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뉴스
"
연구원
"(으)로 총 16,953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수담수화로 이산화탄소 줄이고 마그네슘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30
국제 협력을 통한 사업화로 해외 시장 진출도 적극적으로 모색할 계획이다. 방
연구원
은 “파일럿 플랜트 설비를 통해 폐기물로 버려지던 농축수를 유용한 자원으로 재활용함으로써 자원 순환 경제를 구축하고 마그네슘 등 핵심 소재의 국산화를 통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30일 ‘드론배틀 체험장’ 오픈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분야 진로 지도 등을 주제로 한 강의가 진행됐다. ■ 한국재료
연구원
은 26일 한국기계
연구원
과 함께 ‘2024년 기계연-재료연 1차 협력교류회’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교류회에서는 화재 폭발 안전성 강화 배터리 분리막 제조 및 셀 투(to) 시스템 적용 기술, 고온 암모니아 연료전지용 ... ...
"탄소중립 후에도 온실가스 영향 지속…엘니뇨 강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로 인해 엘니뇨 현상이 강화될 것이란 점을 의미한다. 김 박사후
연구원
은 “바다는 지구온난화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왔다”며 “하지만 바다에 오랫동안 쌓인 에너지가 표층으로 방출되면 엘니뇨의 특징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됐다”고 말했다. 국 교수는 ... ...
"아이스크림·핫도그 등 초가공 식품의 위해성 불확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이야기다. 네리스 애스트버리 영국 옥스퍼드대 수석
연구원
은 "초가공 식품이 건강에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을 확실하게 증명하기 위해선 매우 복잡한 연구들이 필요할 것"이라고 BBC에 전했다. 예를 들어 초가공 식품 위주의 식단과 일반적인 식단의 칼로리와 영양소 ... ...
쎄트렉아이, 민간 광학위성 1·2호 개발…위성 분야 뉴스페이스 신호탄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규모인 정부의 민간 광학위성 개발 사업을 수주했다. 쎄트렉아이는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항우연)과 1727억원 규모의 민간 광학위성 1·2호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공시했다. 계약기간은 2028년 12월 31일까지다. '나라장터'의 제안요청서에 따르면 이번 사업의 목적은 정부가 2022년 발표한 ... ...
MIT·리켄 등 세계 최고 연구기관과 원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이화학연구소(RIKEN), 서울대-미국 스탠퍼드대, KAIST-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한국화학
연구원
-벨기에 레가의학연구소가 주관기관으로 참여한다. ● 극한 희귀동위원소 국제협력 플랫폼 구축 컨소시엄 IBS와 RIKEN이 주관하는 연구과제는 한국형 중이온 가속기 RAON을 통해 극한의 희귀동위원소를 ... ...
재생에너지로도 공기중 이산화탄소 효율적으로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공장 등 대규모 이산화탄소 배출원에도 적용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김규남
연구원
은 "대기 오염 문제 해결에 한 발 더 다가설 수 있는 중요 성과"라며 "기술을 발전시키고 실제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 ...
화재 위험 낮은 전고체전지 상용화 '한걸음…고체전해질 최적 혼합법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시제품까지 적용해 전고체전지의 성능 향상을 확인했다. 연구를 이끈 하윤철 책임
연구원
은 “전고체전지 보급 확대를 위해 고체전해질 자체의 고성능화와 저가격화도 중요하지만 이온과 전자의 흐름을 원활하게 돕는 전극판을 효과적으로 만드는 구조 설계와 제조 공정 기술도 중요하다”고 ... ...
차세대 세라믹전지 새 합성법 개발…"그린수소 생산에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4.07.28
이용한 새로운 공정을 대면적 전지 제작에 적용할 예정이다. 연구를 이끈 지호일 책임
연구원
은 "이번 연구를 통해 프로톤 세라믹 전지 제작 과정 중 고질적인 소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며 "대면적화 기술이 성공적으로 개발되면 전력 생산과 수전해를 통한 그린수소, 원자력 발전소의 폐열을 ... ...
한국의 인공태양 'KSTAR' "2040년대 실증 착수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4.07.28
탄소 소재에서 열이 강한 텅스텐으로 교체하기도 했다. 22일 대전 한국핵융합에너지
연구원
KSTAR 핵융합로 주변으로 다양한 장비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 남 본부장은 "기존에는 2050년까지 핵융합 에너지를 실증한다는 계획이었지만 고성능 부품이 뒷받침된다면 2040년대로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