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초음파를 이용해 15mm2 지문 면적의 외피와 내피를 초당 38번 w촬영해 3차원 이미지로 만드는 개발했다고 국제전자전기공학회(IEEE)가 발행하는 ‘고체회로저널’에 발표했다. doi:10.1109/JSSC.2016.2604291 강화 필름 붙이면 초음파 송수신율 낮아져 초음파 지문인식 센서의 ...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그 일들이 중요하지 않다고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그런 일을 하면서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0.25%는 우주 개발을 위해서 남겨둘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의 미래가 0.25%만큼의 가치는 하지 않을까요. 저는 최선을 소망합니다. 그리고 그래야만 합니다. 우리에게는 다른 선택이 없습니다 ... ...
- 디제잉하는 수학 '인싸'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참가했는데, 제가 좋아하는 콜롬비아 음악이 나오는 거예요. 그때 ‘파티에서 늘 내가 듣고 싶은 음악을 들으면 좋겠다’고 생각해 DJ 단체를 만들었어요.Q 수학, 디제잉 모두 잘 하는 비결이 뭔가요? 둘 다 제가 사랑하는 일과 직업이라서 아주 열심히 하거든요. 돈을 얼마 버는 지에 상관없이 저는 ... ...
- [화보] 신비한 생명이 가득! 2018 야생 사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적을 감시한답니다. 적이 가까이 다가오면 등 위에 솟아 있는 커다란 돌기를 휘둘러 내쫓지요. 진흙말벌은 건축가! | 진흙말벌 두 마리가 서호주의 한 숲에서 진흙을 나르고 있어요. 진흙을 동그랗게 굴려 공처럼 만든 뒤 근처에 있는 둥지로 가져가 방을 만드는 데 쓰는 거랍니다. 이렇게 진흙으로 ... ...
- Part 1. 평창올림픽 그 후, 가리왕산 복원 논쟁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끝난 후 시설물을 철거하고 지형과 식생을 복원한다는 조건으로 강원도에 사용 허가를 내 줬어요. 그런데 작년 10월, 강원도청은 입장을 바꿔 곤돌라를 그대로 두겠다고 발표했지요. ‘경기 후 전면 복원’이라는 약속을 완전히 깬 거예요. 1월 3일 산림청은 “1월 31일까지 복원계획을 제출하지 ... ...
- [화보] 헝가리에서 날아온 유럽 나비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합니다. 훗날 제가 찍은 나비 사진들을 모아 과학 교육용 책을 출판하기 위해서입니다. 내 눈을 통해 바라본 나비를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고, 또 이를 통해 사람들이 나비에 더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
- 20대 '신선한' 난자 얼리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난소를 동결해뒀던 34세 여성에게 동결보존 돼 있던 난소를 복강 내에 이식하는 수술에 국내 최초로 성공했다. doi: 10.3346/jkms.2018.33.e156 이 교수는 “향후에는 20대 때 난소 한 쪽을 얼려두고 50대에 폐경이 온 뒤 이식해 폐경을 늦추는 방법이 임상에서 사용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스웨덴 ... ...
- 수압, 감수하시겠습니까... 해저 36m 수중 데이터센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바닷속에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려는 기발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바로 마이크로소프트(MS)의 ‘나틱 프로젝트(Natick Project)’다. 지구 ... 해양 생물이 부착돼 시야에 방해를 받고 있지만, 이는 예상했던 일이며 빠른 시일 내에 카메라를 재정비해 생중계를 재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화 ‘그래비티’의 모티브가 된 인물, 케이디 콜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조언을 구했다. 케이디는 어린 아들을 지상에 두고 우주에 간 엄마로서 가족과 떨어져 지내는 시간과 일에 대한 얘기도 나눴다고 했다. 틈나는 대로 통화하고, 함께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해주기 위해 아들이 잠들기 전 전화로 동화책을 읽어준다고 말이다. 케이디가 소유스 우주선을 타고 우주로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사건의 지평선 영상 공개 EHT가 이 프로젝트의 적절한 이름인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내부에서 다양한 의견이 있다. 구성 초기에는 물론 현재까지 EHT와 ‘블랙홀캠(Black Hole Cam)’이라는 이름이 연구자들 사이에서 혼용되고 있다. 필자는 EHT가 과학적으로는 더 적당한 이름이라고 생각한다. ... ...
이전2142152162172182192202212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