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1,56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에너지 공장 '미토콘드리아' 발열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사실을 밝혀냈다. 서울대는 이현우 화학부
교수
팀과 노재석 연세대 생화학과
교수
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서 발생한 열이 미토콘드리아와 핵 사이의 신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3일 국제학술지 'ACS 센트럴 사이언스'에 공개했다고 17일 ... ...
차세대 반도체 기술 발열 해결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이용해 스핀트로닉스와 오비트로닉스를 발열 문제 없이 구현하도록 한다. 김
교수
는 "마그논 오비탈과 그 수송이론의 정립은 아직 세계적으로 아무도 시도하지 않은 독창적이고 도전적인 문제이고 기존 정보처리 기술의 한계를 혁신적으로 뛰어넘는 초저전력 오비탈 기반 정보처리 기술의 ... ...
전운 감돈 서울대병원 집단휴진 첫날…"외부인은 나가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등 4곳의 서울대병원
교수
중 54.7%가 이날 휴진에 참여했다. 비대위는 휴진은 의료진들이 꺼낼 수 있는 ‘마지막 카드’라고 밝혔다. 방재승 비대위 투쟁위원장은 17일 “의료 붕괴는 이미 시작됐고 우리는 할 수 있는 데까지 해볼 ... ...
'양자얽힘' 이용해 지구 자전 속도 측정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현상이 실험적으로 확인됐다. 필립 발터 오스트리아 비엔나대 물리학부
교수
연구팀은 얽힌 광자를 이용해 지구의 자전 속도를 측정하고 연구결과를 14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광자는 빛의 입자로 두 개 이상의 광자가 서로의 상태에 영향을 주는 '얽힌 ... ...
"남미 안데스에선 온실가스가 가뭄 해결사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의문을 제기하며 인간 활동의 영향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 필요성을 제시한다. 감종훈
교수
는 "저개발국·개발도상국은 기후 위기로 인한 극한 기후 피해가 상대적으로 더 크지만 선제적인 대응은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러한 국가들을 위한 연구와 함께 인간의 활동이 자연에 미치는 영향을 ... ...
태양열 반사 스마트섬유...도시열섬현상 대비책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여름철 작업 안전을 지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쉬포춘 미국 시카고대
교수
연구팀은 분자 수준에서 섬유의 구조를 최적화해 우수한 태양복사열 반사율을 확보하고 연구 결과를 1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일상에서 흔히 겪을 수 있는 도시열섬현상은 현대인의 ... ...
'휴진 D-1' 서울대병원·국회 회동…무기한 휴진 막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집단휴진 및 총궐기대회가 열린다. 이날은 전공의, 개원의, 40개 의대 소속 전국의대
교수
협의회 등이 참여한다. 이날 하루 휴진이 심각한 의료공백으로 이어지진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16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18일 휴진 신고를 한 의료기관은 4.02%다. 휴진 신고 없이 휴진에 동참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2D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높이는 새 전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페로브스카이트 표면을 2차원(2D)으로 표현한 것이다. 아디티야 모히테 미국 라이스대
교수
연구팀은 차세대 태양전지로 각광받는 포름아미디늄 태양전지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페로브스카이트 개발 템플릿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13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 ...
"석유 나올 것"…'젊은 땅' 포항·영일만에 눈독 들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석유·가스를 가두는 구조인 트랩을 형성한다. 강천구 인하대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빙
교수
는 "이 제반 요소가 석유가 있는지 없는지를 예측할 수 있는 핵심"이라고 했다. 물론 석유 생성 조건에 부합한다고 해서 석유가 항상 나는 것은 아니다. 변수가 다양하다. 예를 들어 빈 공간을 의미하는 ... ...
최강 우주발사체 스페이스X '스타십' 비행 성공은 '스뎅' 덕분?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기술로 무게 문제를 극복했다고 보고 있다. 김종한 인하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는 "로켓의 무게를 극복하기 위해 큰 추진력을 내는 기술을 개발했겠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다"라면서 "스페이스X는 발사체가 공기의 저항을 덜 받고 마찰열을 줄이는 최적의 경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기술을 갖고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