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묘사
말씨
말
표시
서술
발상
말투
d라이브러리
"
표현
"(으)로 총 4,88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210인 1024개만큼의 정보를 나타내지만, 비트는 0 아니면 1이므로 한 번에 하나의 정보만
표현
할 수 있다. 반면 양자 컴퓨터는 큐비트(양자비트)를 정보의 기본 단위로 쓴다. 큐비트는 0과 1의 중첩 상태에 있다. 양자 컴퓨터는 이 중첩 상태에 양자역학적인 상호작용을 가해 계산한다. 따라서 1 ... ...
왜 덧셈보다 곱셈을 먼저 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방법은 괄호가 필요 없어 편리하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앞에서 계산한 방법을 지금 쓰는
표현
방법으로 나타내면 ‘1+2×3’ 과 같이 나타내야 해 괄호가 필요하지요. 지금과 같이 두 숫자 사이에 연산 기호를 쓰는 이유는 많은 수학자들이 이 방법이 편리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간단한 예로 ... ...
광펌핑 세슘원자시계 KRISS-1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된다. 세슘원자의 진동수와 같은 파장(마이크로파)을 만들고, 이 파장을 이용해 시간을
표현
하는 방식을 주로 쓴다. 세슘원자의 주파수와 사람이 인위적으로 만든 주파수를 비교하며 주파수를 몇 배로 늘리거나 빼는 방법을 써서 계속 나누어 나가다 보면 마지막에는 정확하게 1초를 만들 수 있다. ... ...
나 대신 옷 갈아입는 아바타 쇼핑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영화 ‘불꽃처럼 나비처럼’에서는 대결 중 무사들의 도포가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표현
하는 데 이 기술이 사용됐다.이외에도 가상현실을 의복에 적용해 소비자들이 더욱 편하고 즐겁게 쇼핑하고 마음에 꼭 들면서 몸에도 잘 맞는 옷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몇 년 후에는 영화 ... ...
소프트웨어 개발의 시작과 끝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정말 글로벌 인재로 성장하고 싶다면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
하고, 남의 생각을 듣고 글로 적어내야 한다. 다른 프로그래밍 능력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글쓰기를 적극적으로 연마하기 바란다. 글로 제대로 적을 수 있어야 문서가 생명력을 갖는다. 그 문서가 수백 명, 수천 ... ...
설렘과 슬픔이 공존하는 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한다. 설렘과 애달픔이 기묘하게 뒤섞인 느낌이랄까.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표현
하지는 않더라도 그 비슷한 느낌을 받을 것이다.그런 상태를 좀 더 민감하게 느끼는 경우, 앞서 말한 것처럼 환절기병을 앓게 된다. 이 세상 대부분의 문제는 내가 새로운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데서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있다. 일각에서는 이를 완전대체론에 빗대어 ‘부분대체(leaky replacement)’라는 말로
표현
하기도 했다. 이에 따르면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는 약50만 년 전에 살았던 공통조상에서 서로 갈라져 나온 사촌지간이 맞다. 하지만 아주 일부 인구가 (어떤 이유에서인지) 유전적으로 교류했고, 그 후 ... ...
나눌 때는 왜 역수를 곱하나?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또 $\frac{3}{5}$÷$\frac{2}{7}$ 와 같이 나누어떨어지지 않는 경우, 역수를 곱하여 분수로
표현
하면 $\frac{3}{5}$×$\frac{7}{2}$= $\frac{21}{10}$과 같이 바로 답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나눗셈을 할 때는 역수를 곱합니다 ... ...
언어를 모르면 수 개념도 몰라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3보다 큰 수를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골딘매도우 교수는 “숫자를 나타내는 단어나
표현
을 몰라 생기는 문제가 아니다”라며 “8을 의미하는 단어가 ‘7보다 하나 크고 9보다 하나 작다’는 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3보다 큰 수에 대한 개념이 없어 이것에 대해 소통할 수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외계인과 몬스터는 지구에서 셈하기 답답해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몬스터 주식회사’의 괴물들처럼 손가락이 제각각일 때는 물론 문명이나 수의
표현
방법이 전혀 다른 곳에서도 2진법만큼은 통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면 사람이 쓰는 10진법보다는 단순하고 편리한 2진법이 통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