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친절
친선
온정
선의
애정
은혜
은총
d라이브러리
"
호의
"(으)로 총 25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을 파헤친다
과학동아
l
199008
우리 학자들은 프랑스 국립도서관 극동도서부에 근무하고 있던 박병선(朴炳善)씨의
호의
로 그 책을 간접적으로나마 접할 수 있게 되었다. 그녀가 직접 가져온 원본크기의 흑백사진판을 보게 된 것이다.학자들은 책의 권말에 있는 간기 '선광칠년 정사 7월 일 청주목외 흥덕사주자인시'(宣光七年丁巳 ... ...
기름을 분해하는 박테리아
과학동아
l
199008
지속적인 영양을 공급하려는 시도도 연구되어 왔다. 알래스카에서 발생한 엑슨 발데즈
호의
좌초사고때 미국환경보호국(EPA)에서 연구한바에 따르면 기름에 잘 녹는 유기물 형태의 질소 인을 공급함으로써, 공급하지 않은 해안에서보다 2배 이상의 속도로 유류오염을 분해 제거할 수 있었다. 이것은 ... ...
스페인
과학동아
l
199004
「작은 대륙」이라고 불리는 피카소, 달리, 미로의 나라는 2년 후를 손꼽아 기다린다. 바르셀로나에서는 올림픽이 열리고 마드리는 유럽의 문화수도로 지정될 ... 미로 박물관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콜롬부스 동상과 그가 타고 갔던 산타 마리아(Santa Maria)
호의
복제품이 해안에 정박해 있다 ... ...
3월경 정점에 이를 태양활동의 여파
과학동아
l
199003
크다. 증폭된 복사열은 태양전지의 효율성을 떨어뜨려 전지를 빨리 소모시킨다. 마젤란
호의
경우도 태양의 복사열로 인해 열효율이 10% 떨어졌다.태양의 양성자에 의한 우주선의 피해 역시 상당하다. 이번 활동주기의 양성자 방출량은 지난 1972년 8월에 있었던 19주기의 최고치를 훨씬 능가할 것으로 ... ...
PART2 다가온 우주레저 시대 첫 우주관광여행은 1999년에
과학동아
l
199003
로켓엔진이다. 그러나 이렇게 경제적인 기계를 만들고자 했던 욕심이 1986년 챌린저
호의
폭발사고를 낳은 원인 되었다는 견해도 있다.프랑스와 일본도 도전미국의 우주왕복선이 처녀비행을 시작한지 7년 뒤인 1988년 11월 15일 소련은 '부란'(눈보라)이라는 이름의 첫번째 무인우주왕복선을 발사했다. ... ...
PART4 우주개발의 메카 NASA, 그 영광의 궤적
과학동아
l
199003
호라는 네대의 우주왕복선을 건조했지만, 1986년 1월28일에 7명의 승무원을 태운 챌린저
호의
폭발사고로 3년이상이나 계획이 중단되다시피 했다. 그러나 90년대에 들어서면서 우주왕복선 활동은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전(前)미국대통령 레이건은 그의 재임시 NASA로 하여금 우주기지(Space Station) ... ...
태양계의 신비 얼마나 벗겼나 12년의 대장정 보이저 드라마
과학동아
l
198910
통과하면서 신비의 행성으로만 간주돼왔던 해왕성의 모습을 지구로 전송해왔다.보이저2
호의
해왕성탐사에서 1차적인 성과로 부각된 것은 새로 발견된 6개의 위성과 5개의 고리이다.최근까지만 해도 해왕성의 위성은 '트라이튼'과 '네레이드' 2개뿐인 것으로 알려졌었다. 특히 이번 탐사에서 지구 ... ...
실제로는 정부지원 얻어내자는 속셈인듯
과학동아
l
198909
있다.이런 주장은 획일적인 과학정책수립에 회의적인 사람들에까지 부분적으로
호의
적인 반응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데 이들은 적어도 환경·보건에 관한한 최고 정책기구가 있어야 한 나라안에서의 환경보호 문제라도 효과적으로 집행될 수 있다고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전반적인 ... ...
과거보다 10배나 선명한 금성사진 찍을듯
과학동아
l
198908
달거나 그것을 조작하는 것은 기술적으로도 어렵고 비용이 엄청나게 든다.마젤란
호의
안테나 직경은 불과 3.7m밖에 안되지만 aperture synthesis라고 불리우는 컴퓨터처리과정을 통해 높은 분해능력을 갖고 있는 것이다. 컴퓨터는 지상에서 작동한다. 마젤란호는 37.2분마다 금성을 돌면서 자료를 모으고 ... ...
우리 귀에 들리지 않는 곳에서 맹활약한다 초음파의 세계
과학동아
l
198906
때 유용한다. 반면 뒤의 성질은 초음파를 에너지의 형태로 이용하는것이다. 타이나닉
호의
비극을 동기로자연계에서는 우리가 알고있는 바와 같이 태고적부터 초음파가 존재했다. 특히 동물계에서는 초음파의 활용이 많다. 서두에 언급한 박쥐나 돌고래가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그들은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