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수학 국가대표, KAIST 퍼즐 동아리가 말하는 필승 전략! 데블스 플랜 게임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고유번호를 알기 어려워요. 그래서 기본적으로 3인이 연합하는 전략을 써요. 2명이 만나 모든 카드를 썼을 때, 고유번호 2개는 알아낼 수 있지만, 누가 어떤 고유번호를 가졌는지 알 수 없어요. 1명을 더 섭외하면 그 사람과 2명 중 1명이 컨택트룸에 들어가 정보를 더 알아낼 수 있어요. 그런데 이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준비기간 단 1달, 과학고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이용해 항암 치료할 때 약물 투여량을 계산하는 연구를 했어요. 또 국어, 영어를 제외한 모든 과목에서 탐구 보고서를 작성하는 수행평가가 있어요. 이때 관심 있는 분야를 자유롭게 융합해서 보고서를 쓸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생명과학 수행평가여도 생물의 증식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수학 ... ...
- [한 장의 과학] 서남극 빙붕의 돌이킬 수 없는 미래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등 5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아문센해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모든 시나리오에서 환남극 심층수의 흐름이 강해지며 아문센해의 수온을 높이고 빙붕이 녹는 현상이 촉진됐다고 밝혔다. 서남극 지역의 빙붕이 모두 녹으면 전체 해수면은 5.3m가량 상승한다. 노턴 연구원은 자신의 X ... ...
- [과학뉴스] 관측 사상 가장 큰 화성 지진, 그 원인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미국은 물론, 유럽, 아랍에미리트(UAE), 중국, 인도 등 화성 궤도 탐사선을 운용하는 모든 국가가 참가했다. 각 그룹은 화성을 촬영한 위성 이미지를 분석해 새로운 분화구나 먼지 구름 등의 증거를 찾았다. 그러나 수 개월 동안 이어진 탐색에도 소행성 충돌의 증거는 나오지 않았다. 화진의 원인이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정밀 분석은 유전체 연구를 위한 정확한 지도를 만드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모든 유전체 연구의 기반이 되기 때문에, 참조 유전체 연구는 정밀할수록 유용하다는 뜻이다. 2022년 이전까지의 유전체 연구에 쓰인 참조 유전체는 ‘게놈 레퍼런스 컨소시엄의 38번 째 인간 빌드’, 약자로 ‘GRCh3 ... ...
- [최신 이슈] 70년간 독도경비대원 괴롭힌 흡혈곤충의 정체, 모기점등에모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다르다. 이해하기 쉽도록 한국에 널리 퍼진 빨간집모기와 비교해 보자. 지구에 사는 모든 생물은 보통 ‘계문강목과속종’ 체계에 따라 분류된다. 빨간집모기는 ‘모기과(科) 집모기속(屬)’ 곤충이다. 반면 독도점등에모기는 모기과가 아닌, ‘등에모기과 점등에모기속’으로 분류된다. 이 ... ...
- [최신 이슈] 태우는 게 최선일까? 지구 오염시키는 우주 쓰레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한 예로 2020년 5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는 지구 궤도를 도는 모든 인공위성에 ‘궤도 사용료’를 부과하자는 내용이 발표됐다. 지구 궤도가 혼잡해지며 충돌 위험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 비용을 궤도를 사용하고 있는 인공위성 사업자들에게 ... ...
- 25그릇만큼의 물양을 어떻게 잰담?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아주 커다란 냄비에 라면을 아주, 아주 많이 끓여서 모든 동물에게 맛보여주는 거야!’ 보구리는 중얼거렸어요.“하지만 라면을 맛있게 끓이려면 물의 양을 정확히 맞춰야 하는데, 25그릇만큼의 물양을 어떻게 잰담?” 그때, 어디선가 ‘바스락’하는 소리가 들리더니 보구리 앞에 누군가 불쑥 ...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아이디어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해요. 수학자가 아무리 똑똑해도 지금까지 증명돼 온 모든 방식과 내용을 다 알 수 없어요. 인공지능이 지금까지 벌어진 일을 큰 그림에서 살펴보고, a와 b의 방법론을 엮어서 c라는 새로운 방법론을 만들 수 있지요. 그렇게 된다면 수학에서 비약적인 발전이 있을 ... ...
- [가상인터뷰] 4억6000만년전 삼엽충은 뭐 먹고 살았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Q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려요.저희 삼엽충은 고생대 약 2억 7000만 년 동안 모든 고대의 바다에 퍼져 살았던 동물이에요. 몸이 왼쪽, 가운데, 오른쪽으로 뚜렷하게 구분돼 있어서 삼염충이라는 이름이 붙었죠. 지금까지 발견된 것만 2만 종이 넘어요. 그중에서도 저는 보헤몰리카스 인콜라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