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안
방도
방법
방안
구상
착상
고안
d라이브러리
"
대책
"(으)로 총 842건 검색되었습니다.
2013 눈길을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하지만 앞으로는 도로 바로 옆에 기상관측장비를 설치해 위험을 예측하고 곧 바로 예방
대책
까지 세우는 시스템을 갖출 예정이다.눈비 감지센서센서에 장착된 레이더가 떨어지는 빗방울의 속도를 분석해 비, 눈, 우박, 진눈깨비로 구분한다온습도 감지센서전자 장치를 이용해 도로 주변의 ... ...
녹조비상! 물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7호
못할 테니까. 수돗물을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니 다행이야. 녹조가 발생한 다음에는
대책
이 없는 셈이니 녹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게 최선이지. 강물에 영양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수처리와 상수원 관리를 잘 해야겠어. 그리고 강물은 가능한 빨리 흐르도록 해야 해. 고여있는 강물아 흘러라~ ... ...
화학자가 본 플루오린화 수소 유출 사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것이 분명하다. 그렇다고 가축을 모두 죽이고, 나무를 모두 베어내는 것을 합리적인
대책
이라고 할 수 없다.플루오린화 수소에 대한 괴담 수준의 정보도 믿을 것은 아니다. 유출된 플루오린이 환경에 오랫동안 남아서 우리에게 피해를 줄 것이라는 주장은 명백한 오류이고, 다이옥신과 비교하는 것도 ... ...
기후변화: 사회기반시설물의 하소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녹색 기후 기금 단체를 만든 것이다. 기후변화로 인해 사회기반시설물이 입는 피해와 그
대책
을 알아보기 위해 연세대 토목공학과 교수로서 사회기반시설물 연구 기술을 발전시키는 기후변화 적응형 사회기반시설 연구센터(GIT4CC)를 이끌고 계시는 정상섬 교수님을 만나봤다. 우리는 먼저 ... ...
Part 4. 우리 함께 살 수 있어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아니라 사슴류와 키가 작은 다람쥐 같은 초식동물이나 산쥐 등까지 보호하는 종합적인
대책
이지요.” 현지에서 만난 션 갤라거 연구원의 설명이다.관리 당국이 하는 연례 행사인 산림 태우기는 이 지역 생태의 밑바탕이 되는 식생을 건강하게 만든다. 로키산맥에 자리잡은 워터튼 국립공원은 ... ...
다 쓴 핵연료 골라서 다시 쓰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때문에 안정성과 경제성을 위해 포기했다”고 설명했다.폐기물 문제 아직 확실한
대책
없어파이로프로세싱과 고속로를 이용한 사용후 핵연료 재활용이 가능해지려면 앞으로 최소한 20년 이상이 걸린다. 그동안 생기는 사용후 핵연료와 현재 가지고 있는 고준위폐기물을 해결할 뚜렷한 방안이 ... ...
있다? 없다? 거북선 실종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거대한 거북선을…. 죄송합니다, 장군~!허허…, 그럼 이제 어떻게 하면 좋겠소? 좋은
대책
이 없겠소?한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장군. 21세기 조선에 썰렁홈즈라는 유명한 탐정이 있다고 하옵니다. 미래로 가셔서 그 탐정을 한번 만나 보시는 게 어떻겠습니까?진짜 거북선을 찾아라!엥? 임진왜란에서 ... ...
정글의 법칙 수학으로 파도타기!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의해서 출렁이는 물결을 말하는 거잖아.”“오 마이 갓! 이 정도 상식으로는 아무런
대책
도 세울 수 없겠는걸?”“어! 형, 저거 봐! 저거 부표 아냐? 뭐가 많이 적혀 있어! 여기 우리 말고 또 누가 있나 봐!”“내가 가서 부표를 건져 올게. 이 섬을 빠져나갈 유일한 단서가 될지도 몰라!” Chapter 2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있다. 민감한 폭약을 싣고 있는 탄두 부분이 지구로 재돌입할 때 손상을 입지 않도록 방열
대책
이 있다는 점이다.발사된 탄도탄이 고도 150~200km에 도달하면 여기서부터는 공기밀도가 낮아 사실상 진공이다. 1단 로켓에서 분리된 탄두는 계속 올라가 1200~1400km 정도의 최고 고도에 도달한다. 탄두는 다시 ... ...
비상~! 보이지 않는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농축 현상이 생기지. 과학자들은 하수처리시설을 개선해 마이크로플라스틱에 대한
대책
을 세워야 한다고 얘기했어.그런데 마이크로플라스틱은 이제 막 연구를 시작한 상황이야. 그래서 그 위험성을 섣불리 말하기 어렵다는 주장도 있어.실제 지금 바다에 피해를 주는 것은 마이크로플라스틱보다 큰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