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라인
철사
덕
케이블
전선
line
d라이브러리
"
선
"(으)로 총 3,430건 검색되었습니다.
[릴라바티상] 3D 수학 애니메이션으로 수학의 대중화를
선
도하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수학의 재미를 알리기 위해 앞장서는 사람이 있습니다. 바로 2022 릴라바타상 수상자 니콜라이 안드레예프 러시아 스테클로프 수학연구소의 수학 대중화연구 ... 거울 중앙에 붙이면 축구공이 나타납니다. 거울 3개가 모여 삼각형을 비추기 때문에 시
선
을 움직여도 공 형태가 바뀌지 않아요 ... ...
[활동지] 그래프 채색 문제부터 케플러의 추측까지, 필즈상 수상자 연구 따라잡기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첫 번째
선
이후로는 두 갈래길 중 하나를 무작위로 정해
선
을 긋게 됩니다. 이렇게 그은
선
을 SAW라고 해요. 뒤미닐-코팽 교수는 n이 커질 때 원점에서 출발한 SAW의 모든 경우의 수의 증가 속도를 연구했어요. 지도를 그래프로 나타내고 4색으로 색칠하자! 허준이 교수의 대표 업적인 ‘리드의 ... ...
[SF소설] 나 홀로 지구에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친구도 없었다. 이제 어쩌지? 고 엘리가 홀로그램 전화를 걸어왔다. 무심코 수락을
선
택했지만 진짜 사람처럼 대할 기운이 없었다. 그녀는 두 손바닥에 얼굴을 파묻은 채 툭 말을 뱉었다.“심심한데 어떻게 하면 좋지?”혀를 무는 한이 있어도 우울감으로 인해 추락하고 있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 ...
[광고] MORRIS │ 마르지 않는 펜으로 그리는 친환경 세상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심지 속 휘발성분이 쉽게 날아가 잉크와 심지가 굳는다.모리스는 펜 내부의 구조를 개
선
해 이런 문제를 간단히 해결했다. 별도의 뚜껑을 만드는 대신 내부에서 자동으로 펜촉이 밀봉되는 방식을 개발했다. 대신 볼펜처럼 펜 끝의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펜촉이 밀봉되도록 했다. ... ...
[기획] ‘가라앉지 않는 배’ 타이타닉 어쩌다 가라앉았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만들었어요. 각종 안전 시스템의 부재도 인명피해를 키웠습니다. 타이타닉호
선
체 아래는 구역이 나뉘어진 ‘격벽 구조’로 이뤄졌는데, 각 격벽이 천장까지 완벽히 격리되지 않아 침수된 물이 연쇄적으로 다른 구역까지 차올랐습니다. 또한 당시 안전에 대한 지침도 없어 구명보트도 20대 정도로 ... ...
[기획] 환경까지 생각하는 똑똑한 미래
선
박!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친환경
선
박부터 자율운항
선
박까지, 나날이 발전하는 과학 기술은 대형
선
박의 모습을 빠르게 바꾸고 있어요. 과연 미래에는
선
박이 어떤 모습을 하고 ... “자율운항이
선
원들의 주야 교대근무 등 열악한 근무환경을 대폭 개
선
해 피로로 의한 인재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 ...
[특별기획] 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 수학의 난제를 해결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4색 정리 문제를 이해하는 데 편리하다. 각 나라를 점으로 표시하고 인접한 두 나라끼리
선
을 긋는다. 이를 통해 지도마다 하나씩 그래프를 얻는다. 하나의 꼭짓점에 연결된 모든 꼭짓점을 다른 색으로 칠하는 데 4색이면 충분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채색 다항식은 어떤 그래프에서 꼭짓점을 ... ...
0.05mm로 그린 꽃과 새 통일신라 금속공예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통일신라 장인의 세밀한 금속 기술을 복원할 날을 기대해도 좋다. ※필자소개어창
선
. 2007년부터 문화재청에서 근무하며 경주 월성, 충주 누암리고분 등 중요 고고학 발굴조사에 참여했다. 현재는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으로 경주 동궁과 월지와 쪽샘 신라고분 발굴조사를 ... ...
[수학자 가상인터뷰] 빙~빙~ 돌아가는 ‘뫼비우스의 띠’처럼~♬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지원했지만 떨어지기도 했지요. 하지만 내 사전에 포기는 없었죠! 계속 수학을 연구해
선
과 면 등 도형을 연구하는 분야인 ‘기하학’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답니다 ... ...
[가상 인터뷰] 세균을 위한 초호화 집, 전기에너지 생산을 돕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입주민들이 잔뜩 줄을
선
이곳은? 햇빛을 좋아하는 남세균(시아노박테리아)만을 위한 초호화 건물이야! 햇빛도 충분하고 편안하지. 이런 집을 만든 이유는 뭔지 건물 입구로 들어가는 세균을 붙잡고 물어봤어. 안녕, 자기소개를 부탁해!저는 햇빛을 좋아하는 세균이에요. 이름은 ‘남세균’이죠.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