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한 한"(으)로 총 9,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그러나 지역 교회들과 연계해 임신부를 위한 ‘베이비 샤워’를 열어 HIV 검사를 해주고 ... 참여를 두 배 더 이끌어내는 데 성공했다. 휴대 가능한 진단키트를 배포하자 어린이가 늦지 않게 약물치료를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됐다.연구를 이끈 NIH 포카티국제센터장 로저 글라스 박사와 미국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처음 우주 등방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건 192 ... 설명할 수 있는 신비한 자연의 전부는 ... 사이에서는 아주 기이한 천문학 관측 결과가 ... 슬라이퍼가 관측한 자료였다. 우주는 ... 그는 우주는 일정한 속도로 팽창하고 수축한다는 팽창 우주론을 ... Cosmologic ...
- [Knowledge] 천연 스펀지로 물 찍어 먹는 침팬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중요한 성취 중 하나로 꼽히는 ... 사용이다. 그만큼 중요한 능력이다. 그런데 최근 ... 사용할 줄 안다는 다양한 연구 결과가 나오고 ... 유전자가 가장 유사한 침팬지다. 돌 망치를 받침대로 이용해 단단한 견과류를 깨 먹는 ... 석기 유물을 조사한 결과, 침팬지는 무려 430 ...
- Part 3. 3D프린터로 날개 단 위상최적화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위상최적화가 미래를 크게 바꿔놓을 것 같다. 하지만 문제가 있다. 위상최적화로 설계한 물체는 복잡하고 불규칙적인 모양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드릴로 재료를 깎아 물체를 ... 3D프린터★ 덕분이다. 3D프린터는 가루나 액체 형태의 재료를 가장 아래부터 얇게 한 장씩 쌓아 올리는 ‘적층 가공’ ... ...
- [수학동아클리닉] 대나무로 이해하는 입체도형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시작해 면을 만들고 다면체를 완성한다. 이를 통해 사물의 면만 보는 게 ... 수업의 목표는 4개의 모서리를 한 점으로 모은 뒤, 정삼각형 모양의 ... 대나무 입체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학생들이 다면체를 ... 아름다움을 만들어가는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지금까지는 정다면체, ... 지오픽스, ...
- [과학뉴스] 우유주사 프로포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제기된 건 박 대통령의 단골병원으로 알려진 강남의 한 성형외과가, 언론의 취재가 시작된 직후 ... 합니다. 작용 시간이 짧고 회복시간도 짧아 간단한 시술에 주로 사용하죠. 하지만 부작용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 내시경 중 호흡이 멈춰 환자가 사망한 사례를 시작으로, 꾸준히 프로포폴 ...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기근을 불러왔다.슈밍케 교수는 박사과정 학생 한 명을 데리고 운전기사, 통역사 두 명과 팀을 꾸려 ... 백두산 정상에서 부석을 채취하고 연대 측정이 가능한 탄화목을 수집했다. 지하 마그마의 규모를 추정하는 연구도 했다. 그 결과물로 백두산이 서기 960년대 대규모 폭발을 일으켜 분출물을 ...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없는 수목원 안 깊숙한 곳으로 차를 몰고 들어가자, ... 내부와 다름없었다.한 5초 정도 흘렀을까. ... 2m 정도를 내려오자, 거대한 터널이 나타났다. 길이 12 ... 이용 중이었다. 동행한 장정원 산림청 산림복지시설사업단 시설과 연구원은 “한 터널에 100만 점의 종자를 ... 0℃의 ...
- [Knowledge] 해밀턴의 이론은 진사회성 곤충에만 적용되는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더 가깝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해밀턴의 ‘단수이배성 ... 않고서 술집에서 주워들은 한담으로 해밀턴 이론을 ... 아주 크다.”1989년에 출간한 ‘이기적 유전자’ 개정판 10장의 보주에서 도킨스가 한 말이다. 개미, 벌, 말벌 같이 ... haplodiploidy)이라는 독특한 성 결정 체계 ...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발굴된 32구의 뼈를 실험실로 옮겨 개체를 구분한 적이 있다. 상세히 기록된 도면과 사진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뼈가 애초에 무작위로 섞인 채 발견됐다면 현장보다는 실험실에서의 역할에 기대를 걸 수밖에 없다. 법의인류학자들은 뒤섞인 뼈를 구분하기 위한 다양한 훈련을 받는다. 예를 ... ...
이전2142152162172182192202212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