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템포
속도
속력
스피드
급속
날램
d라이브러리
"
빠르기
"(으)로 총 25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 빛은 공간 자체가 매질이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있으므로 빛을 따라가면서 재는 속도는 다르게 측정될 것이다. 그러나 빛의 속도가 워낙
빠르기
때문에 웬만한 속도는 빛에 대해서 정지해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고속도로에서 자동차의 라이트를 켜고 달리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자기 차가 내는 빛의 속도와 달려오는 차에서 나오는 빛의 속도는 ... ...
물리- 분자운동 활발할수록 물체는 뜨겁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뜨겁게 느껴지는 것은 우리 손가락을 이루는 분자들의 운동보다 물 분자들의 운동이 더
빠르기
때문이다. 손가락을 이루는 분자들이 물분자들한테 심하게 맞게 되고 이것을 우리는 뜨겁다고 느끼는 것이다.찬물과 더운물을 섞으면 미지근한 물이 된다. 이는 더운물의 물분자들의 속도는 빠르고 ... ...
롤러코스터의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것이다.94년 봄에 완공될 예정인 높이 70m의 블랙풀 라이드가 앞으로 당분간은 높이와
빠르기
그리고 무차별 겁주기에서 세계챔피언 자리를 지킬 것이다. 높이가 70m라면 발사대기중인 우주왕복선보다도 '키다리'다. 그렇다면 롤러코스터의 열차가 낙하할 수 있는 거리의 한계는 어디까지일까. 이에 ... ...
3. 디스크 관리 프로그램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찾아 주메모리로 파일을 읽어 들인다. 하드디스크보다 메모리의 입출력 속도가 훨씬
빠르기
때문에 파일을 읽어들이는 시간은 그만큼 단축되며 이로 인해 속도의 향상이 이루어진다.컴퓨터에서는 대개 같은 정보를 반복해서 읽어 들이는 경향이 있다. 캐시는 바로 이러한 컴퓨터의 작업특성을 ... ...
지구외 또다른 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밀리세컨드 펄사는 현재까지 20개 이상이 발견됐다.밀리세컨드 펄사들은 회전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젊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실제로 이것들의 나이는 대략 10억년 정도이다. 그러므로 이것들은 초신성 잔해에서 발견되는 것이 아니고 대부분 구상성단(나이가 1백억~1백50억년 정도)에서 발견된다 ... ...
5 미생물 앞세워 생태계 오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물론 물속에는 물고기도 있고 수초도 있으나 미생물의 증식속도가 상대적으로 훨씬
빠르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하면 미생물의 수가 급속히 증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보통상태에서 산소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10ppm 정도)가 다 소모돼 산소가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물고기는 ... ...
PC용 소프트웨어 삼총사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필요하다.따라서 똑같은 컴퓨터도 어떤 모드로 운영하느냐에 따라 느리기도 하고
빠르기
도 한 것이다. 그런데 텍스트 모드나 그래픽 모드를 선택하는 것은 사용자가 아니다. 이 두가지 모드는 사용하고 있는 소프트 웨어가 그래픽 모드로 운영되게 만들어졌는가 아니면 텍스트 모드로 ... ...
(3) 정박아 기형아 낳을 위험성 높아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40세까지는 정상인과 다름없이 생존할 수 있다. 다운증 환자는 건강한 사람보다 노화가
빠르기
때문에 40세가 되면 여러가지 노인성 질병에 걸리기 쉽다.양팔을 똑바로 펴지 못하면…터너증은 여자아기 2천명중에 한 명꼴로 걸리게 되는 상당히 빈도가 높은 유전병이다. 여성에 있어서는 성염색체 ... ...
(1) 한 악기로 오케스트라 효과 낸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많다. 특히나 시간을 생명으로 하는 광고음악이나 시그널음악엔 정확한 시간이나
빠르기
등 각종 편집이 자유로운 컴퓨터음악이 필수적일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이미 대부분의 미디프로그램들이 영상기기를 지원하고 있으므로 화면의 진행에 정확히 맞추어 음악을 만들어 가는 일이 가능해진 ... ...
(2) 전자기학을 확립해온 사람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도는
빠르기
이다. 실험실 안에서 그 빛이 한쪽으로 갈 때와 돌아올 때 갖는
빠르기
의 차이를 재기란 쉽지 않은 일이었다.하지만 1887년에 미국의 물리학자인 A.A.마이켈슨(Michelson)과 E.W.몰리(Molrey)라는 두 사람은 간섭계라는 장치를 써서 이 까다로운 실험을 해냈다. 그 결과 광속은 매질의 운동상태와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