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환경
황태
말린 명태
명태
동태
북어
노가리
뉴스
"
생태
"(으)로 총 3,25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강우가 미세먼지 근본 대책이 될 수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9.01.26
질 개선을 위해 대량으로 요오드화은을 살포할 경우 떨어진 비가 토양을 오염시키거나
생태
계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 국립기상과학원 관계자는 “해외에서 인공강우의 주목적은 비를 내릴 수 있는 구름이 있을 때 강우량을 늘리는 데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주류 과학계에서는 오랜 ... ...
[이강운의 곤충記]자연을 거스르지 않는 곤충은 하등한 생물일까?
2019.01.23
※ 필자소개 이강운 곤충학자 (holoce@hecri.re.kr) 서울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홀로세
생태
보존연구소 소장, (사)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 회장이며 국립인천대학교 매개곤충 융복합센터 학술연구 교수. 과학동아 Knowledge 칼럼 ‘애벌레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한국의 나방 애벌레 도감Ⅰ ... ...
[다보스포럼] "44년간 척추동물 60%가 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3
“
생태
계 파괴를 위한 우리의 행동이 너무 광범위해 우리는 우리가 인지하지도 못한 채
생태
계를 멸종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2019 WEF 글로벌 리스크 보고서 ... ...
5G 산업 현장에 간 세 장관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2
사내벤처, 스마트공장 구축 등 대기업의 상생협력 활동을 적극 후원하여 개방형 혁신
생태
계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과기부 관계자는 “이번 현장방문은 과기정통부가 산업부, 중기부 등 관계부처가 합심해 성공적인 세계 최초 5G 상용화는 물론 진정한 5G 강국으로 거듭나고자 하는 정부의 ... ...
박진우·장석인 일진상,주원종 교수·김찬중 연구원 해동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1.21
신성장동력 육성방안을 제시해 기술정책 발전을 이끈 공로를 인정받았다. 새로운 산업
생태
계 조성 및 주력산업 고도화 등 다수의 기술정책과 산업정책을 체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한국 제조업 발전과 기술정책 발전에 혁신적으로 기여했다. 해동상 수상자인 주 교수는 해외 대학의 코업(co-op) ... ...
인공지능(AI) 학습용 공개데이터 4400만건으로 확대
동아사이언스
l
2019.01.21
누구나 인공지능(AI)을 개발할 수 있도록 현행 4종 1436만건이던 AI 학습용 공개 데이터가 올해까지 21종 4400만 건 이상으로 확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 ...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기술력 있는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역량을 확보할
생태
계를 마련하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저출산의 미스터리
2019.01.20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을 높이고 싶은 간절한 마음이 있다면 가장 중요한
생태
학적 장애물을 제거해야 합니다. 바로 세대 간 지식 전달에 드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사회 전체가 분담하는 것입니다. ※ 필자소개 박한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 ...
[애니멀리포트] 반려동물 버리면 야생동물도 위험에 빠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1.19
생존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다만 “한국도 유기동물이 고립된
생태
계를 이루는 산과 섬으로 떠나지 않도록 책임지고 돌봐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호주에서 멸종된 불독쥐. P.J.Smit(W) ‘들개’ 재교육하는 백사마을 서울시는 정기적으로 산속 유기견을 포획해 ... ...
철거위기 청계천·을지로 상인·장인들"제조산업문화특구 지정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대표는 최근 폐업 신고를 하고 다른 지역으로 떠난 청계천 장인의 사례를 들며 청계천
생태
계를 떠나서는 장인들이 생계를 유지할 수 없음을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곳에서 장사를 접고 타지역으로 간 사람을 최근 청계천에서 만났다”며 “청계천에 온 이유를 물으니 타 지역에서는 아무런 ... ...
2040년 아라비카와 로부스타 커피 못마신다…야생커피종 60% 멸종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연구진은 기후변화 이외에도 군락지 파괴, 해충, 수목병과 같은 요인도 커피콩의
생태
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국립과학원과 호주기후학회도 비슷한 연구내용을 발표한 바 있다. 미국 국립과학원은 지난 2017년 커피가 사라질 위험에 있다고 경고했다. 2050년까지 현재 커피를 키우는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