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암수"(으)로 총 214건 검색되었습니다.
- 호랑이과학동아 l198810
- 저음의 포효를 하면서 암컷을 찾아 헤맨다.혼자 사는 성향이 강한 호랑이지만 이때만은 암수가 함께 산다.발정이 최고조에 달한 수컷은 마치 분무기에서 뿜는 물안개와 같은 소변을 뿌린다. 암컷은 땅에 뒹굴기도 하고 나무에 몸을 비벼대며 아양을 떤다.암컷은 임신한 지 98~1백10일이 되면 2~4마리의 ... ...
- 잘못 알려진것이 너무많은 곰과학동아 l198809
- 소리를 내는데 황소 우는 소리와 비슷하나 더 크고 길게 근다. 하지만 사육할 때는 암수가 같이 있어 소리를 듣지 못한다.임신기간은 2백10일. 암컷은 2~3월에 1~3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바위틈이나 굴이나 굵은 통나무의 빈 구멍속에서 동면(冬眠)을 하기 때문에 동면도중에 새끼를 낳는 경우도 있다 ... ...
- 클론동물-똑같은 존재의 대량생산과학동아 l198809
- 생물을 인공적으로 만드는 것.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생식방법은 모두가 유성생식, 암수에서 새끼가 생기는 정상적인 생식방법은 유성생식이며 자신의 유전정보는 각자 조금씩 다르다. 부친과 모친의 유전정보의 혼성방법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이다.그러나 클론은 무성생식으로 된 자손의 ... ...
- 사슴과학동아 l198808
- 고라니에는 뿔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산타클로스 할아버지의 썰매를 끄는 순록은 암수 모두가 뿔이 있다.|사슴을 노루로 혼동해필자가 사슴과 첫 인연을 맺은 것은 지난 1966년 10춸초 휴전선의 서부전선에서였다.당시 소대장이던 필자는 대원들과 순찰중 임진강 물줄기를 타고 필사적으로 ... ...
- 상처입고 돌아온 저어새과학동아 l198807
- 알이 놓일 자리에는 가슴팍의 깃털을 뽑아 깐다. 7월 초순경에 4~6개의 알을 산란한 뒤 암수교대로 알을 품는다. 하지만 알을 품고있는 중에 사람이나 짐승이 침입, 생명이 위험하다고 느끼면 후회없이 정든 보금자리를 버리고 종적을 감추는 다소 냉정한 조류이기도 하다.저어새는 주둥이가 독특하게 ... ...
- 초음파로 교신하는 바다의 신동 돌고래과학동아 l198710
- 봄에서부터 가을까지. 발정한 수컷은 끈질기게 암컷을 따라다니며 구애를 한다. 교미는 암수가 배를 맞대고 수면밑 얕은 곳에서 한다. 흰긴수염고래따위의 대형 고래들이 쫓거니 쫓기거니 격렬한 구애 행동끝에 마침내 의기상합하면 느닷없이 물밖으로 솟구쳐 배를 맞대는 순간 교미를 하고 ... ...
- 곤충의 세계 제비나비와 큰밀잠자리과학동아 l198705
- 비롯한 교미의 습성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암수의 구별을 들어보자. 잠자리의 체형은 암수의 차가 거의 없고 체색이나 반문(斑紋)등에 의해 구별할수 있다. 그러나 정확히 구별하자면 수컷의 교미기를 보면 잘 알수있다. 즉 복부제2절(腹部第2節)의 복면(腹面)을 보면 교미기가 집게 모양으로 된것이 ... ...
- 백두산-동북아 최상의 새들의 낙원과학동아 l198610
- 침활엽수림 계곡 바위절벽에 둥우리를 틀고 4월 하순, 한배에 3~5개의 흰 알을 낳아 25일간 암수 함께 포란하여 부화한 새끼를 75일간 키운다. □큰고니(白鳥)해마다 4월 중순에 날아와 약 30일간 머물다 떠나며, 가을에도 8월 하순에 도래하여 약 한달 동안 체류한다. 백두산이 번식지와 월동지를 ... ...
- 즐거운 자연공부과학동아 l198609
- 집을 짓고 사는 백로는 작은 물고기, 개구리, 뱀, 갑각류, 곤충등을 먹고 산다. 암수 모두 흰색이고 번식기에는 뒷머리에 길다란 깃이 2개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산란기는 4월하순부터 8월초순. 3~4개의 알을 낳아 포란후 23일정도만에 부화한다. 왜가리는 푸른색이 섞인 회색을 띠고 있다. 바닷가, ... ...
- 울릉도와 독도과학동아 l198608
- 등이 없다. 조류로는 흑비둘기(천연기념물 215호) 등 58종이 서식하고 있는데, 1982년에는 암수 20마리의 꿩을 방사하기도 했으나 번식에 실패하고 말았다.동물과 달리 식물은 비교적 다양해 6백여종이 자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중에서도 섬잣나무 솔송나무 너도밤나무는 울릉도에서만 ... ...
이전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