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념
사상
이념
생각
취지
표상
의미
뉴스
"
개념
"(으)로 총 2,827건 검색되었습니다.
들어는 봤나?! 수학특성화중학교!
수학동아
l
2016.10.11
어려워하는 친구에게 수학을 알려주라고 권해주고 싶어요. 설명을 해주는 과정에서
개념
을 더 제대로 이해할 수도 있거든요. 여러분한테도, 그 친구한테도 큰 도움이 되니 일석이조죠! 그리고 가끔 수학 공부에 지칠 때가 있을 거예요. 그럴 때면 수학특성화중학교 같은 수학소설을 읽으며 수학의 ... ...
새집증후군 원인물질 ‘툴루엔’ 초정밀 센서로 잡는다
2016.10.11
KAIST 연구팀이 개발한 다공성 툴루엔 감지 소재 - KAIST 제공 김두일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새집증후군의 원인 물질인 ‘툴루엔’의 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톨루엔은 접착제, 페인트 등에서 나오는 물질로, 중추신경계와 호흡기관에 이상을 일으키 ... ...
걷기만 해도 스마트폰 충전… ‘에너지 수확’ 기술 나왔다
2016.10.07
UNIST 제공 걸음걸이나 스쳐 지나는 산들바람만 만으로도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는 신
개념
발전기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백정민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구름에서 번개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마찰전기 발전기’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번개는 구름 내에 ... ...
[2016 노벨 물리학상] 평평한 2차원에서 일어나는 기묘한 현상
2016.10.05
등으로 구멍의 수를 기준으로 나눌수 있는데, 구멍의 숫자는 반드시 정수여야 한다. 이
개념
은 양자홀 효과가 정수배만큼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양자홀 효과가 일어날 때 전자는 반도체 사이의 얇은 막을 자유롭게 오가며 ‘위상적 양자 유체(topological quantum fluid ... ...
[2016 노벨 생리의학상] 日과학자의 자가포식 메커니즘 발견
2016.10.03
세포막을 닫아 세포 속 물질을 없앨 수 있다는 것을 관찰하며 처음으로 자가포식이란
개념
이 생겼다. 이때 닫힌 세포막은 작은 주머니를 만들어 그 안에 세포 속 물질을 담았고, 그 주머니들은 세포 속의 재활용 처리장 ‘리소좀’으로 이동해 사라졌다. 하지만 1990년대 초기에 오스미 요시노리가 ... ...
평균 연구비 가장 높은 연구기관은 ‘항공우주硏’
2016.09.28
연구의 성격에 따른 장비 구매비, 인력비율 등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무조건 분배
개념
에서 해석하긴 어렵다는 주장도 나온다. 항우연 측은 “한국형발사체 사업의 경우 연구비의 약 80%는 산업체에 지급하는 제작비”라며 “각 연구소의 과제 특성을 고려해 연구비 규모를 비교해야 한다”고 ... ...
환경문제 주범 ‘녹조’로 전기 만든다
2016.09.27
전류량도 이와 비례해서 늘어났다. 류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은 새로운
개념
인 ‘바이오-태양광 에너지 변환 기술’의 실용화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저널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스(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9월 14일자에 ... ...
운명적인 장소
2016.09.24
아프리카 어느 마을에는 있단다. GIB 제공 동물은 다르다. 식물(‘植’物)의 대응
개념
으로 이름 지어졌을 동물(‘動’物)은 말 그대로 스스로 움직일 수 있기에 먹이를 찾기 위해 자주 이동하거나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에서 터전을 이룬다. 그 점에서는 동물 중에서 독보적으로 진화해 문명을 이룬 ... ...
수소↔전기변환 자유자재… 신
개념
수소배터리 나왔다
2016.09.22
국내 연구진이 전기를 수소로 바꿔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다시 발전할 수 있는 고효율 ‘수전해전지’ 전지를 개발했다. 태양광이나 풍력 같은 신재생에너지의 활용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기술로 기대된다. 김건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신지영 동의대 교수팀과 ... ...
붉은 빛 이용해 암 조직 파괴하는 물질 개발
2016.09.19
빨간 빛을 내는 광감각제를 개발한 UNIST 연구팀 - UNIST 제공 빛으로 암세포를 치료하는 ‘광역동 치료’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광역동 치료에 꼭 필요한 고효율 ‘광감각제’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권태혁 울산과학기술원(UNIST) 자연과학부 교수팀은 같은 학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