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알맹이
컨텐츠
요점
골자
실질
내용물
속
스페셜
"
내용
"(으)로 총 2,92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
2017.12.19
능동적 망각인 고유망각 개념을 제안했는데, 이에 따르면 망각세포도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
은 본문 참조. - 뉴런 제공 ● 수면이 망각 과정 억제해 망각은 작용 양상에 따라 수동적 망각과 능동적 망각으로 나뉠 수 있다. 먼저 수동적 망각은 기억을 담고 있는 뉴런이 죽거나 손상돼 해당 기억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심지어 가까운 미래에 인류의 수명이 200~500세가 될 거라는 예측(다들 과학논문에 실린
내용
이다)은 의미가 없는 말이라는 것이다. 물론 최근 노화를 억제하거나 되돌리는 연구가 한창이지만(구글도 뛰어들었다) 언제 이런 약물이나 치료법이 임상에 적용돼 효과를 볼지는 아직 미지수다. 예를 들어 ... ...
빙하가 무너져 내리는 '얼음 사태' 그 원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2.03
자주 발생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오슬로대학 빙하학자 아드리안 길버트의 조사
내용
따르면 2016년 여름 무너져 내린 티베트 서부 빙하는 1990년대 이후 강설량이 꾸준히 늘었다. 또한 지난 5년 동안 기온이 1.5℃나 올랐다. 모델링 컴퓨터 프로그램에 이런 변화를 입력하자 빙하 표면에 존재하는 ... ...
[ 지뇽뇽의 사회심리] 겸손이란 뭘까
2017.11.25
것이다. 이런 태도가 크게 도움이 될까 싶지만, 실패를 맞닥트리게 되는 경우 자기지각의
내용
이 지나치게 긍정적인 사람 또는 부정적인 사람에 비해 비교적 정확한 자기지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제일 정서적 충격을 덜 받고 묵묵히 할 수 있는 일에 전념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연구들이 있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최근 연구결과 두 편을 소개한다. 그런데 뜻밖에도 기생충에 대한 게 아니라 암에 대한
내용
이다. 구충제와 암이 무슨 관계가 있을까. ● 구충제 NTZ, 항바이러스효과에 항암효과까지 학술지 ‘네이처 화학생물학’ 10월 30일 온라인판에는 구충제 니타족사나이드(nitazoxanide. 이하 NTZ)가 특정 유형의 ... ...
독일 소년은 어떻게 희귀 피부병을 고쳤나
동아사이언스
l
2017.11.19
못하는 것은 물론 매일매일 붕대를 감고 살아가야 하는 소년의 치료를 도와줄 수 없냐는
내용
이었다. 이 소년은 중증 ‘수포성 표피 박리증(EB·Epidermolysis Bullosa)’이라는 희귀병에 걸린 상태였다. 피부는 표피와 진피로 이뤄진다. EB는 표피와 진피를 연결하는 단백질(라미닌332)의 ... ...
[사이언스 지식IN] 연초형 일반 담배 VS 궐련형 전자담배, 건강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1.15
전자담배의 유해성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한 상태입니다. 담배 회사에서 발표한
내용
을 곧이곧대로 믿을 수도 없고요. 오늘은 담배 애호가들은 명확히 안다는 담배의 종류별 차이점부터 ‘궐련형 담배는 얼마나 해로운가’에 대한 국내외 연구사례까지 그 궁금증을 하나씩 벗겨 볼게요. Q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알 수 있다(7분 지점). 위는 원 데이터이고 아래는 이를 분석한 그래프다. 자세한
내용
은 본문참조. - 플로스 원 제공 ● 수면에 미치는 영향은 심리적 측면 아냐 흥미롭게도 연구자들 역시 논문 말미에서 파란빛의 모순을 언급하고 있다. 즉 수면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를 억제하는 각성작용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논문이 생각났다. 동아시아에서 약재로 쓰이는 몇몇 약초가 간암을 일으킨다는 충격적인
내용
이다(특히 대만과 중국 사람들이 피해가 컸다). 그런데 사실 이 약초 가운데 하나가 이미 20여 년 전 많은 사람들에게 신부전증을 일으키는 게 밝혀져 사용이 금지됐음에도 여전히 널리 쓰였고 약성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
2017.10.31
결론은 배양 기술에 획기적인 진전이 생기지 않는 한 비용을 더 낮추기는 어렵다는
내용
이다. 가장 큰 문제는 배양액 1밀리리터당 세포 수가 100만 개가 넘으면 더 이상 세포분열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결과 수혈용 혈액 한 단위에 필요한 적혈구 2조 개를 만들려면 배양액이 적어도 2500리터가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