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가을 불청객 은행나무를 위한 변명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갖고 있다. 보도 폭은 좁은 편이지만, 보행자가 적어 두꺼운 가로수를 심어도 된다. 이곳의 가로수를 선정할 때 더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는 해안도시라는 점이다.동서로 길게 뻗어 있는 백범로의 서쪽에 위치한 유통센터는 바다와 바로 맞닿아 있다. 바닷가에 가까운 가로수는 강한 바다 바람과 ... ...
-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고백했던 김미정 양(한국바이오마이스터고 2학년)조차도 어느새 물개가 돼 수심 깊은 곳의 산호를 관찰했다. 바다동물을 정말 좋아해서 다이빙 자격증까지 땄다는 홍진표 군(미국 필립스엑시터아카데미 11학년)은 산호 조각이나 소라 등을 연신 주워 올라왔다. 저서생물 관찰하고 미세 플라스틱 ... ...
- [별난 이름정리] 털 난 공 정리수학동아 l2018년 10호
- 대입해보면 지구는 구의 형태이고, 벡터의 지수가 2일 테니, 두 곳에 벡터 합이 0이 되는 곳이 생겨 바람이 불지 않는 두 장소가 늘 있습니다. 물론…, 가마 없는 빗질이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도넛 모양의 토러스의 경우 오일러 지표가 0이기 때문에, 벡터의 지수도 0입니다. 토러스는 가마 없이 ... ...
- Part 2. 범인의 숨통을 조이는 수학 공식수학동아 l2018년 10호
- 경찰을 보내 주시하도록 한 겁니다. 그날 순찰 지역을 배정받은 경찰관은 자신이 가는 곳이 컴퓨터가 예측한 지역인지 사람이 예측한 지역인지 전혀 몰랐습니다. 날마다 컴퓨터가 만든 난수에 따라 어떤 경찰에게는 사람이 예상한 지역을 배정하고, 어떤 경찰에게는 수학 모형이 예측한 지역을 ... ...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재학생 인터뷰] 우리가 바로 대한민국의 미래 에너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도착하자 다들 먼저 와 각자 노트북을 붙들고 뭔가에 열중하고 있었다. “여기가 뭐 하는 곳이냐”고 물어보니 ‘과방(학과 학생들의 휴게실)’이란다. 대학을 졸업한 지 오래된 기자의 뇌리에 남아있는 과방의 이미지와는 너무나 다른, 마치 카페 같은 분위기의 과방에 깜짝 놀라며 인터뷰를 ... ...
- Intro 2. SF 속 우주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있다. 적의 행성을 원래 궤도에서 빗나가게 해, 얼어붙거나 불타서 생명체가 살지 못하는 곳으로 만들 수도 있다. 적당한 크기의 블랙홀을 던져서 빨려 들어가게 할 수도 있다. 아니면, 아예 항성을 초신성으로 폭발시켜 버리면 어떨까.상상의 나래를 펼치다 보면 문득 의문이 든다. 우주에서 굳이 왜 ... ...
- Part 3. 도시공원은 또 하나의 생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수원시 생물다양성 지도 만들기’ 프로젝트는 시민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해 수원 곳곳에 서식하는 생물 정보를 직접 지도에 등록하는 시스템이에요. 지금까지 등록된 1179건의 데이터 중 식물이 630건으로 가장 많았고, 곤충 286건, 조류 183건, 양서파충류 26건, 어류 12건, 생태계 교란종 5건 등이 ... ...
- Part 2. 휘황 찬란한 빛의 위협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왜 빛에 끌리는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어요. 다만 어두운 곳에있는 새들은 밝은 곳에서 시야를 확보 하려는 습성이 있어서 본능적으로 빛에 끌린다는 추측이 있지요. 대도시의 불빛은 수백km 밖에서도 보일 정도로 밝기 때문에 밤에 이동하는 새들이 여기에 이끌릴 수 있답니다. 먼 거리를 ...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뉴턴의 양동이 사고 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힘도 없어서 치마가 펼쳐지지 못하겠지요. ▶이 질문이 왜 중요할까?아무것도 없는 곳에서 물을 돌릴 때 원심력이 생길까? 이 질문은 오늘날의 물리학자들에게도 쉬운 질문이 아니에요. 절대공간을 받아들여야 뉴턴의 운동 법칙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하지만한편에서는 상대성 이론을 ... ...
- Part 2. 마하5 이상의 세계, 극초음속과학동아 l2018년 10호
- 2시간 내에 갈 수 있을 만큼 매우 빠르다. 즉, 수천km를 수 분 안에, 지구상 어느 곳이든 한두 시간 내에 도달할 수 있는 속도다. 물류를 수송하는 혁신적인 방법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방어가 거의 불가한 차세대 유도무기가 될 가능성도 높다. 이렇게 빠른 속도로 비행하려면 기존 항공기와는 다른 ... ...
이전21521621721821922022122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