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명"(으)로 총 1,7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설의 초콜릿 발명가의 비밀 웡카의 초콜릿 수학 공장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못한 광경을 보게 될 겁니다. 후후, 그럼 함께 가실까요? 연관기사Intro. 전설의 초콜릿 발명가의 비밀 웡카의 초콜릿 수학 공장Part1. 초콜릿 강에서 찾은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Part2. 완성된 웡카 초콜릿, 어떻게 담을까?Part3. 초코볼, 적분을 부탁해Part4. 윌리 웡카의 초코초코 퀴즈 쇼Part5 ...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2000 도 가까운 고온에서 측정하는 작업도 만만치 않았다. 게다가 1960년대 레이저가 발명되고 1970년대 극저온 복사출력계가 개발되면서 단파장에서 나오는 빛의 출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었다. 이에 표준 과학자들은 1979년 제16차 CGPM에서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 ...
- ‘찰리와 초콜릿 공장’으로 보는 P대 NP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초콜릿 공장’은 영국의 소설가 로알드 달이 1964년에 발표한 인기 소설입니다. 천재 발명가이자 세계적인 초콜릿 공장의 주인인 윌리 웡카의 초대를 받은 다섯 명의 아이가 공장을 견학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고 있죠. 그런데 이 이야기에서 재미만이 아니라 수학계의 중요한 문제까지 찾아낸 ... ...
- 빛의 속력으로 정의한 ‘완벽한 단위’ 미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230 m에서 한 뼘 이내로 일치한다. 신체를 기준으로 한 길이의 단위는 이후에도 다양하게 발명됐다. 서양에서는 엄지손가락 폭에서 착안한 인치(2.54 cm), 팔 길이에서 유래한 야드(91.44 cm), 어른의 발 길이를 의미하는 푸트(30.48 cm) 등을 사용했고, 동양에서는 한 뼘에 해당하는 척(尺), 손가락 한 마디를 ... ...
- Part 2. 도전! ‘구연환’을 풀어라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주는 KPP(한국 퍼즐 파티)의 한동규 님입니다. 구연환은 오래전 중국 소주 지역 상인이 발명했다고 전해지지만 정확한 기록은 없습니다. 2세기경 ‘헝 밍’이라는 장수가 전쟁에 나가면 부인이 혼자 있기 때문에 그 무료함을 달래주려고 만들었다는 설도 있어요. 만약 이게 사실이라면 풀기가 무척 ... ...
- Part 2. 비버챌린지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영위할 수 있다는 걸 여러분도 이제 아셨겠죠? 그렇다면 여러분도 톡톡 튀는 아이디어를 발명품으로 만들고 싶을 겁니다. 먼저 쉽고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는 대회인 ‘비버챌린지’를 통해 컴퓨팅 사고력을 자극해 보세요. 2004년 발렌티나 데기에녜 리투아니아 빌뉴스대학교 정보교육과 교수는 ... ...
- 100억 년 동안 1초도 안 틀리는 광시계로 더 정확해진 초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해 태양의 위치에 따라 그림자의 길이와 방향이 달라지는 해시계를 발명했다. 해시계의 바늘을 위도만큼 북쪽으로 기울이고 그림자가 표시되는 면을 바늘과 수직으로 세운 ‘적도 해시계’, 그림자가 표시되는 면을 바닥과 수평으로 두고 해시계의 바늘을 지면으로부터 ... ...
- [Career] 찌르면 ‘아야!’ 통증 내뱉는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카메라와 TV 등으로 모방에 성공했다. 이런 모방은 인간의 삶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킨 발명으로 이어졌지만 촉각, 후각, 미각은 여전히 모방하지 못한 미지의 영역이다. 감각을 모사하기 위해 필요한 입력 값이 다양해 구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장 교수는 “청각은 주파수라는 한 개의 입력 값, ... ...
- Part 1.문제 해결의 비법, 컴퓨팅 사고력!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컴퓨팅 사고력은 한마디로 일상에서 벌어지는 일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사고 방법입니다. 말은 쉽지만 실체를 모르겠다고요? 그 궁금증을 밝혀 줄 중학생 컴퓨팅 사고력 대표를 ... 처리할 수 있도록 코드를 짜야겠죠? 원하는 대로 프로그램이 돌아간다면 드디어 발명품 완성 ... ...
- [Culture] ‘승리 요정’ 되려면 강속구로 승부하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않더라도 누구나 예측할 수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혹자는 과학은 ‘발견’이지 ‘발명’은 아니라고 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자연을 이해하며 인류가 갖고 있는 지식의 진보를 이끄는 것이 과학이다. 또 기존에 증명하지 못하던 것을 풀어내는 것도 과학이다. 다양한 구종 뒤에는 튼튼한 기초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