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대"(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막히나요? 이연재눈물을 펑펑 흘리면, 콧물도 주르륵 흐릅니다. 그러면 코가 막히죠. 반대로 콧물을 세게 풀 때 눈물이 나오기도 합니다. 대체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날까요? 이를 알기 위해서는 우리 얼굴 속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먼저 사람의 시각 중추 안구가 들어있는 공간인 ... ...
- [Rethinking] 두 번 째 질문, 기호 x가 수학에 끼친 영향은?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수학의 개념화 혹은 추상화 같은 데에서 굉장히 큰 발전을 이뤄냈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반대로 얘기하면 x라는 기호가 수학을 발전시켰다기보다는 수학이 그만큼 x라는 기호를 수용해서 식을 나타낼 수 있을 정도로 발전했다고 역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인문학자 : 특히 현대 수학자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영장류 세계에도 ‘공짜 배움’은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것들을 배운 것으로 보였다. 아자입은 젖을 떼고서도 먹기 쉬운 열매를 먹을 때나 그 반대일 때나 엄마와 3m 이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하루 중 가장 길었다. 다른 가족과 비교되는 A가족만의 독특한 특징이었다. B 가족의 가훈은 ‘알아서 잘 크자’였던 것 같다. 그만큼 부모와 형제들이 막내에게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초효율 전기모터 구현할 초자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외부 자기장을 가했을 때 원자의 자기장 방향이 인접한 원자의 자기장 방향과 반대를 향한다. 원자들의 N극과 S극이 상쇄되면서 자기장이 방출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금속은 상자성체에 속한다. 상자성체의 내부엔 자성을 띠는 원자가 제멋대로 배열돼 있다. 각각의 원자가 방출하는 자기력 방향 ...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생각한다”고 했다. 지구상에서야 광속으로 움직이면 약 0.067초 안에 지구 반대편까지 도달할 수 있으니 이 한계는 크게 느껴지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은하로부터 가장 가까운 큰 은하, 안드로메다 은하에 방문할 경우 이야기가 달라진다. 광속으로 달려도 250만 년 동안 뛰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 ...
- [뉴스&인터뷰] 다누리가 쏘아 올릴 작은 공, 달 착륙기지 결정할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그 길에서 벗어나고 싶어지죠. 그렇기에 여느 분야보다 더 큰 꿈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우주는 그 어느 분야보다 개인의 꿈이 크게 발현되는 공간입니다. 항공우주를 꿈꾸는 과학동아 독자분들이 우주를 향한 꿈을 소중히 다듬으시길 바랍니다 - 김은혁 항공우주연구원 달탐사본부 ... ...
- [기획] 결함에 0차원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있습니다. 그런데 공공을 만들고 난 뒤, 만들어진 공공을 이웃하고 있는 원자 전기분극이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이 방향의 차이는 박막 소재의 유전율 크기를 바꿨습니다. 분극이 같은 방향으로 나란하면 유전율이 낮아지고, 나란하지 않으면 유전율이 높아진 것이죠. 유전율의 값이 ... ...
- [SF소설] 망자를 위한 땅은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세상에서 살고 싶어 했다. 물론 너무 좁아서 어떻게 살 것이냐고 핍이 묻자, 아버지는 반대로 우주는 너무 넓어서 싫다고 했다.그러나 핍은 달랐다. 어떻게든 부동산으로 돈을 모아 행성 전체를 사고 싶었다. 그걸 밑천으로 거물들이 손을 대는 ‘우주의 끝, 그 너머’를 향해 내달리고 싶었다. ... ...
- [특집] 500m 초고층빌딩 170km 이어서 지을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부족합니다. 바람이 건물에 부딪히면 바람을 맞는 쪽은 압력이 높아지는 반면 그 반대 쪽은 압력이 낮아지며, 소용돌이와 진동이 발생해 건물이 스크류바처럼 뒤틀리거나 흔들릴 수 있거든요. 이 때문에 빌딩은 고층으로 갈수록 바람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좁고, 둥글게 만듭니다. 여기에 외벽을 ... ...
- [과학뉴스] 똑딱핀 같은 날개로 가장 빨리 헤엄치는 소프트로봇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양 날개는 몸체가 일정 수준 이상 부풀어 올랐을 때 구부러졌다가, 몸체가 수축하면 다시 반대로 구부러지도록 만들어졌다. 기존의 소프트로봇은 날개에 무거운 모터를 부착해 구동했지만 나비봇은 몸체에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로봇 전체 무게를 크게 줄였다. 이로써 이전에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