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양대학교
한양대
d라이브러리
"
한양대학
"(으)로 총 217건 검색되었습니다.
식품포장재 랩 논쟁4년 PVC는 랩의 원료로 타당한가
과학동아
l
198904
PVC랩에 포함된 발암물질 시비로 시작된 랩 논쟁은 이제 '저가격이면서 인체에 무해한 랩' 의개발 생산에 촛점이 맞춰지고 있다.랩(wrap) 사용이 늘면서 랩에 대한 논쟁이 뜨겁게 일고 있다. 맛살 어묵 등 가공식품과 육류 채소류 등의 포장재로서 랩이 각광을 받고 있다. 뿐만아니라 가정에서 반찬류 ... ...
슈퍼컴퓨터 본격가동 우주생성연구에서 영화제작까지
과학동아
l
198902
공군사관학교 에너지연구소 기계연구소 천문우주과학연구소 포항공과대 울산대학교
한양대학
교 충남대학교 부산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계명대학교 경북대학교 영남대학교 인하대학교 등 20여개 기관으로부터 있었다.지난 10월부터 시험가동된 슈퍼컴퓨터 이용률은 급장하고 있는 추세로 10월에는 60 ... ...
희귀학과 전성시대
과학동아
l
198812
전에는 들어보지 못했던 학과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전문화 세분화의 길로 여지없이 파고 드는데…'선지원 후시험'제의 제2기를 맞은 금년에도 지원을 앞둔 수험생들의 머리속은 복잡하다. 물론 부동의 지원학과를 정해놓은 수험생은 별 문제가 없지만, 대다수의 수험생은 시험일이 가까와올수 ... ...
기초과학·경계학문이 가능성 커
과학동아
l
198811
"만원버스를 피하라. 그곳에서는 고도의 연구성과를 거두기가 무척 힘들다"대학으로의 진로결정은 인생에서 가장 큰 전환점이다. 고교까지의 학문은 본인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제3자(사회, 국가)에 의해 마련되어 있었고, 본인은 주어진 교육제도에 순응만 하고 있으면 되었다. 하지만 대학진학을 ... ...
서독「막스 플랑크」분말야금 연구소를 보고
과학동아
l
198809
취득하였다. 타외국에 비하여 많은 한국인이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 데에는
한양대학
교 문인형 교수께서 폣쬬 교수와 가진 개인적인 교분을 '한국-독일 공동연구협정'이라는 정부차원의 프로그램으로 확대시킨 공로에 힘입은 바 크다 하겠다.연구동은 반 지하식으로 건설되어 지하층과 ... ...
부활을 기다리며 냉동인간 제조 이미 수백명
과학동아
l
198805
영하 1백96℃에서 냉동된 채로 죽음을 거부하는 사람들. 미래는 그들을 되살려낼 것인가? '돌아온 홈즈'. 이는 최근에 방영된 한 텔리비전 외화의 제명이다. '코난 도일'의 추리소설 속에서 맹활약을 하던 명탐정 '셜룩 홈즈'가 과거로부터 현재로, 죽음으로부터 삶으로 돌아온 것을 상정하여 그려진 ... ...
별들의 수수께끼에 생애를 걸다
과학동아
l
198804
본격적으로 공부하느냐 하는 기로에 서게 되었다. 그때 내게 도움을 준 분은 현재
한양대학
교에 재직중인 조순덕박사님이다. “천문학은 배고픈 학문임에는 틀림없으나 참으로 매력있는 학문일 뿐더러 미해결의 문제가 너무 많은 학문이다. 또한 이 분야를 전공한 우리나라 사람이 드물기 때문에 ... ...
젊은 과학도들이 일으키는 신선한 바람 엘리트로 자족해선 안된다
과학동아
l
198802
과학기술계가 역사의 전환기를 맞아 자체 민주화와 사회봉사를 다짐하는 반성운동을 펼쳐나가고 있다 과학계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지난해 6월 이후의 민주화 열기속에서 비교적 침묵으로 일관해 오던 과학기술자들이 여러분야에서 조직적으로 활동을 개시한 것이다. 젊은 과학기술자들이 ... ...
컴퓨터교육 89년부터 교과과정에 컴퓨터 문맹 벗어날 수 있을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10
컴퓨터전문가들은 초중고에서 통일적인 체계 아래 교육이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한양대학
교 교육공학과 이완영교수는 "우리나라의 여건상 컴퓨터를 통한 교수·학습방법은 아직 여건이 성숙하지 못했으므로 일단 컴퓨터라는 것이 무엇인가를 또한 그것이 사회생활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를 ... ...
한국고분자학회회장 김점식 박사
과학동아
l
198611
첨단과학으로서 세계적으로 활발히 연구되는 분야를 꼽는다면 정보·전자, 생명과학, 에너지 그리고 신소재를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신소재의 개발이 앞의 세 분야가 발달하는 데 초석이 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신소재분야로서 고분자학계의 동향을 ... ...
이전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