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설비
시설
장치
설립
세트
설치물
창설
d라이브러리
"
설치
"(으)로 총 3,01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글 워드프로세서 어떤 것이 좋을까
과학동아
l
199304
등의 워드 프로세서 보다 앞서는 점이다.백상 워드프로세서의 경우 자형이나 문서가
설치
된 경로까지 바꿀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과연 이 기능이 꼭 필요한 것일까"라는 의구심을 가질 사람도 있을지 모르지만 사용자를 위한 선택 폭을 다양하게 했다는 점에서 높이 사고 싶다.외국의 ... ...
발명
과학동아
l
199304
분간 방송(재방송은 매주 일요일 오후 4시 5분)되고 있다.또 전국의 6천여 초중고등학교에
설치
돼 있는 발명반도 아마추어 발명가의 등용문이 되고 있다. 발명반에 들어가 발명경험과 정보를 나누고 공동발명품을 제작해 보면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 또 매년 5월경에 개최되는 ... ...
① 빛은 우주의 비밀 캐는 열쇠
과학동아
l
199303
실어 대기권 밖으로 올리는 일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렇게 우주 공간에
설치
된 것들은 우주 망원경(space telescope)이라 부르고, 우주 망원경을 통하여 연구하는 천문학의 분야를 우주 천문학(space astronomy)이라고 한다.우주 망원경의 대표적인 예로는 세계적으로 뉴스거리가 되었던 허블(Hubble) ... ...
⑤ 한국천문학의 미래를 건다
과학동아
l
199303
7.2m)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이하다.현재 보현산에는 1m 자동망원경과 태양플레어망원경도
설치
할 계획이다. 보현산 망원경은 1995년부터 이용될 전망인데, 이는 우리나라에서도 진정한 의미에서의 본격적인 광학 천문학 연구가 시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대학의 천문학 교육 활성화와 국제 수준의 ... ...
② 거인의 눈으로 천체를 살핀다
과학동아
l
199303
천문대의 전신이었던 국립천문대는 74년 9월에 설립됐는데, 60cm 광학 망원경을 소백산에
설치
하기로 결정한 것은 그보다 2년전인 72년 5월 한국천문학회에서다. 소백산천문대는 78년 9월 준공됐다.소백산천문대 초기에 그곳에 근무하던 선배들이 겪은, 눈을 녹여 밥을 해먹었다는 고생담은 아직도 ... ...
러시아 「인공 달」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03
머물고 있는 우주비행사에게 배너를 담고 있는 드럼(drum)을 프로그레스호의 도킹장소에
설치
하라고 명령했다. 프로그레스호가 미르와 1백50m 거리에 있을 때 드럼을 회전시키는 전기모터를 작동시켰더니 일본식 팬(fan)처럼 생긴 8조각의 반사원반이 펼쳐졌다. 이 거울은 고도 약3백60km에서 회전하기 ... ...
망원경 조립·조정 요령
과학동아
l
199303
다리를 놓을 부분에 시멘트 벽돌이나 넓은 합판 같은 단단한 것을 받쳐준 후에 다리를
설치
하도록 한다.다리를 고정시켰으면 다음 다리의 윗부분에 가대부분을 조심스럽게 올리면서 다리와 가대의 연결부분을 조립한다. 가대는 수직상태에서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말고 위에서 아래로 넣어야하며 그 ... ...
국내배출 '천문학 박사 1호' 박홍서 천문대장
과학동아
l
199303
후에 94년 말부터는 공개할 예정입니다. 주망원경 이외에 태양망원경과 자동망원경을
설치
하려고 합니다."-내년이면 우리나라에 국립천문대가 탄생한 지 20년이 됩니다. 특별한 행사라도 계획하고 있는 것은···."20년이면 성년인데 독립하지도 못하고 있다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전혀 업무가 상이한 ... ...
③ 보이지 않은 우주의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03
느끼게 되었다. 이에 따라 천문대는 1985년 대덕연구단지에 구경 14m의 전파망원경을
설치
하기 시작했으며, 1990년부터는 연구 관측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 망원경은 3mm 파장대 우주 전파만의 관측과 천문대에서 직접 개발한 7mm 파장대 수신기 및 독일에서 개발된 2mm 파장대 수신기에 의한 우주 전파 ... ...
원격조종의 세계
과학동아
l
199303
센서들이 집적된 원격제어로봇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이 원격제어 로봇은 우주선에
설치
되어 지상에서 원격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시간지연이 가장 큰 문제원격제어 로봇의 통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우선 전송가능대역의 한계, 전송의 쇠약 현상 그리고 전송시간의 지연을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