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늘모양의것
박편
scale
d라이브러리
"
비늘
"(으)로 총 227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묘한 서리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내려가 다음날 아침에는 서리가 내리는 것을 볼 수 있다.서리결정의 종류에는
비늘
형 바늘형 날개털형 부채형 외에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형이 있으며, 발생지형에 따라서도 서리길(공기가 흐르는 길을 따라 좁고 길게 형성되는 서리) 서리구멍(어느 한 곳에 냉기가 모아져 생기는 것) 가지서리 ... ...
진화론만이 옳다는 독선은 버려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파충류에서 하늘을 나는 조류로 변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변화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비늘
이 깃털로 바뀌고, 발이 날개로 변하고, 근육 신경조직 순환계 호흡계 등이 날기에 알맞도록 변해야 한다. 하지만 이런 단계적인 변이와 진화를 보여주는 화석은 찾아 볼 수 없다. 따라서 시조새는 공룡시대에 ... ...
(1) 진화는 때때로 신속하게 이뤄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이 설에 따르면 동물의 발생초기에 형성되는 초기 표피세포층은 발생조건에 따라
비늘
(scale) 깃털(feather) 또는 털(hair)로 분화되는데 결코 이들의 중간형태로는 분화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단속평형설에서 주장하는 진화양상을 보인다고 가정하면 새로운 환경에 도전하는 소수의 개체가 짧은 ... ...
암호명 「타조알을 깨뜨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수 있다. 이들은 왜 말미잘의 촉수에 당하지 않을까?① 흰동가리는 다른 물고기에 비해
비늘
이 두꺼워서 말미잘의 독이 퍼지지 못한다.② 흰동가리와 말미잘은 공생관계이므로 말미잘이 촉수를 사용하지 않는다.③ 흰동가리의 살갗에서 나오는 끈적끈적한 점액물질이 온몸을 둘러싸고 있어 독이 ... ...
하늘에서 레몬주스가 떨어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체질이 산성화되기 시작하면 노화가 촉진되기 때문이다.② 물고기의 피부를 덮고 있는
비늘
이 녹기 때문이다.③ 플랑크톤의 산성화를 견디지 못해 죽어버리기 때문이다.④ 토양에 포함된 중금속이 녹아 물고기 체내에 축적되기 때문이다.3. 산성비의 피해는 실로 광범위하고 지속적이다. 식물에게도 ... ...
납자루가 말조개에 알을 낳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많아진다. 유생은 주로 아가미와 가슴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에 많이 붙는다. 미끄러운
비늘
에는 달라붙지 못하고 입가나 눈위에 붙는 경우도 있다.갈고리를 이용해 물고기 몸에 붙은 유생은 물고기에서 양분을 얻기위해 헛뿌리(haustoria) 모양의 구조물을 물고기의 조직 속에 뻗게되고, 물고기는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84년 이후 세계새우생산량의 32%를 수확해왔다"고 주장한다. 풍부한 석유자원 수입과
비늘
없는 생선을 먹지않는 문화적 관습때문에 그간 페르시아만의 해양자원개발은 상대적으로 경시돼 왔지만 새우 뿐 아니라 정어리 빙어 등 이 지역의 어장은 미개척의 보고라는 것. "인류 식량자원의 마지막 ... ...
「얌체새」 뻐꾸기의 번식법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있기 때문에 민물과 바닷물에서 생활할 수 있다. 몸표면의 점액을 닦아내면 그 밑에서
비늘
이 나오지만 방수성(防水性)이 없어지기 때문에 몸 안으로 물이 들어온다. 그러면 뱀장어는 곧 죽어 버린다 ... ...
파충류의 세계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비늘
처럼 돼있는 점이다.
비늘
은 과립상의 작은 것과 판상의 큰 것으로 구분된다. 이
비늘
의 역할은 수분증발을 막고, 태양에너지를 많이 받게 하는 것이다.또 이들은 송과선이 발달돼 있다. 이것은 낮과 밤의 차이를 알아내는 생물시계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본적으로 도마뱀류는 잘 ... ...
곰은 동면중에 배설을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가시같은 뾰족한 흔적이 보인다. 그러나 대부분의 뱀은 다리가 없으므로 이동할 때
비늘
을 세우고 옆구리근육을 번갈아 구부러지는 띠처럼 움직인다. 그러면 옆구리가 돌이나 식물줄기 같은 지상의 장애물을 밀어서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 만약 지레작용을 할 데가 전혀 없는 평면에 있게 되면 이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