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희곡
각본
드라마
마지막
전극
극본
연극
d라이브러리
"
극
"(으)로 총 726건 검색되었습니다.
초대륙 아마시아가 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남아메리카 대륙은 환태평양 화산대에 남고 북
극
해와 카리브 해가 닫히면서 북
극
을 중심으로 초대륙이 형성된다는 모델(➌).]일본 아래 히말라야보다 높은 산맥 솟는다앞서 설명한 두 모델에는 공통점이 하나 있다. 호주대륙이 북상하면서 약 5000만 년 뒤 한반도가 일본 열도와 충돌할 것이라는 ... ...
중국이 이모작하면 한국엔 더 센 장마 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이유가 중국 이모작 때문만은 아니다. 지구 규모 관점에서 봤을 때 장마는 지구온난화로
극
지역, 중위도, 열대지역의 온도 패턴, 그리고 대기중에 포함된 수증기량 등 복잡한 원인으로 바뀐다. 다만 중국의 이모작이 최근 장마를 더 강하게 한 주요 원인의 하나인 것은 분명하다.우리 연구팀은 이번 ... ...
에너지 순환, 중위도는 훼방꾼?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불분명하다.중위도의 바람이처럼 열대 지방과 한대 지방에서는 각각 해들리 순환과
극
순환에 의해 대기에 의한 에너지 수송이 원활하게 이뤄진다. 반면, 중위도에서는 에너지 수송에 이바지할 자오면 순환이 뚜렷하지 않다. 때문에 남북 방향 에너지 수송을 통한 지구 에너지 평형은 흔히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적용해 연구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는 3가지 난관을
극
복해야 한다. 첫번째가 자
극
장치의 크기를 줄이고 모양을 바꾸는 것. 거북이에 부착했던 장치는 크고 무거워도 빠른 방향전환이 가능했다. 그러나 물고기에게 같은 장치를 달려면 크기와 무게를 줄여야 한다. 연구팀은 작은 안경 ... ...
비상~! 보이지 않는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이건 하수도를 지나 강으로 흘러든 다음 바다에 모여. 실제 연구팀이 조사한 남
극
과 북
극
, 영국, 인도 등 18개 바닷가 모두에서 마이크로플라스틱이 발견 됐어.바다에 떠다니는 마이크로플라스틱은 얼마나 될까? 지금까지는 1㎜보다 큰 것들만 확인 할 수 있었어. 1㎜보다 작은 게 얼마나 있는지는 알 ... ...
6화 폴과 폴의 대결!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앉아 폴에게 대수롭지 않게 말했다. 하지만 생사를 결정하는 선택인 만큼 폴의 긴장감은
극
에 달했다. 게다가 피타가 두 장 모두 ‘사’가 써 있다며 피타고라스의 속임수를 일러 주자, 폴은 혼란에 빠지고 만다. 폴은 이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문제 ❶ 사형의 위기에서 벗어나다!“어떤 걸 ... ...
지옥보다 독한
극
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1571만℃)보다 25만 배 높고 초신성의 중심부 온도보다도 약40배 높다. 어지간한 우주 속
극
한 공간보다 훨씬 높은 온도를 인류가 직접 만든 셈이다.하지만 브룩헤이븐국립연구소는 이 사실을 공표하며 한 가지 단서를 달았다. 기록이 곧 깨질 거라는 예언이었다. 그 해 말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만든다.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려면 높은 압력으로 고밀도 상태를 만들어야하는데 같은
극
끼리는 밀어내는 척력이 발생해 고밀도 상태가 되기 어렵다.하지만 1996년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LLNL)의 물리학자 맥스 타박의 아이디어 덕분에 펨토초 레이저는 천덕꾸러기 신세를 면하게 됐다. ... ...
차세대 연료전지 나노 기술로 상용화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해답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으로 건전지를 분해했다. 건전지에는 전
극
이면서 이온을 저장하는 층상구조가 있는데 여기에 쓰인 산화물을 연료전지에 넣어 봤더니 수소 이온의 이동성이 활발해지는 것을 발견했다. 다른 분야의 아이디어가 문제 해결의 열쇠가 된 것이다. “이럴 때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너무 진부하다는 의견 때문일까, 최근에는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이
극
의 전개를 바꿔 놓고 있다.알츠하이머병은 ‘베타 아밀로이드’라는 작은 독성 단백질이 대뇌에 쌓이면서 시작된다. 이 때문에 세포에서 호흡을 담당하는 미토콘드리아의 구조가 변하면서 뇌세포가 손상돼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