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d라이브러리
"
높이
"(으)로 총 2,575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량 가격경쟁력 면에서 LNG가 우세
과학동아
l
199204
LPG 가스를 각각 풍선에 채웠을때 수소가스 풍선처럼 천연가스가 주입 된 풍선은 하늘
높이
올라가는 반면 LPG 가스 풍선은 땅으로 내려앉는다. 이와 같은 특성은 천연가스가 공기대비 비교중량(비중) 이 0.626으로 가벼운 반면 LPG 가스는 1.5~2.0으로서 무겁기 때문이다. 만약 실내에서 가스를 사용할 때 ... ...
새봄 새싹 위에 펼쳐지는 작은 촛불잔치
과학동아
l
199204
베타별과 감마 별 사이에 '우리 은하의 북극'이 자리하고 있다. 이 때문에 머리털자리가
높이
떠올랐을 때에는 은하수를 볼 수 없다. 머리털자리가 은하의 북극에 자리하고 있는 이유로 이곳에는 망원경을 이용하여 성운과 외부 은하를 관찰하기 아주 좋은 지점이다. 이곳에는 3천개 이상의 성운과 ... ...
티벳
과학동아
l
199204
나눌 수 있다. 이 기기묘묘한 온천들은 기포와 물끓는 소리를 내며 흰 물안개를 하늘
높이
올리고 있다. 이곳 온천들의 수온은 72℃ 에서 92℃에 이르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하루의 용출량도 수백t에 이르는 것들이 많다고 한다.하천 오아시스를 이루고이곳에는 중국 최대의 지열발전소가 건설 돼 있다 ... ...
곤충서 힌트 얻은 여섯발 로봇
과학동아
l
199204
없었다.제너럴일렉트릭(GE)이 먼저 나서기 시작했다. '걸어다니는 트럭'이라고 명명한
높이
3m, 무게 1.5t의 트럭은 자동엔진으로 한 발자국씩 네 다리를 움직여 약 5마일의 속도로 걸어다녔다. 그러나 그것을 조종하는 운전자에게는 고역이었다. 모두 12개의 관절마디를 수동식으로 조정하는 것은 너무 ... ...
팔만대장경
과학동아
l
199204
현재 해인사가 들어서있는 위치는 해발 7, 8백m
높이
. 풍수지리설이 아니더라도 이 정도의
높이
는 인간이 살기에 가장 쾌적한 환경인 것으로 꼽힌다.한편 장경각이 서 있는 아래쪽의 지반은 해인사내의 다른 부지와는 전혀 다른 토질을 갖고 있다. 즉 숯과 회 백토 모래 소금 등을 특별히 섞어 지반을 ... ...
헬륨기구 타고 세계일주 대모험
과학동아
l
199203
Airdock). 수주동안 기구를 부풀렸다가 창공에 띄우는 이 발진기지의 규모는 어머어마하다.
높이
가 20층 빌딩에 맞먹으며 한쪽 면의 총연장은 미식 축구장을 네개 이어놓은 길이다.에어독을 빠져나간 기구는 고도 9.6~10.5㎞까지 올라간다. 그리고 북동쪽으로 날아갈 예정이다. 주요 경유지는 보스턴 ... ...
별은 왜 비스듬히 뜨고 지는가
과학동아
l
199203
기준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정오'라는 말은 태양이 하루 중 가장
높이
솟아있는 시각을 보편적으로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자정'이란 (그림10)에서와 같이 태양이 지구를 중심으로 관측자의 반대편에 있는 '한밤중'을 의미한다.별들이 매일 서쪽으로 1°씩 치우쳐 간다는 말은 별들이 ... ...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03
때문에 배로 좇아가면 물속으로 숨어버린다. 영어명이 다이버(diver). 그러나 한번 날면
높이
오래 난다고.몸이 까매 물까마귀로 불리기도 하는 가마우지는 자신이 살고 있는 바다에 똥을 싸지 않고 반드시 육지에 올라와 암벽에만 똥을 싼다는 것을 눈으로 확인한 것도 큰 수확. 가마우지의 ... ...
봄소식 전해주는 동물들의 기지개
과학동아
l
199203
빛나고 있다. 봄의 시작을 알리는 사자자리의 가장 밝은 별 레굴루스는 남쪽 하늘로
높이
올라오기 시작한다.이제 포근해지기 시작한 날씨를 느끼며 저녁 하늘 별들 속에서 새로운 정을 가꾸어보자. 이밤 제일 먼저 이야기할 별자리는 겨울의 가장 뒷편에 자리한 밝은 두 별의 이야기이다. ... ...
주남·낙동강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03
권혁명 지도교수가 말씀하시기를 아비가 한번 날면 날개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높이
비상하며 시베리아까지 멀리 간다고 했는데 그 힘이 어디서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하등조류이기 때문에 다른 새와는 달리 기름분비선이 없어 한번 물속에 들어갔다 나오면 몸을 말려야 한다는 것도 생태학적으로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