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전시
대전광역시
집대성
전집
충전
회전
큰싸움
d라이브러리
"
대전
"(으)로 총 1,900건 검색되었습니다.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DIY 드론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7호
부모님이 즐긴 메이커 스쿨 현장을 확인해 보세요~! 드론은 1910년대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쓰인 무인항공기에서 발전한 군사용 물품이에요. 폭탄을 싣고 목적지로 간 다음 엔진을 꺼서 떨어지는 식으로 작동했지요. 그러다 1930년대, 영국에서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 ‘퀸비(Queen Bee, ... ...
[과학용어] 로봇·코딩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5호
개발되고 있답니다. 코딩(Coding)고대 로마 제국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을 만든 업적으로 유명해요. 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세계 법률의 기초가 되었지요. 그런데 법전을 이루는 4개 책 중 황제의 칙법을 정리한 은 라틴어로 ‘코덱스(Codex)’라고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AI)을 통한 초 연결시대를 구성하는 근간 기술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 우세하다. 11월 14일
대전
에서 만난 윤호섭 UST-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쿨 ICT전공 교수(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간로봇상호작용연구실 책임연구원)는 인공지능 중에서도 시각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었다. 그는 2002년부터 조도와 ... ...
소행성이 우리나라에 떨어진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주요 재난으로 인정되며 우주위험감시센터에서 모의 훈련이 매년 열리기 시작했어요.
대전
등에 소행성이 떨어질 것을 가정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방청 등과 함께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점검하고 연습하지요. 조성기 우주위험연구실 실장은 “발견되지 않은 소행성은 내일 당장 떨어져도 ...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조명과 함께 장내에는 환호성이 울려 퍼졌다. 축구 경기가 열린 이곳은 축구장이 아닌
대전
KAIST 학술문화관 정근모홀. 축구장은 스크린이, 관람석은 강의 테이블이 대신했다. 올해로 2회를 맞은 KAIST ‘AI 월드컵 2019 국제대회’를 직접 관람해봤다. 선수는 5명, 전·후반 10분 경기올해 대회에는 1 ... ...
어디에 쓰이는지 알면 깜짝 놀랄걸! 수학재밌데이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대체 어떻게 수학이 재밌다는 걸 느끼게 했을까요? 11월 16일과 17일
대전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서 열린 행사에 찾아가 봤습니다. “수학이 쉽다는 말이 아닙니다. 하지만 어떤 원리를 깨닫고 그 원리가 세상에서 어떻게 쓰이는지를 알게 되면 놀랍고 흥미가 생깁니다. 그리고 내가 가진 ... ...
[수학미술관] 수학을 닮은 몬드리안의 작품 세계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부기우기’입니다. 제목이 독특하지요? 유럽에서 활동하던 몬드리안은 2차 세계
대전
이 일어나자 미국 뉴욕으로 건너갔습니다. 당시 뉴욕에서는 재즈 음악이 유행하고 있었고, 몬드리안은 재즈 음악 ‘부기우기’를 무척 좋아했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사랑하는 음악을 작품으로 나타내고자 ... ...
성균관대-KAIST-고려대 국내 첫 AI대학원 수업 들어보니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솔루션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의 집단인 가설 공간을 선택하는 것입니다.)”9월 7일
대전
유성구 KAIST LG이노베이션홀 강의실에서 진행된 ‘인공지능을 위한 기계학습’ 수업은 마치 해외 대학 강의를 연상시켰다. 모든 수업을 영어로 진행하는 KAIST의 규정에 따라 이 수업도 영어로 진행됐다. ... ...
[맛있는 수학] 수학으로 나눠 먹는 생일 케이크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문제거든요. 도대체 왜 수학자들이 케이크 자르기 문제에 매달렸냐고요? 제2차 세계
대전
이 끝나고 미국, 러시아 등의 강국이 모여 돈과 영토를 어떻게 공평하게 나눌지에 대해 논쟁을 벌였습니다. 이때 수학자들이 ‘공평한 분배’에 대해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폴란드 수학자인 휴고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천문학자들로 구성된 연구팀을 앞세운 선진국의 천문학은 따라잡기가 어렵다. 제2차 세계
대전
부터 레이더 기술을 선도한 독일은 전파관측시스템에 대한 자부심도 크다. 그런 독일과 이제는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는 사실이 감개무량하기만 하다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