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쪽
내면
밑바탕
안
속
밑동
밑
d라이브러리
"
내부
"(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침내 모습 드러낸 파란장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델피니딘이지만 아직까지 순수한 파란색이 나오지 않는 이유다. 현재 플로리진은 세포의
내부
조건을 결정하는 다른 유전자들을 변화시켜 델피니딘이 좀더 파란색을 띨 수 있게 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플로리진은 2007년쯤 좀더 선명한 파란 장미를 시장에 내놓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
02. 심해를 누비는 드림팀, 수중로봇 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ROV
내부
장비들이 쪼그라들지 않도록 특수 장치가 필요하다. 그래서 ROV의 모든 장비는
내부
에 기름을 채워 넣고 다시 밖을 감싸는 압력보상형 구조로 제작한다.움직이는 기능 또한 빼놓을 수 없다. 여기에는 6개의 프로펠러가 사용된다. 전진속도는 1.5노트(1knot=0.514m/s)로 1시간에 약 2천8백m를 ... ...
태양계 타임캡슐 토성에서 무엇을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표류하다 아이아페투스에 가서 달라붙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아이아페투스의
내부
에서 탄소와 비슷한 검은 용암이 흘러나왔다는 것이다. 이번에 아이아페투스의 어두운 면의 기원에 대한 미스터리도 풀릴지 모른다.왜 카시니와 호이겐스일까?토성의 우주탐사선과 타이탄의 착륙선을 각각 ... ...
고려청자 비취색의 비밀은 철 이온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다 타서 재가 되기 전에 또 땔감을 계속 던져 의도적으로 그을음을 발생시키면서 가마
내부
에 불완전연소가 생기도록 한다.이처럼 환원불을 사용하면 땔감이 불완전연소해 일산화탄소가 발생한다. 이 일산화탄소는 청자 표면의 산소와 결합해 이산화탄소로 방출되면서 청자 표면에는 산소가 ... ...
03. 물고기 호텔, 바다목장이 양식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셈이다. 인공어초를 설계할 때는 이런 습성을 고려해야 한다. 기존에 사용하던 인공어초
내부
너비는 약 2m로우럭이나 볼락에겐 너무 넓어 집처럼 보이지 않는다.통영 바다목장 연구팀은 너비를 60-70cm로 좁힌 신형 인공어초를 만들었다. 그랬더니 우럭과 볼락이 빼곡히 들어찼다. 바다목장에는 ... ...
가장 뜨거운 백색왜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천체물리학’ 7월호에 보고했다.백색왜성은 태양같은 별이 수명을 다한 뒤 폭발하고
내부
중심만 남은 별이다. 백색왜성은 더 이상 핵융합 반응을 하지 않고 서서히 식다가 결국 갈색왜성으로 바뀐다. 베르너 교수는 “H1504+65의 온도가 이렇게 높은 것은 핵융합 반응이 최근에야 끝났기 때문”이라며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내므로 황색을 띤다램프는 외관(外管)과 내관으로 구성되고 그 사이는 진공이며 내관의
내부
에는 한 쌍의 전극과 미량의 나트륨이 들어 있다무색의 결정성 물질 녹는점 210℃, 끓는점 400℃ 조해성(潮解性)이며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여 암모니아와 수산화나트륨(가성소다)이 ... ...
은하수 속에 숨은 펠리칸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따져봐야 한다. 이 판독에는 펠리칸성운이 보이는가가 중요하다. 북아메리카성운
내부
에는 산개성단이 존재하므로 별과 성운의 구분이 어려운 반면, 펠리칸성운에서는 성운만 보이기 때문이다.오래 전 국내 관측가들은 이 두 성운이 맨눈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여겼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 두 성운은 ... ...
시뮬레이션으로 나노 세계 비밀 푼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1에 해당하는 크기다. 이처럼 원자의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실제 실험으로는 원자
내부
에서 일어나는 반응 메커니즘을 제대로 관찰하기가 불가능하다. 결국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다.하지만 시뮬레이션에도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강 교수팀은 양자역학적 방법을 토대로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식물생육촉진세균(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이라고 하는데 이것 역시 뿌리표면이나
내부
에 기생하면서 성장을 저해하는 균이나 병원체의 침입을 억제하기도 한다.하지만 1990년대 중반까지 항생작용에 기초했던 생물농약은 뿌리에 사는 생육촉진근권세균에 대한 새로운 사실이 밝혀지면서 전기를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