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리오
네트
넷트
오네트
머릿수
수
mari
d라이브러리
"
마리
"(으)로 총 2,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월척도 과학으로 낚는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떼로 낚이는 작은 못도 있기 때문이다. 수십년 동안 마른 적이 없는 저수지에서 월척 한
마리
낚이지 않는가 하면, 작년에 바닥을 드러내며 바싹 말랐던 곳에서 이듬해 봄 준척(27-28cm)과 월척이 쏟아지는 경우도 있다. 이런 차이는 그곳에 사는 붕어의 혈통, 그리고 성장여건과 관계가 있다 ... ...
쥐라기공원으로의 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유의하라는 경고를 받았다. 오늘 할 일은 여기에 대해 만반의 준비를 하는 것. 만일 한
마리
의 소라도 발굴지역으로 통과하는 날에는 그동안 작업해왔던 화석들이 순식간에 박살나고 말 것이다. 그래서 임시로 전기보호대를 설치하기로 했다. 발굴지역 주위에 보호대를 설치하고 코일을 감아 전기를 ... ...
생명의 비밀 밝힌 로제타 스톤,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썼던 진화학자 찰스 다윈(1809-1882)조차 이러한 생각의 벽을 뛰어넘지는 못했다. 그는 두
마리
의 동물이 짝짓기를 하면 혈액이 합쳐져, 이를 통해 부모의 형질이 자식에게 물려진다고 생각했다.다윈과 19세기 사람들의 생각이 잘못됐음을 지적한 사람은 오스트리아의 수도승인 그레고어 멘델(1822-1884 ... ...
우주시대 연 스푸트니크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첫 신호였다.스푸트니크 2호는 11월 3일 ‘라이카’라고 부르는 에스키모종 암컷 개 한
마리
를 싣고 우주로 올랐다. 라이카는 1주일 동안 생명유지장치가 다할 때까지 우주에서 생활하면서 생물학 자료를 지구로 보내왔다. 이것은 애초 국제지구물리의 해에 계획했던 것을 훨씬 뛰어넘는 성과였다 ... ...
살균과 소독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미생물 대장균가끔 TV 뉴스나 신문은 음식점의 위생상태를 언급하면서 대장균이 몇만
마리
발견됐다는 표현을 한다. 왜 대장균이 음식의 오염된 정도를 표현하는 것일까. 물이나 음식과 관련된 수인성 전염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은 30분 이상 끓이면 살균된다. 여기서 미생물이 완전히 살균되었는지를 ... ...
인류진화의 출발점 빙하시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넘는 식물을 먹어 치웠다. 콜럼비아 매머드의 수명은 50-80년으로 추정되며 여태까지 51
마리
가 확인됐다.또 다른 종은 긴털 매머드(Mammuthus primigenius)로 콜럼비아 매머드에 비해 몸집이 작았다. 키가 3.3m, 몸무게는 6-8t 정도. 과학자들은 2만6천년 전 빙하가 사우스다코다주까지 발달했을 때 이 매머드가 ... ...
Ⅰ. 미래 직업의 가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그럼으로써 예전에는 할 수 없었던 많은 일들이 이뤄지게 된 것이다.놓칠 수 없는 두
마리
토끼직업을 통해 개인은 자신이 꿈꾸는 일을 성취할 수 있고 또 이것을 통해서 돈을 벌기도 한다. 따라서 직업은 개인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다. 이런 직업은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 이 결정에서 ... ...
⑦ 복제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귀세포가 이용됐다. 이 외에도 황교수가 복제 수정란을 착상해 임신에 성공한 20여
마리
의 복제소들 가운데 수컷은 없다.현재 수컷이 복제가 되는지 여부는 논란중이다. 최근 일본에서 수컷 세포를 이용해 수정란단계까지 진행시켰지만, 어미의 자궁에 착상하는 일이 실패했다고 한다.남자도 임신이 ... ...
봄의 대곡선 목동과 처녀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발견했다.사냥개자리는 눈에 보이는 별이라곤 2개 밖에 없다. 목동이 데리고 다니는 2
마리
의 사냥개로 큰곰을 쫓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왕관자리는 목동자리 왼쪽으로 보이는 반원모양의 별자리다. 신화에서는 술의 신 디오니소스의 아내 아리아드네의 왕관으로 알려져 있다.사자자리와 머리털자리 ... ...
플레밍 신화의 진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대상으로 의미 있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충분한 양의 페니실린을 투여 받은 3
마리
만이 살아남았다. 이는 플로리의 표현대로 기적이었다.한편 플레밍은 플로리팀이 1940년 페니실린에 관한 논문을 발표할 때까지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했다. 플레밍이 연구성과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실을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