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7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위성으로 본 중국, 초미세먼지 원인 이산화질소에 하얗게 뒤덮여
동아사이언스
l
2019.03.08
더욱 선명해졌다. 데카르트랩 제공 이산화질소를 비롯한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은 태양
빛
을 만나면 광화학반응을 통해 초미세먼지로 바뀐다. 이산화질소는 무언가를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도시에서는 대부분 자동차를 통해 배출되고, 굴뚝에서 매연을 내뿜는 화력발전소나 공장도 원인으로 ... ...
빛
쪼이면 2분 안에 뚝딱, 회전하는 3D 프린터 나왔다
과학동아
l
2019.03.07
이용해 합성수지인 아크릴레이트 액체가 든 실린더에 비췄다. 실린더가 회전하는 동안
빛
에 노출된 아크릴레이트는 광자를 흡수하며 딱딱하게 굳었다. 이 과정에서 아크릴레이트 액체 속에 3D 물체가 통째로 만들어졌다. 수cm 크기의 물체를 프린팅하는 데 약 2분이 걸렸다. 연구에 참여한 헤이든 ... ...
이스라엘 민간 달 탐사선, 달 찾아 가다 잠시 셀피 '찰칵'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베레시트가 지구에서 3만7600㎞ 떨어진 지점에서 찍은 사진을 공개했다. 지구 속에서 붉은
빛
을 띄는 대륙은 호주 대륙이다. 베레시트에 달려 있는 이스라엘 국기와 아래 글귀도 선명하게 찍혔다. 히브리어로 적힌 ‘이스라엘 민족이 살고 있다’는 글귀와 함께 영어로 ‘작은 나라, 큰 꿈’이라는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최현용 교수 “기술 발전은 과학적 이해가 선행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를 탄소 원자가 한 층으로 만드는 물질인 그래핀과 연결한 소자를 설계했다. 이 소자는
빛
과 전압만으로 스핀과 밸리 정보를 제어할 뿐 아니라 기존 양자기술에서는 불가능했던 상온 동작에도 성공했다. 컴퓨터 연산에 쓰이는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를 높이면서도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 ...
다채로운 색 구현하는 나노 필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수십 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크기로 제작된 2개의 ‘나노 포토닉 구조’를 쌓는 원리로
빛
의 반사 스펙트럼을 가시광 대역에서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나노 포토닉 구조는 나노미터 크기로 만들어진 표면이나 입자가 만드는 광학적으로 특별한 현상을 뜻한다. 연구팀은 이 ... ...
150년 맞은 주기율표, 한국 이름 딴 원소 탄생은 언제...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탄소 대신 규소로 된 존재가 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발견된 적은 없다.
빛
의 속도로 270만 년 가야 하는 거리에 위치한 성운 NGC604.밝은 부분이 이온화된 수소가 있는 부분이다. 여기에서 별이 탄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사진제공 NASA 26번 철(Fe) 철은 별이 만들 수 있는 가장 무거운 ... ...
암세포만 골라 염색하고 치료하는 내시경 치료용 신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03
많이 나타나는 ‘뉴클레올린’이라는 단백질에 잘 달라붙는다. 광응답제는 특정 파장의
빛
을 받으면 활성산소를 발생시켜 암 세포를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두 물질을 붙인 뒤 인체 조직 내부에 뿌리면 종양 부분만 염색돼 뚜렷이 구분된다. 여기에 높은 에너지를 가진 레이저를 쏘이면 암 세포만 ... ...
[표지로 읽는 과학] 색소 없이 물방울로만 그린 그림
동아사이언스
l
2019.03.02
바꿀 수 있다. 이렇게 만든 물방울을 코끼리 모양으로 배치해 염료가 없이도 단지
빛
과 물방울만으로 다양한 색깔로 색칠한 코끼리를 그려내는 데 성공했다. 물방울로 그려낸 최초의 그림이다 ... ...
이스라엘 달 탐사선, 첫 궤도조정 실패하며 난항 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발사 직후 센서가 태양
빛
에 예상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밝혀져 태양
빛
이 없는 쪽에 맞춰 제한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베레시트 기술진은 이런 임시적인 조치가 컴퓨터 자동 재부팅과 연관돼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이틀 안에 자동 재부팅의 원인을 찾아내 다음 번 궤도조정 ... ...
남극 해양 탄소순환, 미생물에 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남극은 12월에서 1월 사이 짧은 여름 동안 바다를 덮고 있던 해빙이 녹아 바다가 태양
빛
을 받는다. 이때 식물플랑크톤은 긴 겨울 동안 바닷속에 축적된 영양분을 이용해 폭발적으로 자란다. 문제는 짧은 여름이 끝날 무렵이면 플랑크톤이 사라지면서 고정된 탄소도 대부분 대기로 방출되는 현상이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