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새로운"(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 100억 년 동안 1초도 안 틀리는 광시계로 더 정확해진 초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설계해 현재 두 번째 이터븀 광시계를 개발 중이다. 안정하고 정확한 광시계가 개발되면 새로운 초의 정의가 탄생할 수 있다. 전 세계 서로 다른 표준기관 세 곳에서 제작한 광시계가 모두 10-18 수준의 불확도를 가지고, 상호 비교 시 차이가 5×10-18 미만일 경우 재정의를 위한 정확도 조건이 ... ...
- [Culture] 강아지가 무서워해서 산책을 못 나가요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바꾸기 전에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의 용량을 늘렸다. 그랬더니 4주 뒤 이 강아지는 전혀 새로운 강아지가 됐다. 보호자는 강아지가 이제는 세상을 덜 무서워하고 조용한 동네에서는 산책을 즐길 수 있게 됐다며 e메일에서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불안장애를 치료하는 약물은 다양하지만, 사실 어떤 ... ...
- Part 1. 인공위성으로 유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장소를 직접 탐사해 도굴의 피해가 심각한 곳은 보호하고, 새로운 유적지의 발굴을 시작할 수 있답니다. 파캑 교수는 “앞으로 세계 곳곳의 유적지를 시민들과 함께 찾아내고 보호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잃어버린 도시를 ... ...
- Part 2. ICM 관전 포인트 넷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앞으로 어떤 연구를 해야 하는지 서로 논의하는 장입니다. 힐베르트나 스메일처럼 새로운 세기를 앞두고는 여러 문제를 한 번에 소개하지만, 각 대회에서는 분야별로 4년 동안 이런 문제에 관심을 가져보자고 발표하고 의견을 냅니다. 이번 대회에서는 어떤 문제가 화제의 중심이 될까요? [관전 ... ...
- [매스미디어]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모형을 이론적으로 최초로 제시한 영국 수학자 앨런튜링의 ‘튜링 기계’를 발전시켜 새로운 자기-재생산 모형을 발표하죠. 자기-재생산 모형은 간단한 규칙에 따라 스스로 진화하는 프로그램으로, 자신을 만드는 방법을 자신의 생산물에게 전달할 수도 있습니다. 마치 부모의 유전자가 자식에게 ... ...
- [과학뉴스] 302g 초미숙아, 169일 만에 퇴원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서울아산병원은 302g의 초미숙아로 태어난 이사랑 양이 169일 간의 치료를 마치고 7월 12일 건강하게 퇴원했다고 밝혔다. 이 양은 국내 초미숙아 생존 사례 중 가 ... 신생아과 과장 이병섭 교수는 “이 양의 사례를 통해 국내 초미숙아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이 열리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
- [Issue] 난민에 관한 과학적 팩트 4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하는 반면, B는 실업자다.알고리즘은 이런 정보를 학습한 뒤, 향후 이들과 배경이 비슷한 새로운 난민이 유입될 경우 A의 거주 지역으로 배정하라고 권유한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활용해 난민의 취업률을 최대 70%까지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진은 2011~2016년 미국에 들어온 18~64세 난민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난자를 만나기까지 정자에게는 험난한 여정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인간의 정자가 레이스를 시작하는 출발점은 질의 바로 윗부분입니다( ... 발을 담그게 됐다. 현재 미국 조지타운대 생물학부에서 유전학, 발생학 등을 가르치며 새로운 대학 과학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yc709@georgetown ... ...
- [가상인터뷰] 멸종을 눈앞에 둔 북부 흰코뿔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해. 그래서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사파리 공원의 연구자들은 2017년부터 새로운 방법을 시도하기 시작했어. 북부 흰코뿔소의 수정란을 친척인 남부 흰코뿔소에 착상시키는 거야. 우리의 친척인 남부 흰코뿔소가 북부 흰코뿔소의 새끼를 대신 낳아 주는거지. 과학자들의 계획이 성공한다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소프트로봇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진행했어요. 그 덕분에 지금은 세계적인 대가로 인정받을 정도가 되었답니다. 이처럼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을 갖고, 실천하는 데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가 필요해요.” 조미주 기자의 질문에 인간중심 소프트로봇 기술연구센터장이신 조규진 교수님은 이같이 답하셨어요. 이어 “로봇이 사람을 ... ...
이전2142152162172182192202212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