 올릭픽 정식 종목이기도 한 마장마술은 약 5분 간 기수가 말을 다루는 정교한 기술을 겨룬다. 장애물경주 역시 1830년 영국의 센트올반스에서 처음 ... ...
'몸이 재산' 프로선수 독특한 체격 진화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어떤 체형을 유지하면서 변화해왔는가를 알아보지 않을 수 없다.호주의 케빈 노톤과
팀
올즈는 운동선수들의 체형이 과연 어떻게 변해왔는가를 연구해온 학자들이다. 이들은 지난 1백여년 간 프로스포츠, 세계챔피언십 그리고 올림픽에 참가한 22종목의 선수들에 대한 자료를 수집해 선수들의 ... ...
한국여성 과학계 참여 10%도 못미쳐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공학분야 - 김은경김은경 박사는 현재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 화학소재연구부 7
팀
장이다. 1982년 2월 연세대 이과대학 화학과를 졸업하고 1984년 2월 서울대 자연과학대학원 화학과 석사를 취득한다. 그리고 1990년 8월 미국 휴스턴대에서 화학과 박사를 취득했다. 이후 곧바로 휴스턴대에서 ... ...
2. 히딩크호 세계 장벽 넘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세트 플레이를 비롯한 다양한 공격전술의 능력을 극대화시켜야 한다.물론 한국대표
팀
의 12번째 선수‘붉은악마’의 힘찬 응원에 힘입어 우리땅에서기를 펴고 싸워야 한다 ... ...
왜 생명과학자는 단백질에 유독 관심을 가질까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99% 해독이 꼽힐 것이다. 이는 6개국으로 구성된 국제컨소시엄인 인간게놈프로젝트
팀
(HGP) 미국 벤처기업인 셀레라지노믹스사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한 인간게놈프로젝트가 결실을 맺은 것이다.그런데 이 사건 며칠 후 타임지에는“인간게놈 해독의 경주여, 안녕! 이제 인간프로테옴 해독의 경주가 ... ...
완성된 공룡 멸종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식물군이 유성 충돌 직후 몇몇 종류의 양치류로 갑자기 대체됐음을 발견했다. 또한 조사
팀
은 문제의 석탄 조각을 지구화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 조각에 이리듐, 코발트, 크롬의 함량이 매우 높다는 사실을 밝혔다. 특히 이리듐의 함량은 지구상 어느 암석보다 높았다. 이들 세가지 원소는 지각보다 ... ...
제1회 청소년 물리탐구토론대회 - 발표 · 반론 · 평론의 3박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학교
팀
이 모두 과학고였다는 사실이 아쉬운 점이었다. 학생들이 해온 결과를 살펴보면
팀
이 함께 오랜 시간 동안 토론하고 실제 실험을 해봐야 하는데, 일선학교의 학생에게는 그만한 공간과 시간이 마련되기 힘들다. 하지만 과학고 학생들은 기숙사에서 공동으로 생활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을 함께 ... ...
국내 연구진 탄소나노튜브 위치제어 성공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이들을 선택적으로 만들어내지 못한다. 최원봉 박사는 “앞으로 우리 연구
팀
은 산화알루미늄 기판의 구멍 크기를 통해 반도체만을 만들어내는 방법을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의 이조원 박사는 “앞으로 10년 정도 지나면 탄소나노튜브 반도체소자가 실질적인 제품에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