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탈
경사
서죄
용서
빗면
사죄
면제
d라이브러리
"
사면
"(으)로 총 234건 검색되었습니다.
극한 상황속의 인간한계 실험하는 에베레스트 생리연구현장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나돌고 CNRI는 새로운 장소를 찾아 나섰다. 마침내 네팔 안에 있는 에베레스트의 남쪽
사면
으로 최종결정됐다. 네팔어로 '세계의 지붕'을 뜻하는 사가마타(Sagarmatha)국립공원의 심장부에 자리잡게 된 것.이 연구소 건물은 땀의 결실이었다. 수천명의 셰르파(Sherpa, 히말라야 산중에 사는 몽고계 종족 ... ...
하와이제도는 사라질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다나는 오아후섬의 누아누팔리나 카우아이섬의 나팔리 해변 등이 모두 분리와 해안쪽
사면
의 추락때문에 만들어졌다고 추론했다. 그러나 다나와 그의 동료들은 그런 종류의 지각변동이 그때 당시로 끝난 것이라고 보았다.한편 하와이제도의 섬들이 사태로 인해 조금씩 가라앉는 만큼 새로운 섬들이 ... ...
물고기 생태 이용해 활어회 즐긴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즐겨먹는 일본인들은 그 중에서도 특히 싱싱한 활어(活魚)회를 일품으로 친다.
사면
이 바다인 섬나라라 쉽게 횟거리를 구할 수 있을 것 같지만, 근해에서 나지않는 것이나 어느 지역에만 특별히 많이나는 생선일 경우 활어회를 먹기가 쉽지 않다.그간 보편적으로 이용된 방법은 큰 통에 바닷물을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성인봉 등정을 포함한 강행군. 탐사단은 먼저 저동에서 섬목까지 배로 이동해 섬 북쪽
사면
관찰에 들어갔다.행정구역상 북면으로 불리는 섬목~천부동~현포에 이르는 길은 도로사정이 나쁜 울릉도 안에서도 비교적 일찍 길이 뚫린 곳이라 탐사단은 4륜구동 트럭으로 달리며 필요할 때마다 내려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오자이트 조면암인데요. 섬목을 바로 지나 두루봉으로부터 천부동 삼선암 딴방우 등 북쪽
사면
에 발달한 주상절리의 비경에 감탄했습니다.유제우 여러 선생님들이 다 아시는대로 교과서에서는 화성암 중에서 조면암을 따로 구별해 설명하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그런데 이곳에 와서보니 조면암이 ... ...
소프트웨어산업 내일 여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물론 소프트웨어 분야에 대한 물적 인적 투자가 효율적으로 이뤄지고, '하드웨어만
사면
소프트웨어는 무조건 공짜'라는 인식이 불식된다는 전제하에서 가능하다.젊은 세대들은 컴퓨터에 대한 두려움이 없다. 83년 8비트 교육용컴퓨터가 각급 학교에 보급돼 한바탕 컴퓨터바람이 불었다. 당시 목표로 ... ...
낙수가 만들어낸 구혈과 폭호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이러한 폭포가 발달될 수 있는 원인을 크게 세가지로 분류해 검토해보자.첫째는 경사진
사면
의 계곡을 흐르는 하천 유로에 발달하는 경우다. 설악산 서남부의 십이선녀탕계곡 주변 폭포들과 금강산의 구룡폭포와 같이 사절리(斜節理)로 이루어진 하상에 발달된 폭포를 말한다.절리가 형성되는 ... ...
3. 자신에게 적합한 수준을 고르도록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번들(Bundle) 패키지기 때문에 많은 소비자들이 아직까지도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를
사면
주는 것'이라는 인식을 버리지 못하는데 한몫 거들고 있다.하지만 컴퓨터 교육에 있어 하 드웨어 보급 1주년을 맞은 올해 초 잇따라 열리는 소프트웨어 세미나 등을 통해 이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 ...
강원도 민통선 북방지역의 식물생태계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대한 지도교수의 설명과 시범등에 더 큰 비중이 주어졌다.대암산(해발 1,316m)의 서북
사면
에 있는 '용높'은 1966년 한국자연보호위원회가 미국 스미소니언 연구소와 공동으로 진행한 비무장지대 생태계 학술연구 도중 발견한 곳으로 남한 유일의 분지형 고층습원(高層濕原)이다.고층습원이란 한랭한 ... ...
낙하속도가 질량과 무관함을 증명한 「피사의 사탑」 실험은 실제 있었을까?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갈릴레이 이전에도 아리스토텔레스 이론에 대한 의문이 여러번 제기됐다. 갈릴레이는 단지 경
사면
실험을 통해 이러한 의문들을 이론화했을 뿐이 ... 통해서 방영되었다. 진공에서만 완전히 같은 속도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갈릴레이는 경
사면
실험을 통해서 이러한 관계를 얻어낸 것이었다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