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SPORTS, ENERGY, VITAMIN, COFFEE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온장보관 했다가 다시 냉장보관을 하게 되면, 급격한 온도변화로 침전물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이건 비단 캔커피 뿐만이 아니라 온장고 내에 들어 있는 모든 음료에 해당되는 얘기다. 하지만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음료를 온장고에 보관하기 시작한 날짜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음료가 ... ...
- [TECH] 쥐 소리 알아 듣는 AI ‘딥찍찍’ 동물 소리도 통역이 되나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동물 실험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지 않을까. 최근 미국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그 가능성을 열었다. 쥐의 언어를 분석하는 인공지능(AI)을 개발했다. 닭과 개의 소리를 인식하는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도 이미 등장했다. 동물의 언어를 이해하는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세계 최초 쥐 언어 분석 AI ... ...
- [SPACE] 21세기 우주경쟁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의 특성상 정부의 통제 하에 장기적인 계획과 투자가 이뤄져 가능한 결과”라며 “중국의 유인탐사와 다른 천체 탐사는 국방 분야는 물론이고 우주산업 분야, 특히 우주 자원 활용과 우주 영토 개척을 통해 최강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하려는 중국의 의지를 보여주는 ... ...
- [나의 중국 유학 일기] 1인실 기숙사에서 나 혼자 산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없는지, 위치는 안전한지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한번 학교 기숙사를 나가면 재입주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거주 문제는 사실 본인이 직접 살기 전까지는 잘 와 닿지 않는다. 처음에 기숙사가 1인실이라고 들었을 때는 가족 없이 혼자 산다는 점에서 자유롭고 사생활에 터치를 ... ...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 원자 하나하나 제어해 고온 초전도체 원리 밝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추가 장치를 덧붙여 STM을 완성했다. 그는 “설계상 잘못 조립할 경우 다시 되돌리는 게 불가능했다”며 “DGIST에 있는 무진동 연구실에서 고도의 집중력을 발휘해 완성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현재 서 교수는 STM으로 고온 초전도체의 원리를 탐구하고 있다. 초전도체는 전류가 흐를 때 저항이 0인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삼각형으로 둘러싸인 n차원 구 문제 g-추측수학동아 l2019년 02호
- 20세기 초반 수학자들은 3차원에서는 속이 꽉 찬 다면체에서 겉면만 이용하면 모든 가능한 단체 구와 같은 모양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합니다. 하지만 4차원에서는 그런 식으로는 만들 수 없는 단체 구가 있었습니다. 즉 g-추측의 특수한 경우는 이미 해결했지만, 일반적인 단체 구에 대해서는 ... ...
- [지구사랑탐사대] 매미 연구로 최우수상 탔어요! 매벤져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열린 ‘생태동아리 탐구대회’의 주제는 ‘기후변화가 우리 지역의 생태계와 지속가능성에 미친 영향’이었어요. 매벤져스는 지사탐에서 했던 활동을 바탕으로, 환경에 따라 서식하는 매미의 종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기로 했어요. 매벤져스는 각자 자신이 살고 있는 집 주변으로 나가 매미 ... ...
- Part 3. 대안은? 버리지도 말고, 놓치지도 말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고정시키지요. 서울수의사회 신준호 전무는 “피하조직에는 혈관이 없어 염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적다”며, “염증 반응이 있었던 경우는 주사를 놓을 때 털이 따라 들어가는 사고 때문”이라고 말했어요. 2018년 11월, 서울시는 2013년 7월까지 내장형 칩을 심은 개 4만여 마리 중 부작용이 발견된 ... ...
- [과학뉴스] TESS, ‘미니 해왕성’ 찾아내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지구 질량의 23배로 무겁지만, 놀랍게도 암석이 아닌 가스로 이뤄졌다”며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테스는 초신성 6개를 추가로 찾아냈다. 지난해 은퇴한 테스의 ‘선배’ 케플러 우주망원경보다 관측 범위가 400배가량 넓은 테스는 앞으로 2년간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 ...
- [이달의 PICK] 밥상 떠난 오징어를 찾습니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가을철 수온은 산란 적수온보다 높고, 겨울철 수온은 낮아 산란량이 감소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오징어 유생을 조사했는데, 그 결과 1990년대에 비해 밀도가 현저하게 낮았다”면서 “원인 중 하나로 기후변화를 꼽고 있다”고 덧붙였다. 갑오징어 ... ...
이전2142152162172182192202212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