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체"(으)로 총 1,004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404
- 영장류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왜 이런 성향이 생길까. 인간과 침팬지, 고릴라는 다른 개체와 집단을 이뤄 산다. 무리지어 사는 것이 생존에 훨씬 유리하기 때문이다. 함께 협력해 사냥하고 외부 공격을 방어하며 아이를 같이 양육하는 것이 서로에게 이익이다. 그러나 어느 정도 집단이 커지고 자원이 ... ...
- 인공위성이 바닷속 고래도 찾는다과학동아 l201403
- 보호종. 그간 생태학자들은 멸종위기종인 고래를 보호하기 위해 배나 비행기를 이용해 개체수와 서식지를 조사해 왔지만 한 번에 조사할 수 있는 범위가 좁아 비용이 많이 들고 정확도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연구진은 해상도 50cm급인 디지털글로브의 상업위성 ‘월드뷰-2(WorldView-2)’로 ... ...
- 밍크고래, 바다로 떠난 사연과학동아 l201403
- 총 개체수를 약 70만마리로 보는데, 이들의 다양성이 70억 명의 인간에 버금간다.실제로 개체의 다양성 지표인 핵산 다양성이 밍크고래는 0.00061로 나와 0.00069인 인간과 비슷했다. 포유류는 엄마로부터 1쌍, 아빠로부터 1쌍의 염색체를 받아와 2쌍의 염색체를 보유한다. 이때 2쌍의 염기서열이 서로 ... ...
- 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벗기다과학동아 l201403
- 것은 ‘놀라게 하는 도마뱀’이라는 뜻의 대형 육식공룡인 타르보사우루스다. 총 79개체가 나왔다.타르보사우루스 중에서 가장 흥미로운 표본은 알탄울라에서 발굴한 것이다. 이 타르보사우루스는 8살이며 머리뼈 일부, 앞발, 뒷발, 골반과 함께 배 쪽의 뼈가 완벽하게 제 위치에 있었다. 놀랍게도 ... ...
- 후궁이 700명인데…, 사람이 ‘1부1처’라고?과학동아 l201403
- 암컷의 분포가 더 큰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 내렸다. 암컷의 먹이 경쟁이 심하고 개체수 밀도가 적은 경우 1부1처가 나타났다는 게 이유였다. 연구팀은 인류의 조상 역시 비슷한 이유로 1부다처에서 1부1처가 됐으리라 봤다.두 연구는 학자들 사이에서도 논쟁거리다. ‘영장류의 평화 만들기’ ... ...
- 가창오리의 억울한 죽음과학동아 l201403
- 잠복기가 각각 달라요”김 위원장은 “동림저수지에서 죽은 가창오리들은 다른 개체로부터 AI가 옮아 죽었을 것”이라면서 “단, 가축 조류가 아니라 주변에 있던 다른 철새들이 전염원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간단히 말해 범인은 철새가 맞지만, 죽은 가창오리는 아니라는 이야기다. 아직 ... ...
- 흰개미 닮은 로봇들 ‘살아있네~’과학동아 l201403
- 알 수 있다.미국 하버드대 비스생명공학엔지니어링 연구소의 연구팀은 흰개미처럼 각 개체가 자율적인 동시에 상호보완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소형로봇을 개발하는 데 성공하고, 연구결과를 ‘사이언스’ 2월 14일자에 발표했다.흰개미가 이렇게 거대한 개미집을 만들 수 있는 이유는 독특한 ... ...
- 매복과 기습의 명수, 참매과학동아 l201402
- 기대가 됐다. 하지만 박 작가는 머리를 절레절레 흔들었다.“지금까지 보던 것과는 다른 개체예요. 습성이 조금 달라요. 그래서 지금 연구 중이에요.”참매는 대단히 예민하고 섬세하다. 주변이 조금만 이상해도 사냥을 하지 않는다. 더구나 호기로운 새도 아니다. 흔히 매(송골매)라고 하면 높은 ... ...
- 거울보며 단장하는 조류계의 영장류 까치과학동아 l201402
- 1998년 이래 딱 두 번 있었을 뿐이다.이렇게 보면, 까치는 번식이 굉장히 어려운 새다. 개체군 전반적으로 봐도 번식성공도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거나 오히려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새끼의 건강 상태도 해마다 큰 변동폭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환경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인다. ... ...
- 진화론의 ‘첨단’을 읽는다!과학동아 l201401
- 개체보다는 계통(종이나 집단)이 중요하다는 개념이다. 흔히 드는 예로, 레밍이 개체수가 늘면 다른 레밍이 살 수 있게 하려고 일부러 죽는다는 식이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엄밀하지 못했고 자연을 잘 설명하지도 못했기에 1960년대의 해밀턴 이론이 나온 뒤 거의 사장됐다. 그런데 윌슨이 다시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