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인
수락
접수
수납
수령
승인
시인
d라이브러리
"
수용
"(으)로 총 1,151건 검색되었습니다.
슈퍼스타 어과동 동물 오디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9
스티븐 레퍼스 교수팀은 우리 눈에 빛의 특정한 자외선 영역대를 감지하는
수용
체가 있어서 길을 잃지 않는다는 걸 알아 냈어요. 이 기관이 뇌와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무사히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게 해 주지요. 마침 계절도 딱 맞고 하니, 우리를 모델로 하는 게 어때요? 극한 환경을 견디는 ... ...
[한의학은 과학인가?]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12
PAP를 비롯한 여러 효소의 작용으로 아데노신으로 바뀐다.➌ 아데노신은 통각
수용
뉴런의
수용
체(A1R)에 달라붙어 만성통증을 억제하는 신호를 보낸다. 아데노신은 세포막 통로단백질을 통해 세포 안으로 재흡수된다. 침구경락연구센터에서는 최근 안구건조증이나 안면홍조처럼 마땅한 치료법이 ... ...
맞춤의학
과학동아
l
201012
대표적인 예다.차의과학대 암연구소 김성진 소장은 “폐암 가운데 EGFR이란 성장인자
수용
체의 돌연변이가 원인인 경우는이레사가 잘 듣는다”며 “따라서 암세포의 EGFR 유전자를 검사한 뒤 이레사 투여여부를 결정한다”고 설명했다. 10년 뒤에는 이레사처럼 특화된 항암제가 많이 쓰일 것이다.김 ... ...
흑인 부모는 어떻게 백인 아기를 낳았을까
과학동아
l
201011
머리카락, 흰 피부 그리고 햇빛에 잘 타는 형질을 가진 사람이 나온다. 이러한 변이는
수용
체의 기능을 떨어뜨려 어두운 유멜라닌의 생성을 방해했기 때문이다.또 타이로시네이즈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주는 SLC45A2 유전자의 아미노산 하나만 변해도 피부색이 변한다. 예를 들어 374번째 아미노산이 ... ...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
과학동아
l
201011
게 효과적이다. 고난도 문제가 나오는 부분은 화학1에서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하다.
수용
액의 계산 문제, 기체법칙 문제, 금속의 반응성 문제 등이다. 어려운 부분을 많이 공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외 부분을 제외하고 확실히 득점을 올릴 수 있는 부분을 철저하게 공부해야 기본 점수를 올릴 수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
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11
Car4와 PKD2L1는 같은 세포에 분포한다. 그러나 주커 박사팀이 찾은 PKD2L1가 진짜 신맛
수용
체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아무튼 지난 10여 년 동안 주커 교수는 오랜 친구인 리바 박사와 함께 미각의 신비를 밝히는 데 헌신해 왔다. 그는 “신경생물학 연구를 20여 년 수행한 지금에도, 나는 ... ...
[통합과학] 계면 활성제의 미셀 구조 형성
과학동아
l
201011
입자를 침전시키는 내용과 연관돼 있습니다. 세번째 방법은 화학1 물 단원에 나오는
수용
액의 전기 전도도 변화를 바탕으로 용액의 부피가 크게 변하지 않으면서 용액 내에 이온의 수가 증가하면 이온의 농도가 증가하고 전기 전도도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이용해 답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3) 화학 ... ...
초파리의 짝짓기에서 인간의 뇌를 보다 - 분자신경행동학 연구실
과학동아
l
201010
‘이중 교미’를 막는 성단백질은 일종의 ‘열쇠’다. 암컷의 몸속에 있는 특정한
수용
체 즉 ‘자물쇠’와 맞물려야 암컷이 더 이상 교미를 하지 않도록 뇌에 신호를 보내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2008년 오스트리아 비엔나에 있는 분자병리학연구소에서 초파리에 대해 연구하다 이 자물쇠를 찾아냈다 ... ...
[생물] 생물과 환경의 관계
과학동아
l
201010
활용할 것인지 고민합니다. K를 이용해 임의의 시점에서 주어진 환경에 추가적으로
수용
가능한 개체 수를 추정하고 어떤 방식으로 식에 반영하면 좋을지 생각해봅니다. 라서 K-N/K값은 K에 대한 개체군 생장에서 여유가 있는 부분의 비율을 나타낸다. 이 요인을 모델에 반영하면 S자형 생장곡선에 ... ...
식물 속 천연색소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10
많기 때문이다. 광합성을 통해 영양분을 만들어내는 엽록체, 그리고 그 속에 있는 빛의
수용
체인 엽록소는 식물이 광합성을 하는 한 당연히 많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울긋불긋 단풍의 비밀가을이 되면 빛의 양이 줄어들고 기온이 낮아진다. 봄부터 여름 내내 광합성을 하던 식물은 가을이 되면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