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수"(으)로 총 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불가능을 가능으로 세트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푸리에 변환은 시간에 대한 함수를 그 진동수로 분해하는 작업으로 다항식이나 선형대수학보다 훨씬 더 복잡합니다.이전까지 가장 좋은 증명을 내놓았던 베이트먼과 카츠는 푸리에 변환을 이용해서 복잡하게 증명했습니다. 그런데 크루트와 레브, 파흐는 푸리에 변환을 전혀 사용하지 않습니다. ... ...
- [QUIZ KING & KING] 제30화 시험은 싫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
- PART 1 크다고 다 빅데이터일까?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긴 행렬이 된다. 행렬이 한쪽으로 너무 긴 형태가 되면 풀기가 어렵다. 이럴 때는 선형대수학이나 수치해석학의 이론으로 우리가 풀 수 있는 형태로 바꿔준다.행렬은 데이터를 표현하는 데도 쓰이지만, 행렬 자체가 데이터인 경우도 많다. 특히 이미지 데이터가 그렇다. 사진을 확대하면 보이는 각 ...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실질적으로 쓰이는 수학을 찾았고, 그게 바로 암호학이었어요. 특히 암호는 깔끔한 대수학을 기반으로 한 학문이라는 게 매력적이었어요. 해석학에 기반한 학문은 계산이 종종 복잡하거든요.안전하고 기억하기 쉬운 비밀번호를 만들 수 있을까요?암호 관련 수업 중에 쉽게 접할 수 있는 예로 ...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보니 이들은 디지털 포렌식을 공부하겠다고 모인 검찰청 소속 검사와 수사관들이었다.대수학★숫자 대신 문자를 써서 수학 법칙을 연구하는 학문.디지털 포렌식은 스마트폰과 컴퓨터, CCTV 같은 디지털 기기에 남은 정보를 분석해 범죄 증거를 찾는 수사기법이다. 김영철 서울중앙지검 수사관은 ...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대수학의 한 분야로, 컴퓨터가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게 하는 대부분의 알고리즘은 선형대수학에 기반을 두고 있다.]빠지면 안 되는 확률인공지능은 빅데이터를 입력해서 의사결정과 데이터를 연결해주는 모형(함수)을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다양한 모형을 만들어 어떤 모형이 예측력이 ... ...
- [지식] 최도훈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전에 미래에 대해 확신을 가진 적은 없어요.‘모리 시게후미’라는 일본의 저명한 대수기하학자도 학창시절 두각을 나타냈지만 다른 일을 해야 하는 건 아닌지, 자신의 능력이 수학자로서 충분할지 계속 고민을 했다고 하더라고요. 저도 ‘지금은 수학을 하고 싶으니까 조금 더 해야지’라고 ... ...
- [지식] #數수스타그램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찌그러지거나 잘려 있는 부분은 없는지 알아냅니다. 이 수학모형은 미적분과 선형대수학, 통계학 등을 이용해요. 특히 사진을 이루는 픽셀의 통계를 이용하면 위조된 사실을 정확히 집어낼 수 있답니다. 비슷한 색깔, 비슷한 모양끼리 픽셀을 분류한 다음 100% 똑같은 패턴을 가진 부분이 있는지, ... ...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어떤 수학적 도구로 풀어야 할지 아무도 모르거든요. 미분방정식이 필요할 수도 있고, 대수학이 필요할 수도 있어요. 그런데 수학을 넓고 깊게 공부해 두지 않으면 단순한 문제밖에 풀 수 없어요. 생물학을 연구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건 새로운 관점이라는 걸 잊지 마세요. 쓸모없는 것 같은 수학도 ... ...
- [지식]SHERLOCK열혈 팬, 천재 수학자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보자. 불은 1864년에 폐렴으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모리아티의 논문 주제인 이항정리가 대수학의 일부라는 점으로 볼 때, 만약 1864년까지 모리아티가 퀸즈 칼리지에 머물렀다면 그는 분명 불의 뒤를 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다른 사람이 불의 뒤를 잇는 교수가 됐다는 건 모리아티가 이미 다른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