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d라이브러리
"
억제
"(으)로 총 1,275건 검색되었습니다.
학교생활기록부를 100배 더 알차게!
과학동아
l
201201
교육과정에 따라 창의적 재량활동과 특별활동이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개편되며, 사교육
억제
정책에 따라 학교 밖에서 활동한 내용을 기록할 수 없도록 훈령이 개정됐다. 즉, 2011년도부터 학생부 기록이 부분적으로 바뀌고, 2012학년도의 고 1, 2학년과 3학년은 학생부가 다소 차이가 난다. 입시의 핵, ... ...
나이는 6살인데 몸은 아가씨?
과학동아
l
201112
방해한다. 사춘기가 나타나는 평균 나이가 될 때까지 생식기관이 자극받지 않도록
억제
한다.치료를 받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3~6개월마다 정기적으로 병원을 찾아 사춘기 진행 속도를 관찰한다. 전문의들은 “성조숙증 치료는 일찍 받을수록 좋으며, 적절한 치료를 꾸준히 받으면 사춘기 ... ...
물고기 무늬에'수학 원리'숨어 있다
수학동아
l
201112
설명했다. 튜링의 반응 - 확산 방정식은 화학 물질을 번지게 만드는 확산제와 이를 막는
억제
제의 상관관계를 수학 공식으로 풀어낸 것이다.예를 들어 산불이 났을 때는 불이 번질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 미리 물을 뿌려 2차 피해를 막는다. 이 때 물을 뿌리는 방법에 따라 불이 번지는 자국의 모양이 ... ...
Part 1. 명상의 뇌과학
과학동아
l
201112
지치게 만들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는 학교다. 신체의 갑작스런 변화로 충동과 욕망을
억제
하지 못하는 청소년들은 심할 경우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를 보이기도 한다. 명상은 이들이 넘치는 에너지를 생산적인 방향으로 돌리는 데 유용할것이다.일터의 스트레스 또는 일자리가 없어 오는 ... ...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
과학동아
l
201111
자기 절제는 집행 기능의 연장선이다.목표달성을 위해 근시안적이거나 본능적인 사안은
억제
하고 궁극적으로 집행기능이 잘 작동하도록 조절한다. 이런 일을 뇌에서는 전두엽이 맡아 한다.따라서 전두엽이 고장 나면 자기만 생각하거나 염치가 없어지는 성격이 나타난다. 또 주변에 휘둘리거나 ... ...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11
바이러스가 더 빨리 자라고 그 수도 많다. 암세포는 스스로 돌연변이를 일으켜 성장을
억제
하는 인자를 없애고 성장을 유도하는 물질을 많이 생산해 낸다. 특히 DNA를 합성하는 효소인 ‘티미딘 키나아제(TK)’라는 효소를 많이 만든다. 암세포 뿐 아니라 백시니아 바이러스도 DNA를 합성할 때 이 ... ...
유산균 5형제, 면역세포 길들이다
과학동아
l
201111
유산균이 면역조절 T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세포의 수도 2배 이상 늘려 면역반응을
억제
시켰기 때문이다. 이 조합물 속 유산균은 원래 장 속에 살던 균이기 때문에 효과가 좋을 뿐 아니라 부작용도 없다.연구팀은 다른 염증성 질환을 가진 쥐에게도 유산균 조합물을 먹였다. 그 결과 아토피 ... ...
낙엽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11
붙어 있으면서 광합성을 왕성하게 한다. 옥신은 또 다른 식물호르몬인 에틸렌의 생성을
억제
한다.잎이 두 번째 단계인 ‘탈리 유도기’에 들어서면 두 호르몬의 힘 겨루기에서 변화가 생긴다. 낮이 짧아지고 기온이 떨어지면서 잎이 노화 모드로 들어가는데 이는 옥신의 감소와 에틸렌의 증가로 ... ...
대한민국 여성 과학인재를 키운다
과학동아
l
201111
발표하는 대회이다. 학생이 직접 수학이론을 이용해서 암호를 개발하거나 발냄새를
억제
하는 물질을 개발하는 등의 다양한 탐구내용을 발표했다.재학생을 대상으로 영재반을 운영하고 있다. 어떤 활동을 하고 있나?1학년을 대상으로 영재반을 운영한다. 과학중점과정 학생만 할 수 있는 것은 ... ...
“우리 부부는 뇌가 2개나 있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1110
사람이 지금까지 함께 발표한 논문만 30여 편에 달한다. 백 교수는 특히 2005년 암 전이를
억제
하는 유전자를 밝혀내 학술지 ‘네이처’에 논문을 실었으며 2009년에는 젊은과학자상을 받았다.과학자의 길을 걸으면서 가장 어려웠던 때를 물었다. 김 교수는 ‘박사 과정 막바지’를 꼽았다. “답답한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