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수학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는 수학자가 되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수학과 다른 학문을 융합해서 수학을 풍부하게 하는 데 기여하고 싶어요. 를 보고 있는 친구라면 수학에 흥미도 있고 계속 공부하고 싶은 친구가 많을 텐데요. 수학이라는 분야는 너무 광활해서 공부하다 보면 이 길이 맞는지 고민하는 때가 찾아올 거예요. 하지만 자리를 지키고 계속하다 ... ...
- [킹앤포] 수학으로 암호 해독! 차분 공격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멘토는 고등학생 때 인터넷 홈페이지의 코드를 따라 써보고 코드를 조금씩 수정하면서 여가 시간을 보냈어요. 그러다 한 홈페이지에서 코드 버그를 발견했고, 그 버그를 수정하면서 자연스럽게 암호학에 빠져들었답니다. 그래서이번 호에서는 수학과 코딩을 좋아하는 여러분을 위해 권찬우 멘토가 ... ...
- 좌절된 아이디어는 어떻게 (이그)노벨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 연구자의 입장에서 대소변은 물로 씻어내버리기에는 너무 아까운 생체 정보의 보고란 뜻이다. 똥 사진 수집도 엄연한 연구입니다! 박 박사의 학부 전공은 물리학이었지만, 대학원에서 미세유체를 다루는 의공학으로 방향을 틀었다. 스탠퍼드대 의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혈액 진단 기술을 ... ...
- [최신 이슈] 40년 만에 달라진 서울 지하철 노선도, 그 뒤에 인지과학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탐색) 과정에서 어떤 물체가 주의를 돋우면 그 주의 지점에 대한 반응이 무척 빨라진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이 지도는 2호선을 중심으로 지도를 봐야 하는 사람에게는 편할 거예요. 대신 2호선 말고 다른 노선에 있는 역을 찾기 위해서는 조금 시간이 더 걸리겠죠. 2호선 노선도에 시선이 먼저 가고, 그 ... ...
- [최신 이슈] 넓디넓은 정수장에서 깔따구 찾기, eDNA면 가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2022년 9월 ‘법의학, 생물다양성 연구에 대한 eDNA의 잠재력’ 보고서를 통해 “바다에서 실종된 군인의 신원을 파악하는 데 eDNA가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바다에서 실종된 군인은 4만 1000명에 이른다.eDNA를 활용한 실종자 수색은 수색자가 수중 음파 ... ...
-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과학고등학교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진행할 수 있는 것들입니다. 제가 먼저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내용은 더 적고 직접 찾아보고 서로 토의하는 비중은 높다는 점에 과학고 수업의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 진행한, 현미경과 망원경을 만드는 실험 수업도 학생들이 직접 물리 현상을 응용하는 창의력을 키우는 데 중점을 뒀습니다.Q. 특히 ... ...
- [SF소설] 조이풀 데이즈 비하인드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아기’ 유희망 군 서울대 입학, ‘우주 연구할 것’…… 교배 대상 종별 지능 차이 보고서는 연내에 공개할 예정……그리고 정희가 스크랩한 마지막 기사의 헤드라인은 이랬다.천재 이종둥이 30인의 크뮨호, 우주로! 유희망 대장, ‘꼭 돌아올 것’ 비장하게 마지막 인사……“크뮨이라고?” 매닝은 ... ...
- [Reportage] 영재학교판 두뇌 서바이벌 게임, 제2회 과학예술영재학교 수학교류전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그렇게 좋아하는 편이 아니었어요. 하지만 수학교류전을 준비하면서 수학 퀴즈도 풀어보고 수학 개념에 얽힌 역사적 배경도 알게 됐어요. 수학 수업 시간에서보다 훨씬 많은 내용을 배우면서 수학이 생각보다 재미있는 과목이라는 걸 느꼈어요 ... ...
- 폴리매스의 모든 것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나와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회원들과 수학 정보를 주고받거나 어려운 수학 문제를 물어보고 답할 수도 있어요. [수행평가]에는 학교 수행평가에 필요한 자료인 진로 관련 기사, 초중고 선생님들이 개발한 수학 체험 프로그램, 실생활 속 수학 사례를 소개한 기사가 단원별로 정리돼 있습니다. ... ...
- [노벨상 2023] 화학상 - 양자점이 ‘빛’나기까지 끊임없는 질문이 있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연결해 몸속에서 벌어지는 일을 시각화할 새로운 도구로써 양자점의 응용법을 1998년 보고했다. 양자점이란 새로운 발광체를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가능성을 연 것이다. 한국의 과학자들도 양자점 연구에 많은 공헌을 했다. 대표적인 연구로 현택환 교수가 2004년 발표한 양자점 대량생산법 개발과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