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뉴스
"
미국 항공 우주국
"(으)로 총 2,27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난 겨울 이상 폭우에도 런던이 침수하지 않은 이유는?
과학동아
l
2014.05.18
남극 빙하가 매우 빠른 속도로 녹고 있다는 미
항공우주국
(NASA)의 최근 연구 결과로 이야기를 시작했다. ... 빙하가 녹아 200년 뒤에는 뉴욕이 잠길 것이라는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가 실리기도 했다. 킹 대사는 “지구온난화는 이미 오래전에 시작됐다”며 “남극 빙하가 ... ...
엇, 추워! 지구 북극만큼 차가운 갈색왜성 발견
과학동아
l
2014.04.28
천문학과 케빈 루만 교수팀은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광역적외선탐사망원경을 통해 갈색왜성이 내뿜는 적외선을 관찰해 찾을 수 있었다. 이 갈색왜성은 대기 온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하 48℃에서 영하 13℃ 정도로, 지구의 극지방과 비슷하다. 루만 교수는 "이번에 발견한 ... ...
세상을 바꾸는 힘 ‘엔지니어링’
동아사이언스
l
2014.04.28
미래의창 제공 폰 카만은 이후
미국
으로 건너가 미
항공우주국
의 주요 연구소 중의 하나인 캘리포니아공과대학의 제트추진연구소를 창립하고
미국
의 로켓 개발 프로그램과 초음속
항공
기 개발 분야에서 큰 업적을 남긴다. 그는 스스로를 분명하게 엔지니어라고 규정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 ...
이번엔 '진짜' 제2의 지구?
과학동아
l
2014.04.20
찍은 사진일까. 이번 주 ‘사이언스’는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발견한 행성인 ‘케플러-186f’를 표지에 담았다. 케플러-186f가 큰 화제를 모은 이유는 지구와 ‘닮은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 물이 흐르고 생명체가 살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말이다. NASA는 200 ... ...
우리는 왜 달로 가야 하는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4.18
떠나니 우리도 가야 한다는 식은 더욱 아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달 궤도선 '라디(LADEE)'. 그림은 달 저궤도에서 달의 희박한 대기와 표면에 있는 먼지 입자를 관측하는 상상도. - NASA 제공 최근 각국에서 보낸 달 탐사선들의 주요 임무를 살펴보면, 달 탐사의 흐름을 알 수 있는데, 탐사 범위가 ... ...
[과학의 달 기획]사이언스 마이크: 당신에게 과학이란? ③
과학동아
l
2014.04.17
성과주의 풍토가 힘들어요” “학창시절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화성으로 탐사선을 쏘아 올리는 모습을 보고나서부터 공학도를 꿈꿨습니다. 너무 멋있었거든요. 대학교 1~2학년 때까지만 해도 ‘오퍼튜니티’ 같은 우주선을 만드는 게 꿈이었어요.” 권범진 KIST 연구원은
미국
일리노이대 ... ...
우주인 소변으로 전기 만든다고?
과학동아
l
2014.04.13
등도 만만치 않은 골칫거리가 될 수 있는데,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소변을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최근 내놔 우주인의 불편사항을 조금씩 해소하고 있다. NASA 제공 NASA 에임스연구소 에두아르도 니콜로 박사팀은 소변으로 전기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최근 개발했다고 밝혔다. UBE(Urea ... ...
3단계 태양흑점 폭발 또 발생
과학동아
l
2014.03.30
0일 태양흑점 폭발 현상이 나타난 2017 지점. -
미국
항공우주국
(NASA) 제공 국립전파연구원 우주전파센터는 30일(일) 새벽 2시 48분에 3단계 태양흑점 폭발 현상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흑점 폭발 규모는 태양X선의 세기, 유입된 태양입자의 양 등에 따라 최고 5단계로 구분되는데 올해 3단계 이상이 ... ...
우주에 핀 ‘해바라기’…제2의 지구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03.25
곧 칠흑같이 진한 그림자에 가려 없어진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이 개발 중인 ‘별 가리개’의 모습이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연구진은 외계에서 지구와 크기나 기온이 비슷한 ‘제2의 지구’를 효과적으로 찾기 위해 새로운 우주비행체를 개발해 시제품 제작에 들어갔다고 20일 밝혔다. ... ...
우주론 연구는 '노벨상 노다지'
과학동아
l
2014.03.21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물리학과 교수와 존 매더
미국
항공우주국
(NASA) 고다드센터 박사는 우주배경복사가 복사선을 완전히 흡수하는 흑체(Black body)가 방출하는 ‘흑체복사’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균일하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해 2006년 노벨 물리학상의 주인공이 됐다.
미국
천체물리학자 조지프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