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율"(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1. 두뇌개발 DHA·비타민·칼슘과학동아 l1996년 10호
- 뇌 단백질과 탄수화물_밥 먹지 않고 시험치면 실력 발휘 못해뇌에서 단백질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40%다(그림). 단백질은 세포막에 존재하면서 신경전달물질을 선택적으로 인식하기도 하고 뇌세포 내로 드나드는 나트륨, 칼륨, 칼슘 등 이온의 진입로 역할을 한다. 또 G단백질을 비롯한 몇 종류의 ... ...
- 원자폭탄보다 더 무서운 대인지뢰과학동아 l1996년 09호
- 사람의 팔과 다리가 지뢰 해체의 대가로 지불되고 있다.민간인들이 전쟁 때 희생되는 비율은 자꾸만 높아졌다. 1차세계대전 때는 15%였던 것이 2차세계대전 때는 65%, 그리고 요즘은 90% 이상이다. 이렇게 민간인의 희생이 늘어나는 이유는 대인지뢰 같은 전쟁상황과는 무관한 비인간적인 무기들이 많이 ... ...
- 2. 나는 인터넷을 얼마나 좋아하나과학동아 l1996년 09호
- 구별하지 않는다인터넷을 사용하는 데는 남녀 구분이 없는 듯. 남성(57명)과 여성(37명)의 비율이 그리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한편 지난 4월 웹상의 설문전문팀인 GVU에서 실시한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여성이 31.5%를 차지했다. (http://www.cc.gatech.edu/gvu/user_serveys/survey ...
- 2. 40억년 전 비밀 캐는 끝없는 논쟁 생명의 기원과학동아 l1996년 09호
- 현재 지구에서 발견되지 않는 것이었다. 더욱이 D형과 L형 광학이성질체가 거의 같은 비율로 섞여 있었다. 지구에 있는 모든 아미노산은 L형뿐이다. 이 점들은 운석에서 실려 온 아미노산이 분명히 지구 밖 천체에서 비롯됐음을 알려주는 증거였다.우주기원설의 두 번째 형태는 미생물이 지구에 ... ...
- 초광폭 타이어의 허와 실과학동아 l1996년 08호
- 노면에 직접 닿는 트레드 부분의 단면폭이 1백85mm이며, 60이란 타이어 단면과 높이의 비율이 60%라는 것을 표시한 것이다. 다시 말해 타이어의 단면은 1백85mm이고, 높이는 1백11mm라는 얘기다. 보통 50시리즈니 60시리즈니 하는 것이 바로 이 편평비를 일컫는 것이다.HR이니 VR이니 하는 약자는 무엇일까? ... ...
- 1. 소화효과 각양각색과학동아 l1996년 08호
- 변하므로 뷰렛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것이다.■지방의 소화1. 식용유를 벤젠에 1대1의 비율로 녹인다.2. 알약은 0.1g, 물약은 5mL를 식용유-벤젠용액에 넣어주고 37℃로 유지시킨다.3. 시간이 지난 후 수단Ⅲ용액을 넣어본다.지방은 수단Ⅲ용액과 반응해 선홍빛을 띤다. 만약 지방이 소화되지 않았다면 ... ...
- 수증기 먹고 자라는 거대에너지 태풍과학동아 l1996년 08호
- 대서양에서 발생하는 경우를 허리케인이라 부른다. (그림1). 이들 중 태풍이 차지하는 비율은 38%다.우리나라는 저기압 중심 부근에서 바람의 속도가 17m/초 이상이 될 때 태풍이라 부른다.또 정확하게 구분짓기는 어렵지만 강도에 따라 태풍을 소형, 중형, 대형, 초대형으로 구분한다. 17m/초 이하일 ... ...
- 1. 참을 수 없는 고통의 메커니즘 : 몸 이상 알리는 적신호 위험 경고하는 통각신경과학동아 l1996년 07호
- 분포도 촘촘하려면, 연필 굵기만한 우리 다리의 신경은 팔뚝 굵기 만큼 굵어지고(지금의 비율대로라면) 다리는 코끼리 다리만큼 커진다. 그러면 피부는 넓어져 필요한 신경의 수는 더 늘어나게 된다. 곰곰히 생각하면 악순환의 연속이다. 조물주도 이 부분에서 여러분과 똑같은 고민에 빠졌을 ... ...
- 2. 지구는 태양의 혜택을 얼마나 누릴까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생긴 중력에너지로 나왔다는 가설 역시 설득력이 없었다. 이것 역시 태양이 현재와 같은 비율로 에너지를 방출한다면 수천만년이 지나면 태양은 식어버리기 때문이다.오늘날 밝혀진 태양에너지의 근원은 수소가 핵융합한 결과로 생성된 에너지다. 아인슈타인은 에너지와 질량이 서로 교환된다는 ... ...
- 팩스, 동양적 발상의 첨단기기과학동아 l1996년 06호
- 흑과 백의 연속된 화소를 디지털 부호로 변환해서 정보를 압축하고 풀어낸다. 압축비율은 문서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0분의 1에서 20분의 1 정도. 문서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이 부분은 가로 1mm당 8개의 도트(dot)를 인식하며, 세로면은 역시 1mm당 표준모드에서 3.85(표준모드), 7.7(파인 모드), 15.4 ... ...
이전21521621721821922022122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