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의술
메디컬
메디칼
medical
d라이브러리
"
의학
"(으)로 총 2,407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소년탐정 김전일의 ‘이진칸촌 살인사건’ (下)
과학동아
l
201603
사건의 트릭을 이미 알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라는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기초적인 법
의학
대중서만 봐도 알 수 있는 미라의 비밀을 와카바가 몰랐을 리 없다는 이유에서였는데요. 이번 화에서는 와카바의 이야기에 좀 더 집중하겠습니다.사건이 종결되고 김전일은 경찰에게서 새로운 이야기를 ... ...
[지식] 매스미디어_라플라스의 마녀
수학동아
l
201603
들고 다니던 사진 속 남자아이와 많이 닮았다는 것, 그리고 그의 아들인 겐토가 뇌신경
의학
자 우하라 젠타로에게 뇌 신경세포 재생 수술을 받고 회복했다는 사실을 알아낸다. 그들은 우하라 박사가 마도카의 아빠이며, 마도카가 겐토를 찾고 있는 것이라고 추리한다.모든 비밀은 그가 쥐고 있다! ... ...
Part 3. 동물실험의 문제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3
총에 맞았을 때 피가 어떻게 튀는지 알아보기 위해서였지요.이후 국제적인 학회지인 ‘법
의학
저널’에 이 연구논문이 실렸고, 국제 동물보호단체 ‘페타(PETA)’는 “실험 방법이 매우 잔인했으며 기존에 이미 비슷한 내용의 실험이 진행됐던 만큼 꼭 필요한 연구가 아니었다”고 비판했답니다.또한 ... ...
[Editor’s Note] 고수
과학동아
l
201602
승화시켰다. 드러내기 쉽지 않은 일이었을 텐데, 이를 용감하게 공개하고 과학과
의학
의 관점에서 되짚어 준 덕분에 울림이 큰 기사가 나올 수 있었다. 최 기자는 ‘몸으로 하는’ 실험을 몇 개월에 걸쳐 또 하나 마쳤다. 다음 달에도 기대하시라.송준섭 기자와 이영혜 기자는 정확히 30년 전에 대학에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
과학동아
l
201602
한다. 특히 지문 중 ‘물에 녹지 않는 성분’을 노려야 한다. 스페인 발렌시아대 법
의학
과 페르난도 베르두 교수팀은 물에 잠겨있던 물체에서 지문을 검출할 때 지질성분에 달라붙는 ‘소립자 시약(SPR)’이 가장 효과가 좋았다고 2013년 학술지 ‘과학과 정의’에 발표했다.소립자 시약은 ... ...
[Tech & Fun] 소녀탐정 ㅊ씨의 S(cience)-File ❷ 소년탐정 김전일의 ‘이진칸촌 살인사건’ (上)
과학동아
l
201602
김전일의 동창인 와카바는 이진칸촌이 아닌 도쿄에서 학창 시절을 보냈습니다. 충분히 법
의학
서적을 볼 기회가 있었던 것이지요. 그렇다면 혹시…, 와카바는 모든 비밀을 알고 있었던 것 아닐까요? 다음 달에 와카바의 비밀에 대해 좀 더 알아봅니다 ... ...
[News & Issue] 맞춤 항생제 3분 만에 처방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602
의학
맞춤 항생제 3분 만에 처방해드립니다항생제 오남용을 반복할 경우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슈퍼박테리아가 만들어진다. 이를 막기 위해 환자에게 정확히 맞는 항생제를 빠른 시간에 처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나왔다.영국 옥스퍼드대 인간유전학연구센터 자민 이크발 연구원팀은 대표적인 ... ...
[News & Issue] 천연두 백신으로 메르스 잡는다
과학동아
l
201602
의학
천연두 백신으로 메르스 잡는다독일 연구진이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MERS-CoV)의 1차 숙주로 알려진 낙타에게 적용할 수 있는 백신을 개발했다. 독일 뮌헨대 게르트 슈터 교수팀은 2년 전 개발한 백신 ‘MVA-MERS-S’를 이용해 낙타의 체내에서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실험을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 ...
[News & Issue] 자연닮은 생체모방무예, 쿵후
과학동아
l
201602
실제 동물이 싸울 때의 특징부터 알아보고자 신남식 서울대 수의대 교수(야생동물
의학
교실)를 찾아갔습니다. 신 교수는 “해부학적으로 사람과 동물들이 너무 다른데 공통점이 있을까요?”라며 사람이 하는 동작이 애초에 동물을 따라할 수 없다고 선을 긋습니다. 그럼 쿵후는 동물의 무엇을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
과학동아
l
201602
바로 플랑크톤을 검출할 때 강산을 쓴다는 점이다. 김윤신 조선대
의학
전문대학원 법
의학
교실 교수는 강산 대신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하는 대체방법을 연구하고 있지만,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90쪽 인터뷰 참조).한편, 플랑크톤은 시체가 물에 들어간 시간도 추정할 수 있게 해준다. 플랑크톤은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