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트
최초
시작
시초
출발점
개시
출항
d라이브러리
"
출발
"(으)로 총 2,256건 검색되었습니다.
영국-프랑스를 해저로 연결 20세기의 대역사 유로터널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왕복열차)과 철도시스팀이 완성돼 93년 봄 공식 개통 된다. 물론 이 기간동안 양국의
출발
지점에서는 각각 대규모의 터미널이 건설된다.결국 터널공사의 진척에 맞추어 셔틀의 제작과 터미널의 건설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 작업 역시 쉬운 일이 아니라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일단 ... ...
이공계 대학, 어떤 학과를 선택할 것인가 기초과학분야가 전망 밝아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차라리 대학에 가서 구분하는 것이 좋겠지요. 재미있는 것은 저 자신이 이과에서
출발
해 문과로 가서 그런지 자식들에게는 문과를 시키고 싶은 심정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명 모두에게 이과를 하라고 권합니다. 수학 등을 잘하기 때문이죠. 편견인지 모르지만 이과공부를 잘하는 게 결국 ... ...
박봉렬/물리학 물리학은 모든 문학의 기초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중요한 시기라고 생각된다. 소립자 물리학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출발
이 될 수 있는 이론이 우리나라에서 나와야겠다는 이야기다. 그러기 위해서는 60년대의 연구성과와 80년대의 소장 연구자의 활약에 뒤이은 제 3의 도약이 필요할 것이다.여기서 한 가지 고무적인 현상은 ... ...
제주지역 관광예약시스팀 개통 관광의 온라인시대 개막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포함3백여개의 영업소를 갖고 2백여 교통운수업체와 통신망으로 연결, 1천 4백여곳의
출발
지에 대한 예약 및 발권업무를 서비스하고 있다.우리나라 관광업계의 현실은 외형적인 급성장에도 불구하고 비합리적인 관리제도가 잔존해있어 이를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양질의 관광서비스를 제대로 ... ...
9월20일을 자동차 없는 날로 선포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이 행사는 1987 유럽 환경의 해를 시작하는
출발
점이 될 것이라고 한다.도시민들이 자동차 없는 일요일을 보낼 수 있을 지의 시험대가 될 이날, 도로상에서는 다채로운 행사가 벌어질 예정이다. 공연 음악회 자전거타기 공놀이 토론회 등이 계획되고 있으며 ... ...
남극해 요트로 도전하다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최남단의 '혼'곶에서 동쪽으로 2천km도 더 떨어져있는 사우드 조지아섬으로 향해
출발
했다. 탐험가족은 폰세트 부부와 그들의 세 아들 '디온'(6세) '리브'(4세), '디티'(만 1.5세) 그리고 샐리의 동생 '리사'와 카메라맨을 겸한 필자(벤 오즈본)로 모두 7명이었다. 최종 목적지는 마거리트만의 '머슈룸 ... ...
에너지가 있는 곳으로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하고 있다.그들이 수동식 태양광 반사기를 건조한다든가 하는 간단한 것에서부터
출발
할것같다.이것은 도시를 밝게 하거나 때아닌 서리가 내릴 경우 경작지역을 따뜻하게 할 수 있는 소규모 '달'을 하늘에 만드는 셈이다. 이 사업은 1990년까지는 실험적으로 수행될 것 같다.이런 주목할만한 계획에서 ... ...
번개의 신화에서 전자공학 혁명으로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시대로 접어들었다. 이들은 모두가 마술과 같은 기능을 지니고 있다. 고대 신화로부터
출발
한 전기가 20세기에 들어와 다시금 신화를 창조해 내고 있는 셈이다 ... ...
여기는 땅의 끝 파타고니아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수심50m정도의 베링해도 그때는 육지를 이루어 양대륙을 잇고 있었다. 동북아시아를
출발
한 몽골로이드가 아메리카대륙에 건너간 것이 언제 쯤 인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최근 알래스카에서 2만년전의 개의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이것이 어쩌면 몽골로이드가 데리고 간 개가 아니었나 추정하고 있다 ... ...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권 태 환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하지만 역사적으로 볼 때 각종 인구에 관한 논쟁은 인구성장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
하고 있지요, 그런 관점에서는 과잉인구의 문제를 세계적 국가적 개인적 차원에서 설명합니다. 세계적인 차원에서는 인류의 생존과 관련된 식량부족 자원고갈 대기오염 전쟁 등의 문제가, 국가적인 차원에서는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