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직업
중독
애용
d라이브러리
"
상용
"(으)로 총 99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로봇배달원의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2020년에는 문 앞까지 택배를 배달하는 로봇이 등장할지도 몰라요. 지난 5월 22일 미국 자동차 제조회사 포드는 로봇을 만드는 ‘어길리티 로보틱스’와 함께 개발한 2 ... 않았지만, 디지트를 공동 개발한 어길리티 로보틱스는 “디지트를 약 2020년부터
상용
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답니다 ... ...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기반 암호 등이지. 미국 국립표준연구소(NIST)에서는 RSA 암호보다 더 강력한 암호를 찾아
상용
화하는 것을 목표로 더 강력한 암호를 ‘공개수배’하고 있어. 세계 각국의 암호 연구자로부터 새로운 암호 체계를 지원받은 뒤 3라운드에 걸쳐 가장 풀기 어려운 암호를 선발하는 거야. 2017년 11월 말까지 ... ...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언젠가는 실현될 SF의 영역이라고 봅니다. 김 교수는 15~20년 후로 전망하더군요. 그는 “
상용
화까지는 아니더라도 냉동인간 기술 자체는 완성될 것”이라며 “그러기 위해서는 단세포가 아닌 여러 개의 세포로 이뤄진 장기를 냉동하는 기술부터 완성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했습니다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우리가 주목할 부분은 양자 우월성 자체가 아닙니다. 양자 우월성 구현은 양자컴퓨터
상용
화를 위한 첫 걸음을 내딛는 것에 불과합니다. 그만큼 중요한 것은 맞지만, 그게 전부가 아니라는 뜻이기도 하죠. 가령 큐비트 1개에서 발생한 오류를 처리하는데 큐비트 9개를 써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 ...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다. 2014년 바닷물 속 나트륨을 활용한 해수전지를 개발했고,
상용
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06~2010년 존 구디너프 미국 텍사스대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 ...
나로호 프로젝트 본격 시동 협력 파트너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있었다. 흐루니체프는 과거 군용 발사체 개발에 주력했던 회사였다. 이후 군용 발사체를
상용
화했으며, 정부의 지명을 받아 러시아의 차세대 주력 발사체인 ‘앙가라’를 개발 중이었다.에네르기야도 발사체 개발 경험이 풍부했다. 그러나 당시엔 위성 발사체보다는 유·무인 우주 프로그램에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연대 측정의 혁명 가속기 질량 분광분석장치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600keV의 에너지만으로 다중 원소에 대한 방사성동위원소 질량 측정이 가능한 AMS를 개발해
상용
화하는 데 성공했습니다.AMS가 연대 분석에만 사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필자가 속한 동국대 원자력·에너지시스템공학과 입자가속기연구실은 2018년 최신 AMS를 경주캠퍼스에 설치했습니다. 이를 활용해 ... ...
Q. 안전하다 vs. 아니다 왜 엇갈리는가?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김 책임연구원은 “후쿠시마 오염수의 경우처럼 많은 양의 삼중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상용
화된 기술은 아직 없다”며 “추가 R&D(연구개발)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
5G 시대 데이터 간섭 해결할 기지국 협력 전송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12월 KT와 SKT, LGU+ 등 국내 통신 3사는 5G 통신 첫 송출에 성공했다. 하지만 전국적으로 5G가
상용
화되기에는 아직 모든 조건이 갖춰지지 않은 상태다. 5G 기지국은 서울과 수도권, 5대 광역시에 집중돼 있다.5G는 통신에 쓰는 전파를 고주파 대역으로 바꿨다. 롱텀에볼루션(LTE)으로 불리는 4세대(4G) 통신의 ...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2004년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GS·Next Gene-ration Sequencing)이
상용
화된 이후 다양한 생물종의 유전체 분석 연구가 쏟아졌다. NGS 방식은 DNA를 100~500염기쌍 길이로 짧게 잘라 염기서열을 읽은 뒤 한꺼번에 조립하는 방식이다. 많은 양의 유전체를 고속으로 분석할 수 있는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