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 Math] 수학을 그린 화가 브네의 작업 노트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보고 어려워한다. 어쩌면 당연하다. 수학을 담았기 때문에 작품을 이해하지 않고 거부
반응
을 일으킨다. 하지만 예술작품은 다른 작품과의 차별화를 통해 생명력을 얻는다. 따라서‘미술에 수학을 이용할 수도 있구나’‘미술에는 한계가 없구나’라고만 이해하고 내 작품을 감상했으면 한다.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후쿠시마 원전에서 냉각수가 사라지고 뜨거운 핵연료봉의 온도를 낮추지 못하면 핵분열
반응
에 쓰이는 핵연료가 녹게 된다. 이 상태에서 원자로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폭발이 일어나면 방사성 물질이 대량으로 누출될 수 있다. 핵연료에 남아 있는 열은 한 달 넘게 지속되기 때문에 끝까지 폭발에 ... ...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할 시간적 공간적 여유가 충분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연료봉이 핵융합
반응
을 할 때 내는 푸른 빛.인류에게 너지를 선물하는 복의 빛일까, 위험을 경고하는 창백한 빛일까. 가압식이냐 비등식이냐의 차이는 평상시 방사성 물질의 유출 가능성에서 차이가 있다. 비등식은 노심에서 직접 ... ...
스마트시대, 우리는 스마트해졌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더 민감하게
반응
한 반면 글자 이미지는 글을 읽을 수 있는 사람 쪽이 훨씬 민감하게
반응
했다. 연구자들은 “원래 얼굴을 인식하는 뇌의 영역이 글을 읽는 회로를 만드는 데 활용된 결과”라고 설명했다.지난 수년 동안 신경과학은 뇌가 정적인 기관이 아니라 끊임없이 시냅스가 만들어지고 ... ...
애벌레의 36계 줄행랑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소리와 움직임이다. 살짝 건드리기만 해도 10cm가 넘는 거대한 몸을 격렬하게 뒤틀어
반응
하므로 포식자들은 깜짝 놀랄 수밖에 없다. 게다가 숨구멍으로 공기를 쉭쉭 내뿜는 소리는 사람 귀에까지 들릴 만큼 공포스럽다. 포식자 입장에서는 정말 깜짝 놀라 뒷걸음칠 수밖에 없다. [복숭아나무를 ... ...
과목별 핵심 단원부터 정복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염기간의 결합에너지를 구해보라는 물리·생물 통합형 문제를 냈다. 화학 문항에서는 ‘
반응
속도와 화학평형’이라는 주제에 효소 저해제의 영향을 묻는 생물 논제를 추가했다. 물리에서는 발전기의 원리를 이용한 논제에 두 발전방식 중 구리의 전기분해에 어느 것이 유리한지를 물어보는 ... ...
수학 공부의 적극적인 확장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말할 수는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몇몇 친구들은 황금비에 대해서 가장 이론적인
반응
을 보이며 편안하다고 느끼지만, 대부분의 친구들은 황금비 보다는 정확한 모양에 대한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좀더 복잡해지면 단순히 정확한 것보다 황금비에 대한 선호가 더 높아질 것이라고도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질량을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다. 연료로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이용하는데, 핵융합
반응
이 일어날 때 생기는 플라스마의 온도는 3억℃까지 올라간다. 지구상의 어떤 재료로 플라스마를 가두더라도 닿는 순간 녹아버린다. 그래서 강력한 자기장으로 플라스마가 벽에 닿지 않도록 잡아 둔다. 이때 ... ...
고려대 봉사단 ‘쿠소’의 뜨거운 8박 9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알리고 국가 이미지를 높였다. 과학팀장을 맡은 권구연(24·생명과학부)씨는 “아이들의
반응
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좋아서 한 달간 준비한 보람이 있다”며 “다만 통역을 거치느라 실험시간이 부족했던 점이 안타까웠다”고 말했다. [❶,❷ 앙스페우 중학교 7학년 학생들 수업은 ... ...
효모 인공포자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교수팀은 홍합의 접착단백질을 이루는 물질인 도파민이 효모 세포벽에 달라붙으며 중합
반응
을 일으키게 해 세포를 감싸는 폴리도파민 껍질을 만들었다. 폴리도파민은 독성이 없기 때문에 세포벽을 파괴하는 효소를 처리했을 때에도 폴리도파민이 방패 역할을 해 효모가 잘 죽지 않았다. 최 교수는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