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상"(으)로 총 2,62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다누리 발사만 남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의미가 크다”고 전했습니다. ●인터뷰하태현(대한민국 달 탐사선 명칭 공모전 대상 수상자, 카이스트 신소재공학 박사과정생)“제가 이름 지어준 ‘다누리’의 성공을 기원해요!” 다누리는 순 우리말로 ‘달을 누리고 오라’는 뜻에서 처음 떠올렸어요. 또 ‘도레미파솔라시도’ 계이름을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30화. 행성공장의 유령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수 있어요?”이번에도 딱지가 끼어들었습니다.“하, 하여튼 범인을 빨리 잡”“최근에 수상한 점은 없었나요?”“야, 고딱지! 네가 선장이야? 내 이름이 해롱이라고 해롱해롱 대는 걸로 보이냐? 자꾸 까불면 화낸다?”얼굴이 울그락불그락해진 해롱 선장이 외쳤습니다.“앗, 죄송합니다.”딱지는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30화. 행성 공장의 유령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수 있어요?”이번에도 딱지가 끼어들었습니다.“하, 하여튼 범인을 빨리 잡”“최근에 수상한 점은 없었나요?”“야, 고딱지! 네가 선장이야? 내 이름이 해롱이라고 해롱해롱대는 걸로 보이냐? 자꾸 까불면 혼난다?”해롱 선장이 얼굴이 울그락불그락해지며 외쳤습니다.“앗, 죄송합니다.”딱지는 ... ...
- [기획] 수학자 장이탕 다큐멘터리에서 인생 문제를 만나다!수학동아 l2022년 12호
- 그 속에 담긴 수학 개념이나 전체적인 구조는 이해하기 힘들었대요. 그래서 2022 필즈상 수상자인 제임스 메이나드 교수의 논문을 하나하나 따라 써보면서 이해하려고 노력했습니다.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정수론 공부를 하기도 했고요. 메이나드 교수의 연구를 어느 정도 이해하는 데에만 2년이나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4화. 수학자의 연구 여행기, 41년 역사의 군론학회 GSA수학동아 l2022년 12호
- 교수님은 군론의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인 ‘제한된 번사이드 문제’를 푼 업적으로 수상의 영광을 안았습니다. 5년 만에 열린 GSA에서 연구 발표! 11회 GSA는 영국 뉴캐슬대학교에서 2022년 7월 30일부터 8월 6일까지 열렸어요. 제 두 번째 GSA였는데요. 원래대로라면 2021년에 열렸어야 했지만, ... ...
- [기획] “주변 사람들 말에 신경쓰지 말고 하고 싶은게 있다면 도전하세요!”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리제네론 과학경시대회’에서 발표했는데 최종 4등을 했어요. 이 수상이 합격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해요. Q. 8개월 동안 포기하지 않고 한 문제를 푼다는 게 대단한 것 같아요. 긍정적인 성격 덕분인 것 같아요. 저는 대체로 모든 일에 긍정적이에요. 분명히 문제가 저를 좀먹을 때가 있어요. ... ...
- [화보] 현미경이 포착한 환상적 아름다움 - 세포 속을 탐험하는 예술가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다양한 촬영기법이 사용됐다. 과학자, 예술가, 현미경 사진가 등이 참여한 이번 사진전의 수상작들을 만나보자. (사진을 자세히 보려면 PDF를 다운로드 받아 감상하세요! ... ...
- [매스미디어] 태양의 서커스 : 뉴 알레그리아수학동아 l2022년 12호
- 5대째 곡예사를 하는 단원도 있다고 해요. 또 트램펄린과 텀블링 세계선수권대회 수상자까지 있을 정도로 체조나 무용의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어요. 저글링 잘 하는 비법은? 눈을 뗄 수 없는 아슬아슬한 묘기 속에서도 시선을 가장 강하게 끄는 건 귀족 세력에 맞서 새로운 권력을 잡으려는 ... ...
- 2022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 : 혁신으로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주제다. 2022년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의 국제전 수상자들이 11월 16일 공개됐다. 수상작들에는 하나같이 생활과 맞닿아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민한 흔적이 담겨 있었다. 그래서 혁신적일 수 있었다. 일상의 문제를 해결한 혁신의 순간을 만나보자. 10월 23일 오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
- 가장 순수한 외계운석 생명기원설 증거 될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어떻게 생성됐 는지는 여전히 가 설뿐이죠. 영국의 분자생물학자이자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프랜시스 크릭은 화학자 레슬리 오겔과 함께 1973년 생명 외계 기원설을 최초로 주장했습니다. doi: 10.1016/0019-1035(73)90110-3 약 40억 년 전에 외계 고등문명이 무 인 우주선에 미생물을 실어 보냈다는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