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부분
국부
국소
음부
한부분
몫
d라이브러리
"
일부분
"(으)로 총 471건 검색되었습니다.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
과학동아
l
200312
연소 후에 즉시 떼어버린다 그리고 전자공학에서 쓰이는 부스터라는 용어는 전원 전압의
일부분
을 전원의 상황에 따라 상승 또는 드물게 감소시키는 것을 뜻한다 방송국이나 철도 등에서 이용된다2개 또는 그 이상의 뼈가 서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연접한 구조 두개골이나 척추와 같이 움직일 수 없는 ... ...
4 인간 감성 충족시키는 생각하는 기계
과학동아
l
200310
특성을 모두 물려받는 과정을 모방한 것이다. 또한 돌연변이 연산을 통해 염색체의
일부분
을 아주 낮은 확률로 0은 1로, 1은 0으로 바꾼다. 이는 생물체에서 낮은 확률로 부모의 특징과 전혀 다른 돌연변이가 발생하는 과정을 모방한 것이다. 집단내의 각 개체는 세대를 거듭하면서 더 높은 적합도 ... ...
중국 유인우주선 발사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200310
10월 15일을 전후해 중국에서 유인우주선이 발사될 예정이다. 중국 언론은 유인우주선 ‘선저우 5호’와 운반체인 ‘창정2F’ 로켓이 북서부 간쑤성 주 ... 추진 중인 미사일방어(MD) 계획과 군사정보위성 격파 등 미군 전력의 무력화를 겨냥한 전략의
일부분
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 ...
태양빛 이용해 나서는 달 탐사
과학동아
l
200309
있는 대립 유전자의 수(數) 및 배열 순서가 같은 경우를 완전상통염색체,
일부분
만이 같을 경우를 부분 상동염색체라 하며 이 경우 같은 부분에서만 접합이 일어나고 비상동의 부분은 접합하지 않는다 미지함수(未知函數)가 독립변수 하나만을 가지는 미분방정식 상반방정식 상자성 상태에서의 전자 ... ...
3 분자 하나로 컴퓨터 메모리 기능 수행
과학동아
l
200309
띠고 다른 고리의
일부분
과 맞물려 있는 안정적인 상태를 이룬다. 그런데 두번째 고리의
일부분
에 전자를 빼면(산화), 그 부분이 (+)전하를 띠게 된다. 그러면 원래부터 (+)전하를 띠는 첫번째 고리와의 전기적인 반발력 때문에 고리가 회전한다. 다시 전자를 주입시켜주면(환원), 원상태로 돌아온다 ... ...
인체 결합과 분리의 딜레마 샴쌍둥이
과학동아
l
200309
된다. 그러나 수정란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일부분
이 붙은채로 발육하면 신체의
일부분
이 붙은 결합쌍생아가 태어나는 것이다.결합쌍생아에서 붙는 신체 부위는 다양하다. 가슴이 붙어있는 흉결합쌍생아가 전체 결합쌍생아의 약 40%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경우다. 이들은 서로 얼굴을 마주보고 ... ...
유방암 있는 곳에 바이러스도 있다
과학동아
l
200309
MMTV는 생식과 관련된 호르몬 농도가 증가하면 증식한다. 복제된 다음 자신의 유전자
일부분
을 암과 연관된 유전자의 염기서열 속으로 삽입해 암을 유발한다.지금까지 유방암은 대부분 유전적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 유전에 의한 유방암은 전체의 5%에 지나지 않는다. HHMMTV ... ...
1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새로운 인재상
과학동아
l
200307
대한 인간의 지각능력을 높일 수 있다. 또 나노로봇이 개발돼 사고로 인한 신체
일부분
을 치료하거나 노화에 따른 뇌의 기능 저하도 극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인간과 기계가 직접 의사소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개발되면 신체로부터 정신을 다운로드할 수 있어 화성과 같은 다른 세계로 ... ...
1 인간은 머리기른 침팬지?
과학동아
l
200306
어떤 조각이 어느 조각 다음에 오는지 정해진다. 이 방법을 통하면 침팬지 전체 게놈 중
일부분
(BAC 클론 말단부분)의 염기서열을 알 수 있다. 컨소시엄은 이를 이미 100% 해독돼 있는 인간게놈의 염기서열과 비교해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1월 4일자에 발표했다. 논문에 따르면 침팬지 BAC 클론의 ... ...
생명체 복잡성 실체는 항공망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306
서해안에 살고 있는 여러가지 수산생물들이 이루고 있는 먹이사슬망의 극히
일부분
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어는 남방대구와 바다표범을 함께 잡아먹으며, 또 바다표범 역시 상어를 잡아먹기도 한다. 이러한 전체 먹이사슬망의 연결관계를 무시하고 바다표범과 남방대구 달랑 둘만을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