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
줄기
단체
대학
대학교
자루
카운터
스페셜
"
대
"(으)로 총 2,57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게시판]한약자원연구센터 문열어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1.07
7일 밝혔다. 이번에 새로 꾸미는 천체투영관에는 25m 높이의 돔 스크린에 모두 6
대
의 레이저 프로젝터가 설치돼 총 8K의 해상도를 구현했다. 이는 초고선명 화질인 4K의 4배 수준이다. 다음 달까지 매 주말마다 우주·지구·시간·공룡 등 다양한 주제의 신규 영상을 천체투영관에서 상영할 계획이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첫 인상이 중요하다
2018.10.27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람을 제
대
로 알아보는 건 참 중요하다. 최근 사람을 쉽게 믿었다가 조금 속 쓰린 일을 경험한 나로서는 그 중요성이 더욱 뼈아프게 느껴 ...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
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겸손, 마음 챙김 등에
대
한 연구를 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합성석유가 고유가 시
대
대
안이 될 수 있을까
2018.10.23
소규모 설비로 실험하고 있었는데, 전통적인 피셔-트롭 공정에 기반한 것이었다. 당시
대
전에 하루 생산량 15배럴급 설비를 지을 예정이라고 했고 성공하면 300배럴급 설비를 만들고, 이게 성공하면 최종적으로 5만 배럴을 생산하는 공장을 짓는다는 계획이었다.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어떻게 됐나 ... ...
[표지로 읽는 과학]위장술 끝판왕 갑오징어 뇌를 연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네이처 제공 갑오징어나 문어는 몸의 색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주변 물질의 질감까지 완벽하게 재현할 수 있어, 육지의 카멜레온과 함께 변신 ... 역추적하는 방법 모두 중요하다”며 “이를 상호 보완하면 갑오징어의 위장술에
대
해 보다 명확히 규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16세기에는 우리나라에 토마토가 들어왔다고 하니 아마도 토종 품종 아닐까. 필자 생각에
대
저 토마토는 GLK2 유전자가 온전해 열매에서 엽록체가 충분히 만들어져 당도가 높고 향도 강한 것으로 보인다. 정말 그런지 한번 확인해보고 싶다.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컬랜드는 1953년 괌 현지에서 리티코-보딕의 원인을 규명하는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1960년
대
소철 씨 분말인 파당을 원인으로 지목했지만 인정을 받지 못한 채 2001년 작고했다. - 메이요클리닉 제공 2006년 ‘사이언스’ 기사에는 박쥐 가설을 내놓은 폴 콕스가 50년 가까이 리티코-보틱의 원인을 ... ...
[팩트체크] 어설픈 과기계 캠코더 인사 의혹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18.09.05
바른미래당 과기계 공공기관 친文 인사 지적 곳곳 허점…기관장 임기 못채운 기관 정작 빠지고, 당연직·전정부 선출 사례 뽑아 바른미래당이 지난 4 ... 인사현황’ 중 과학기술 분야에서 부적절 인사 의혹을 받은 기관별 직위에
대
한 바른미래당 측의 주장 근거와 팩트 체크. - 자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단백질 분석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하면서 앞으로 얼마나 많은 놀라운 약물들이 나올지 기
대
된다. ‘흙 속의 진주’가 아니라 ‘독액 속의 보석’인 셈이다. 다양한 독액 펩티드의 구조. 아미노산 시스테인 사이의 이황화결합(빨간색) 개수에 따라 분류했다. 이황화결합이 많을수록 펩티드가 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리의 몸은 조금도 잘못되지 않았다
2018.07.28
내 몸을 싫어하면서 나를 좋아할 수 있을까? 자신의 허벅지를 볼 때마다 반 정도만 도려내면 좋겠다고 생각한다는 글이 많은 공감을 받는 걸 보았다. 지인 중 저체중임 ... 최근 스스로를 돌보는 게 서툰 이들을 위해 를 썼다.현재는 UNC 의과
대
학에서 연구원을 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생각이 든다. 폴란에 따르면 “우리의 뛰어난 관찰력과 기억력 그리고 자연 세계에
대
한 궁금증과 실험적 자세”도 여기에서 비롯된다. 19세기 프랑스의 법률가이자 미식가였던 장 앙텔므 브리야 사바랭은 1825년 펴낸 저서 ‘미식예찬’에서 “미식법의 목적은 가능한 가장 좋은 음식을 수단으로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