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택도
감도
d라이브러리
"
분리도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4백 40만년 전 '라미다스 원인'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아프리카 에티오피아에서 최고의 인류의 선조로 여겨지는 원인의 화석이 발견됐다. 지금까지 가장 오래됐다고 알려진 아팔원인의 화석보다도 수십만-1백만년이나 오래된 약 4백40만년 전의 화석이다. 침팬지와 인간이 분리된 시기를 약 5백만년 전으로 추정하고 있으므로 그 시기에 가장 근접한 화 ... ...
환경기술 국내 최초 해외시장 진출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마침내 우리나라도 환경기술을 수출하는 나라가 됐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환경연구센터 박완철 박사는 지난 해 8월 산업화에 성공한 중소농가용 '미생물을 이용한 축산정화조'기술을 최근 대만기업 어킹 인더스트리얼사에 계약금 15만 달러와 향후 7년동안 세금을 제외한 총 매출액 5%의 기술 ... ...
3. 미리 본 차세대 운영체계 '윈도스 95'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윈도우 3. 1의 후속편 '시카고'의 최종 베타판이 나오면서 소문만 무성하던 이 운영체계의 모습이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완벽을 요구하는 운영체계의 성격 때문에 정식 발표가 늦어지고 있는 '윈도스 95'는 빌 게이츠가 또 한번의 시장 제패를 노리고 있는 야심작이다.요즘의 컴퓨터 환경을 보노라면 ... ...
생물 - 식물의 호르몬, 꽃눈 형성·생장 촉진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식물도 호르몬을 가지고 있다. 식물의 호르몬으로는 꽃눈 형성에 관여하는 플로리겐, 생장을 촉진하는 옥신 등이 대표적이다.대부분의 식물은 해마다 일정한 계절에 꽃이 핀다. 이것은 식물에서 꽃눈 형성이 온도나 빛의 양에 의해 조절되기 때문이다.빛과 꽃눈의 형성식물의 꽃눈이 형성되는 것은 ... ...
1. 유성생식, 종족보존에 유리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고등한 생물일수록 유성생식을 한다. 그러나 유성생식은 유전자를 반으로 가르고 짝을 찾기 위해 고생을 해야 하는 등 많은 비용이 든다. 그런데도 생물들이 유성생식을 고집하는 이유는 뭘까.과학에서는 가장 쉬운 질문이 가장 대답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성(sex)에 관한 문제도 바로 그런 것 중 하 ... ...
개미, 뛰어난 기억력 지니고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프랑스의 생물학자들은 두 종의 일개미를 3개월간 같이 키우다 분리했는데 , 이 두마리 개미는 18개월 후 다시 만났을 때 서로를 알아봤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관심을 끌고 있다.원래 한 집단의 개미는 그들의 피부에서 발하는 냄새를 통해 서로를 인식한다. 독특한 탄화수소 합성물인 이 냄새는, ... ...
핵폐기물 남기지 않는 가속기원자로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최근 가속기를 이용해 고준위 핵폐기물을 소멸처리하며 아예 핵폐기물을 남기지 않는 새로운 개념의 원자로를 만들자는 제안이 나오고 있다.입자가속기는 거대과학의 심볼이며 기초과학이 이루어낸 걸작품이다. 최근 가속기를 이용해 원자력발전에서 나오는 고준위 핵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다는 ... ...
4. 남·녀 성결정의 열쇠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남자와 여자를 결정하는 요소는 뭘까. 이는 인류의 원초적이고도 오랜 의문이다. 최근 과학은 남·녀 결정이 우선은 장자·난자 결합시에 결정되는 염색체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밝히고 있다. 이밖에 수정란의 발생과 성장과정에도 성을 결정하는 요소는 몇가지 더 있다.2천4백년전 플라톤은 ' ... ...
3. 인류의 꿈-두뇌 닮은 신경망 개발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신경망이란 의학과 생리학이 지금까지 밝혀낸 뇌의 기능을 컴퓨터에 이식시키려는 시도다. '미지의 블랙박스'로 불리는 인간의 뇌는 컴퓨터에서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 것인가.인간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 시스템의 개발은 인류의 오랜 꿈이었다. 고대 신화에서도 자주 나타나는 바와 같이, 육체적으 ... ...
2. 역대 수상자 집중분석 나라·성별 명세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노벨과학상은 세계 과학계의 발전을 이끄는 촉매역할을 해왔다. 노벨상은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영예의 수상자는 누구인가. 또 영광의 뒤안길에서 사라져간 사람들은 누구인가. 노벨상의 어제와 오늘을 조망해본다.해마다 12월 10일이면 세계의 관심은 북구로 쏠린다. 세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상인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