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표"(으)로 총 7,190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 책] "당신들도 그곳에서 행복하길 바랍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지름 약 30cm의 금빛 LP레코드 판이 붙어 있다. 외계문명에게 보내는 메시지다. 지구를 대표할 음악 27곡, 55개 언어로 된 인사말, 생명의 소리 19개, 환경과 문명을 보여주는 사진 118장이 수록됐다. ‘지구의 속삭임’은 보이저 발사 1년 뒤 앤 드루얀, 칼 세이건, 프랭크 도널드 드레이크, 존 롬버그, 린다 ... ...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하고 있다. 먼저 학부모를 초청해 SW의 중요성을 알렸다. 교육전문기업 퓨너스의 남이준 대표와 백은옥 한양대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학교를 찾았다. 지난해에는 안산시 과학문화축제와 경기과학축전, 한양대 축제에 부스를 마련하고 로봇SW에 대해 알리기도 했다. 다양한 SW교육 활동을 하기 위해 ... ...
- [News & Issue] 내장도 맛을 느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것으로 추정하고 연구했는데, 2005년 그 센서가 바로 맛 수용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대표적인 것이포도당을 감지하는 단맛 수용체다. 포도당은 소장 표면에서 포도당 운반을 담당하는 단백질SGLT-1에 흡수되는데, SGLT-1 단백질 속에 있는 단맛 수용체 T1R2, T1R3가 포도당을 감지한다.➏~➓ 지방 ...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종별로 군락을 이루게 한 뒤 군락 전체의 단풍 현상을 관측한다. 미국의 하버드 삼림’이 대표적이다. 미국 하버드대가 생태학적 연구를 목적으로 관리하는 하버드 삼림에는 여러 식물의 군락이 형성돼 있다. 박창균 연구원은 “우리나라도 단풍 관측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등을 따지는 정량적인 평가 방식이다. 논문 개수와 저널의 영향력이 과학적인 성과를 대표하는 지표가 아님에도 ‘공정성’이라는 이름으로 정량적인 평가를 주로 한다. 한국연구재단의 경우 2014년부터 평가자들에게 정량적 평가를 지양하고 정성적 평가를 할 것을 주문하고 있지만, 부처마다 ...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네트워크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과학동아는 국내 물리, 화학, 생리·의학 분야를 대표하는국가석학 및 국가과학자 중에서 분야별로 한 명씩을 선정해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했다. 선정 기준은 국가과학자 가운데 정부가 막대한 예산을 지원하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단장을 맡고 있거나 ... ...
- C 에코브릭, 환경을 지키는 블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넓이의 땅에 페이브젠을 깔기 위해 200만 원 이상의 비용이 들거든요. 페이브젠의 캠볼 쿡 대표는 “우리에게 남은 일은 보통 보도블록과 같은 가격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밝혔답니다.[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 있는 축구장의 모습. 이곳엔 페이브젠이 깔려있어 주변 집들에 전기를 공급한다. ... ...
- D 바이오브릭, 내 맘대로 생물체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있어요. 합성생물이 안전한지, 인공으로 생물을 만들어내는 일이 옳은지에 대한 문제가 대표적이죠.실제로 합성생물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미국과 유럽에서는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아요. 미국의 저명한 합성생물학자 크레이그 벤터가 2009년에 유전체 전체가 합성된 새로운 생물을 ... ...
- [소프트웨어] 엑스브레인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방향을 정하고 사내 의사소통을 주관한다. 이 모두를 총괄하고 이끌어가는 건 최진영 대표다. 한 명 한 명이 맡은 바 역할을 제대로 해주지 않으면 엑스브레인은 없다.회사 동료지만 친구같이 웃고 떠드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던 엑스브레인. 그들이 일하는 모습을 보면 아직 대학생이라고는 믿겨지지 ...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있지는 않았다. 어떤 미생물은 덩치 큰 다른 생물체를 먹이 삼아 새로운 삶을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한센병을 일으키는 ‘마이코박테리아 레프레(Mycobacteriumleprae )’의 조상은 자연계에서 독립적으로 살 수 있는 자유를 포기하고 인간과 운명을 같이 하기로 결정했다. 인간의 몸 밖에서 살기 위해 ... ...
이전2142152162172182192202212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