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d라이브러리
"
주장
"(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단군세기의 행성직렬 기록은 조작됐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검토해 이 기록은 잘못된 것이며 실제로는 기록보다 3개월 전에 오성취합이 일어났다고
주장
했다. 최호의 예를 보면 5세기경에 이미 행성들의 운동을 되짚어 계산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알수 있다. 고려시대에도 오성취합을 끌어다가 새 시대가 열릴 것이라는 예언의 근거로 삼았다는 기록이 있다. ... ...
아침에 기분좋게 깨워주는 친구 닥터라이트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일어나는 방법을 제시했다. 낮에 정신 차리고 공부에 집중하려면 잠을 잘 자야한다는
주장
이다. 수면 습관은 사람마다 다르다. 하지만 숙면을 취해야 건강하다는 점은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사실이다. 이제 시끄럽게 아침을 뒤흔드는 자명종을 버리고 빛으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아침을 만드는 것은 ... ...
운동량 체크하고 걸음법까지 보정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년전 튼튼한 신발을 신으면서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이 해부학적으로 약해졌다고
주장
했다. 인간의 발은 정말 약해졌을지 모른다. 맨발로 집 밖을 나가는 일은 상상만 해도 차고 시리다. 하지만 약한 발을 감싸는 신발은 오히려 강해졌다. 첨단 IT기기와 손잡고 운동량을 체크해 주기도 하고 ... ...
PART2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감자 같은 탄수화물을 섭취하는 양에 따라 인류의 유전체가 다양하게 발전했다는
주장
이 최근 제기됐다.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크루즈대 나다니엘 도미니 교수팀은 탄수화물이 풍부한 음식인 쌀을 주식으로 하느냐 안 하느냐에 따라 아밀라아제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인 아밀라아제1 (AMY1)의 개수가 ... ...
크리스마스 밤하늘 장식하는 '전구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정밀하게 측정하고 이런 밝기 변화가 알골을 이루는 두 별이 서로 공전하기 때문이라고
주장
했다.구드릭은 이 내용을 왕립학회에 발표했고 당시 천문학자들에게 큰 호평을 받았다. 얼마 뒤 왕립학회는 그를 특별회원으로 추대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구드릭은 이 결정이 난지 사흘 뒤, 미처 이 ... ...
30년 동안 고생한 한국의 첫 원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반대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그들의
주장
도 일리가 있고, 원자력 발전이 꼭 필요하다는
주장
도 일리가 있어요. 참 어려운 문제예요.그렇군요. 마지막으로‘어린이과학동아’독자들에게 어떻게 전기를 만드는지 알려 주세요.세상의 모든 물질은 원자로 이뤄져 있어요. 원자안에는 원자핵이 있는데요, ... ...
철새의 눈은 자기장을 본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있다”고
주장
했다.한편 영국 옥스퍼드대 리드보겔 교수는 “철새가 자기장을 본다고
주장
하려면 신경 추적물질을 사용하는 간접적인 방법이 아니라 실제 새가 방향을 감지할 때 시상 부위가 활성화된다는 직접적인 증거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
PART1 투표는 이성보다 감정이 우세?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더 높여 사회보장예산을 확보하겠다고 말한 내용이 초반에 등장한다. 8년 뒤 이전의
주장
을 뒤엎는 존 케리 후보의 모순된 발언이 등장하고, 마지막으로 그를 변명하는 내용인 “사회보장예산이 언제쯤 고갈될지 예측한 결과가 1996년과 2004년 사이에 크게 달라졌다”는 경제학자의 말이 실렸다 ... ...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그 파장이 길어진다는 설명이다 바로 이런 이유때문에 적색편이는 우주가 팽창한다는
주장
을 뒷받침하는 증거로서 간주되어 왔다 또한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하면, 매우 중력이 큰 별에서 나오는 스펙트럼선도 약간 긴 파장쪽으로 몰린다고 한다전자가 1V의 전위차가 있는 진공속을 통과할 때 얻는 ... ...
고친 답은 틀린다, 주관식 문제는 마지막에 풀어라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때의 뇌’에서 “리듬과 음조는 기쁨과 관련된 뇌 중추를 자극해 불안을 줄인다”고
주장
했다. 평상시에도 어색한 분위기를 부드럽게 하거나 어두컴컴한 거리를 지나갈 때 노래를 불러 불안감을 달래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 활용해볼 만하다. 시험문제를 읽을 때 머릿속이 하얗게 돼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